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91155426494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7-04-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1. 위기의 대한민국
‘안철수의 생각’은 바뀌었나?
안철수의 아재 개그
위기의 대한민국 개혁으로 돌파
새로운 시대, 새로운 리더십
2. 제4차 산업혁명 비전
공정, 자유, 책임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
교육혁명
과학기술혁명
창업혁명
안보정책
일자리정책
성평등정책
남북정책
과거 청산과 미래 대비
3. 대한민국 개혁과 출사표
정치개혁
경제개혁
사회통합
출사표
4. 안철수와의 질문과 응답
인간 안철수
정치인 안철수
안철수도 모르는 안철수
5. 대한민국 리더십의 조건
정치 리더십의 조건
세종대왕과 안철수
미국과 대한민국의 대통령 리더십
대선후보 평가표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식인이란 지식과 지성이라는 자산으로 우리 사회의 기능과 공익에 이바지하는 사람이다. 그러한 역할과 기능이 있기에 우리는 엘리트에게 부와 권력이 쏠려도 인정해왔다. 그들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앞장서서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찾아내 우리 사회를 굴러가게 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소위 엘리트라 불리는 전문가들은 과연 그렇게 해왔는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우리에게 남긴 가장 뼈아픈 질문은 어쩌면 바로 이것인지도 모른다.
_‘위기의 대한민국 개혁으로 돌파’ 중에서
안철수 의원의 단점도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방송에서 여러 차례 안 의원을 떠나간 사람들에 대해 질문을 했고, 많은 사람이 궁금해해서 이 책에서도 같은 질문을 했다. 안 의원은 떠나는 사람을 포용하지 못한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면서 “제가 적극적으로 포용하지 못해서 발생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탓이라고 했지만, 추후 기회가 된다면 떠난 사람들과 다시 만나는 모습을 보여주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국민대통합을 하려면 먼저 자신의 주변에서부터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_‘안철수도 모르는 안철수’ 중에서
세종대왕은 젊고 유능한 인재들을 모아놓은 싱크탱크인 집현전을 통해 문화와 과학기술을 연구했다. 그 결과 문화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과학기술에서도 민중의 생활향상과 직결되는 농업의 발전을 위해서 자주적 역법의 확립 및 천문학과 기상학을 발전시키는 강력한 R&D 활동을 통해 조선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다.
차기 CEO는 문화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집중해야 한다. 조선시대 때 농업이 현재의 4차 산업혁명에 해당할 수도 있다. 미래 먹거리를 위해서 학자들과 기술자, 정치가들이 협력하고 강력한 R&D 활동을 통해 문화와 과학기술을 발달시켜야 한다.
_‘세종대왕과 안철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