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86900994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서문
감수의 글
들어가며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바이러스학의 역사
바이러스학의 연대표
바이러스에 관한 논쟁
바이러스 분류체계
복제
바이러스의 입자 포장
전염
바이러스의 생활 형태
면역
101가지 놀라운 바이러스
1장_사람 바이러스
치쿤구니아바이러스
뎅기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
C형 간염바이러스
사람 아데노바이러스 2형
사람 단순포진바이러스 1형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
사람 유두종바이러스 16형
사람 리노바이러스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존커닝햄(JC)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유행성이하선염바이러스
노르워크(노로)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A형
사스·코로나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두창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황열병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신놈브레바이러스
토크테노바이러스
2장_척추동물 바이러스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
블루텅바이러스
보아 봉입체병바이러스
보르나병바이러스
소 바이러스성설사병바이러스 1형
개 파보바이러스
구제역바이러스
개구리 바이러스 3형
전염성연어빈혈증바이러스
점액종바이러스
돼지 서코바이러스
광견병바이러스
리프트밸리열바이러스
우역바이러스
라우스육종바이러스
원숭이 바이러스 40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바이러스
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
쥐 헤르페스바이러스 68
3장_식물바이러스
아프리카카사바 모자이크바이러스
바나나 타래꼭지바이러스
보리 황화위축바이러스
꽃양배추 모자이크바이러스
감귤 트리스테자바이러스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
벼 엔도르나바이러스
우루미아멜론바이러스
완두 돌출모자이크바이러스
자두 곰보바이러스
감자 Y 바이러스
벼 오갈병바이러스
벼흰잎바이러스
위성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
담배 식각바이러스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 덤불위축바이러스
토마토 반점위조바이러스
토마토 황화잎말림바이러스
흰꽃클로버 잠재바이러스
콩 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튤립 브레이킹바이러스
4장_무척추동물 바이러스
고치벌 브라코바이러스
귀뚜라미 마비바이러스
날개불구바이러스
초파리 C형 바이러스
질경이둥글밑진딧물 덴소바이러스
집떼바이러스
무척추동물 무지개바이러스 6형
매미나방 다중핵다각체병 바이러스
오르세바이러스
백점병바이러스
노랑머리바이러스
5장_진균류 및 원생생물 바이러스
대식가시아메바 미미바이러스
쿠르불라리아 내열성바이러스
헬민토스포리움빅토리아 바이러스 190S
페니실륨크리소게눔 바이러스
피토바이러스시베리쿰
사카로미세스세레비시아 L-A 바이러스
크리포넥트리아 히포바이러스 1형
오피오스토마 미토바이러스 4형
파라메슘부르사리아 클로렐라바이러스 1형
피토프토라 엔도르나바이러스 1형
6장_세균 및 고세균 바이러스
바실루스 파지 파이29
장내세균 파지 람다
장내세균 파지 T4
장내세균 파지 픽스174
마이코박테리움 파지 D29
랄스토니아 파지 파이RSL1
시네코코커스 파지 Syn5
아키디아누스 병모양바이러스 1형
아키디아누스 두꼬리바이러스
장내세균 파지 H-19B
장내세균 파지 M13
장내세균 파지 Qβ
포도상구균 파지 80
술포로부스 방추형바이러스 1형
비브리오 파지 CTX
용어 해설
참고 자료
찾아보기
감사의 말
사진 출처
책속에서
바이러스는 살아 있는 존재인가? 이것은 바이러스학자들에게는 별로 고민거리가 아니지만 과학철학자들을 끊임없이 괴롭혀온 질문이다. 어떤 학자들은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할 때만 살아 있는 존재이고 단백질 외피로 싸인 입자로서 세포의 외부에 존재할 때, 즉 ‘비리온(virion)’의 상태에 있을 때는 세균이나 진균의 포자처럼 휴면 상태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질문에 답하려면 먼저 생명의 정의를 내려야 한다. 한편 어떤 학자들은 바이러스가 자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살아 있는 존재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바이러스가 살아 있는 존재이든 아니든 간에 바이러스가 생명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 ‘바이러스에 관한 논쟁’ 중에서
사람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왔기에 붙은 이름이다. 하지만 사람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만 감염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동물, 때로는 매개체 곤충에 감염하기도 한다. 몇몇 바이러스는 1차 숙주로 다른 동물이나 곤충에 감염한 뒤 최종 숙주로서 사람에 감염한다. 즉 이러한 바이러스는 사람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없다. 우리는 이러한 바이러스들을 아직도 사람 바이러스라 분류한다. 이 바이러스들은 이 이름으로 가장 많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 ‘1장_사람 바이러스’ 중에서
수두는 대개 백신을 접종하기도 전에 걸리는 소아 질환이다. 그럼에도 일부 국가에서는 예방접종을 널리 보급한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높고, 대개 학교나 지역사회를 통해 감염된다. 수두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경미해서 대부분 아동이 쉽게 회복하지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임신한 여성이 이 바이러스에 1차 감염되면 신생아에게 선천성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열나고 두통이 생기며, 고름물집을 형성하는 울퉁불퉁하고 가려운 발진이 돋다가 나중에는 허물이 벗겨진다. 가렵다는 의미의 고대 영어 ‘짓챈(giccan)’이 ‘치킨(chicken)’으로 바뀐 것이라는 설도 일리가 있지만, 수두(chicken pox)라는 이름의 기원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