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5542435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3-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가장 궁금한 10가지
프롤로그
제1장 박쥐로 시작된 인류 대재앙의 공포
01 ㅣ 대한민국을 위기로 몰아간 메르스 바이러스, 진범은?
02 ㅣ 치사율 60% 에볼라 바이러스의 출발은 과일박쥐였다
03 ㅣ 중국 대륙을 덮친 사스 바이러스의 범인은 사향고양이?
04 ㅣ 신종 코로나, 사스, 에볼라… 재앙급 바이러스, 박쥐가 주범일까?
쉬어가는 페이지 l 인류를 공포로 몰아간 바이러스 전염병 유행의 역사
제2장 바이러스, 두려움의 실체를 파헤쳐라
01 ㅣ 바이러스, 도대체 정체가 무엇인가?
02 ㅣ 바이러스를 알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미생물의 역사
03 ㅣ 생활 도처에 함께 숨 쉬고 있는 바이러스
쉬어가는 페이지ㅣ 영화 [감기]에 등장한 치사율 100%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의 공포
제3장 바이러스, 어떻게 인류를 위협하는가?
01 ㅣ 판데믹, 에피데믹, 그리고 엔데믹
02 ㅣ 평범하게, 하지만 끔찍하게 일상에 다가온 바이러스
03 ㅣ 생명을 지키는 강력한 힘, 면역 시스템
04 ㅣ 반갑지 않은 바이러스의 습격
쉬어가는 페이지 l 영화 소재로 애용되는 ‘좀비 바이러스’의 실체는?
제4장 신종 전염병, 지구촌을 위협하다
01 ㅣ여전히 위험한 화약고: 신종 전염병 출현 위험 요소들
02 ㅣ 야생의 습격: 위험의 진원지
03 ㅣ 하루면 충분한: 전염병 세계 확산의 여건
04 ㅣ 쓰나미 같은: 전염병의 무시무시한 확산속도
쉬어가는 페이지 l 바이러스를 보는 현미경은 집채만 한 현미경이다?
제5장 신종 바이러스에 대처하는 우리의 노력
01 ㅣ 먼저 할 일: 바이러스로부터 우리를 지킬 수 있는 것
02 ㅣ 하루 만에 진범 찾기: 유전자 검사기술이 가져온 진단 혁명
03 ㅣ 진범만큼 위험한: 잠재적 위험요소 찾기
04 ㅣ 지구촌 감시자들: 전염병 조기경보 시스템
05 ㅣ 치명적 진범 찾기: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비장의 무기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예견된 재앙,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범인이라는 언론 기사를 접하면서 그때 나의 뇌리를 스친 생각은 ‘그 바이러스는 분명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바이러스이고, 그 바이러스는 박쥐 바이러스일 것이다’였다. 그 예측은 적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자 정보가 공개되었다. 중국 내 야생동굴에 서식하는 박쥐가 가진 코로나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해서, 바이러스 전문가 누구나 그 바이러스가 박쥐 유래 바이러스라는 것에 동의할 수 있을 정도였다. 사스 사태 때와 달리, 매우 신속하게 박쥐 유래 바이러스로 판단할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중국 과학자들이 그 동안 야생 박쥐가 가지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수집하여 분석해 놓았던 덕분이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출현. 단지 박쥐가 퍼트린 운명 같은 재앙일까? 아니면 올리히 벡이 말한 것처럼 정말 인간 스스로 자초한 것일까? 왜 하필 이번 사태가 중국 재래시장에서 시작되었을까? 사실 이미 오래 전부터 그 불씨를 안고 있었다.
[인간을 위협하는 바이러스의 기원은?]
바이러스는 언제부터 인간의 몸을 숙주로 서식하기 시작했을까? 600만 년 전, 아프리카 밀림 지역에서 인간이 침팬지와 분화하기 이전 공통조상이었던 시절부터 바이러스는 인간을 서식처로 정착했을 것이다. 그 당시 밀림 지역에는 포유류 동물뿐만 아니라 유인원 동물까지 생물학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했을 것이다. 그래서 동물종 간에 바이러스 교환이 간헐적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동물종에서 인간으로 바이러스가 넘어오는 경우도 발생했을 것이다. 다만, 그 당시 인간 조상의 집단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유행은 극히 제한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이 소수의 유목 집단생활을 하던 기간에도 마찬가지로 사람들 사이의 바이러스 유행은 거의 일어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치명적인바이러스의 경우 감염자를 사망하게 하거나, 생존하더라도 평생 면역을 획득하기 때문에, 소수의 인간 집단이 무리지어 살아가는 유목생활 환경에서는 바이러스 유행이 일어날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인류 초창기 시절 인간에게 존재할 수 있었던 바이러스는 인간의 생존에 큰 위협을 주지 않으면서도 장기간 감염을 유지할 수 있는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바이러스들이다. 예를 들면 헤르페스 바이러스(단순포진, 대상포진 등), 레트로 바이러스(에이즈 등), 파필로마 바이러스(사마귀 바이러스 등) 등이 초창기 인간 집단에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