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542787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8-05-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2
프롤로그 - ‘뒤섞인 대학’이 일본을 구하다
학생과 교수의 반이 외국인, 출신국은 89개국•10
이 책을 읽는 법•16
1장 : 일본인 학생들과 외국인 학생들을 뒤섞다
Part 01. 온천마을에 국제대학이 들어왔다•23
Part 02. 리츠메이칸대학교가 주목한 ‘아시아태평양학’•49
2장 : 수업을 뒤섞다. 학문을 뒤섞다
Part 01. ‘뒤섞인 수업’의 레시피 대공개•73
Part 02. 학문을 뒤섞어 만든 두 학부 - 아시아태평양학부/국제경영학부•108
3장 : 교원과 직원을 뒤섞다 – ‘뒤섞인 매니지먼트’
Part 01. ‘매니지먼트’가 APU를 일으킨 혁명의 기둥이 되었다•131
Part 02. 리츠메이칸에 이어져 내려오는 교원과 직원의 협동 정신•145
4장 : 오이타, 벳푸와 세계를 뒤섞다
Part 01. 세키사바(関サバ), 세키아지(関アジ), 유후인(湯布院) 그리고 APU•169
Part 02. 할랄 대응부터 월드컵까지•185
5장 : 기업과 대학, 그리고 일본과 세계를 하나로 뒤섞다
Part 01. 일본 기업 덕분에 APU는 탄생할 수 있었다•207
Part 02. APU 졸업생과 일본 기업이 ‘뒤섞이다’•232
Part 03. 줄줄이 탄생하는 비영리 단체 기업가들’•262
해 설. ‘혼자여도 외롭지 않은(Only is not lonely)’ 젊은이들이 자라나는 정원•274
리뷰
책속에서
세키사바(고등어), 세키아지(전갱이), 시로시타카레이(도다리), 보리소주, 유후인(온천)….
모두가 다 오이타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퍼진, 히라마쓰 전 오이타 지사의 ‘일촌 일품 운동’이 만들어낸 브랜드이다. 사실 APU도 벳푸의 이 ‘일촌 일품 운동’의 성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국제대학과 80개국에서 온 유학생들이 오이타현 벳푸시와 함께 뒤섞여간다. APU와 그 학생들, 지역 지자체와 기업, 그리고 시민이 뭉쳐 함께 도전하는 것은 ‘지방과 세계를 혼합하여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것.’ 지역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문을 내렸던 상점가가 다시 태어나고, 월드컵 선수촌이 재생되고, 지역 은행과 함께 무슬림 문화의 연구를 시작하고, 지자체와 함께 외국인을 위한 관광 안내지도를 만들어 가면서 로컬과 글로벌이 뒤섞여 간다. 대학을 시작으로 지방이 변해간다. 학생들 스스로가 오이타현을 대표하는 ‘대사’가 되어, 오이타과 벳푸의 매력을 세계로 발신한다.
그러나 인구 12만 명의 지방도시 벳푸에, 갑자기 80개국에서 온 약 3000명의 외국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마을이 격변하는 ‘대사건’이기도 했다. 그러한 소용돌이 속에서 APU는 어떻게 세계와 지방을 섞어갈 수 있었을까.
APU를 사물에 비유한다면 다채로운 색을 띤 꽃들이 ‘뒤섞여’ 피어있는 정원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꽃은 바로 전 세계에서 모인 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렬로 정렬해 놓은 화단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영국 시골에서 볼 수 있는 야생 정원과 같은 그런 정원입니다. 전 세계에서 모인 식물이 한데 뒤섞여 각각의 꽃을 피워, 그리고 공생하면서 거기에 밖에 없는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APU 캠퍼스는 전 세계에서 온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이 섞여 있으며, 대학교는 온천지로 유명한 벳푸시와 섞여 있고, 교수진과 교직원이 섞여 있으며, 학생과 교수진들도 섞여 있습니다. 섞이는 힘에는 공적으로도 사적으로도 그 깊이가 대단합니다.
형형색색의 꽃들이 야성적으로 피어 있다고 해서 정원이 방치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저는 그 점이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야성적으로 방대하게 피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야생 정원 역시 사실은 계획적이게 의도된 것으로, 인부들이 땅 밑 부분부터 매일 섬세하게 작업하는 것입니다. 잡초를 뽑고 벌레를 잡으며, 비료를 주면서 토양을 관리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다른 식물을 심기도 하죠. 그렇게 따로 관리를 하기 때문에 야생 정원도 자유롭고 방대하게 꽃을 피울 수 있는 겁니다.
APU라는 ‘정원’에도 역시 설계자와 관리자가 있습니다. 바로 교수진과 교직원들이죠. ‘단 하나밖에 없는 꽃=학생’을 섬세하고 건강하게 관리해서 키울 뿐 아니라, APU라는 야생정원을 설계하고 규칙을 정해 보듬으며 꽃을 피우게 합니다. 제가 APU가 정말 멋지다고 생각한 부분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이거야말로 ‘이상적인 매니지먼트’라고 말이죠.
<본문 해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