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9115550602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제1부 종교ㆍ심성 및 사회ㆍ경제적 관점
제1장 유사 이래 최초의 팬데믹: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1. 최초의 팬데믹|2. 최초의 페스트 창궐|3.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에 대한 대응
제2장 종교ㆍ심성적 영향: 채찍질 고행
1. 1260년의 채찍질 고행|2. 흑사병 창궐 시기의 채찍질 고행
제3장 유대인 학살: 유대인 음모론과 사회적 대응
1. 유대인 독극물 음모론|2. 계층(계급)에 따른 대응
제4장 사회ㆍ경제적 변화: 잉글랜드 내 임금 인상에 대한 논의
1. 포스탄 모델|2. 기득권 세력의 대응|3. 임금 상승인가
제2부 의학사적 관점
제5장 병인론: 흑사병은 페스트인가
1. 페스트 팬데믹|2. 흑사병 병인 논쟁|논의의 확대
제6장 제1차 흑사병 창궐 원인에 대한 당대 의학계의 인식
1. 전통적 인식론|2. 독 이론
제7장 예방법: 14세기 후반~15세기 전반기 서유럽 의학계의 관점에서
1. 전통적 예방법|2. 약물 활용
제8장 치유법: 중세 의학의 관점에서
1. 외과술|2. 약물요법
에필로그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흑사병은 중세 유럽세계의 근간을 흔들 정도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기존 체제와 권위에 균열을 가했으며 당대인의 세계관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그 근저에는 단기간에 진행된 급격한 인구 감소가 있다.
― ‘프롤로그’ 중에서
교회당국은 채찍질 고행운동이 확산되던 초창기에는 고행자의 신실한 모습에 지지를 보냈으나 점차 위기의식을 느껴갔다. 고행자 무리는 새로운 형태의 신앙조직으로서 교회의 위계와 권위에 균열을 가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로 고행자 무리는 반-성직주의 성향을 지녔다. 고행자들은 성직자의 개입 없이 서로에게 고해성사했다. 고행자 무리 중 한 명에게 채찍질하면서 “신께서 너의 모든 죄를 사해주시니라”라면서 죄를 면해주는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또한 고행자 무리의 지도자는 대중을 상대로 설교했다. 고해성사를 비롯해 죄를 사하는 의식과 설교는 오직 성직자의 몫이었다. 이 역할을 고행자 무리가 한다는 것은 교회의 성사(sacraments) 기능을 침해하는 일이었다.
― ‘제2장 종교ㆍ심성적 영향: 채찍질 고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