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55815212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2-09-16
목차
서문 모든 면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강력한 도구
1부 기본: 유형별 시점 분석하기
1장 시점의 정의와 중요성
― 왜 영화보다 원작 소설이 더 좋은가
2장 시점의 유형
― 화자의 정의와 가장 일반적인 일곱 가지 시점
3장 1인칭 시점
― 가장 내면적인 시점 vs 이야기의 범위를 좁힌다
4장 2인칭 시점
― 독자를 적극 참여시킨다 vs 독자의 신경을 거스른다
5장 3인칭 객관적 시점
― 정보를 숨겨 긴장을 만든다 vs 인간미가 없다
6장 3인칭 전지적 시점
― 자유롭고 유연하다 vs 가장 거리감이 있다
7장 3인칭 제한적 시점
― 친밀감과 정보의 균형 vs 시점 인물 묘사의 어려움
8장 3인칭 깊은 시점
― 내면적이며 ‘보여줄’ 수 있다 vs 화자의 매력에 의존한다
9장 3인칭 다중 시점
― 두 인물이 서로를 묘사한다 vs 시점 전환이 어렵다
2부 응용: 함정을 피하고 내 작품의 시점 찾기
10장 시점 유형의 조합
―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조합하여 사용하기
11장 서술적 거리
― 시점이 연속적인 개념인 이유
12장 선택의 시간
― 내 작품에 가장 잘 어울리는 시점 찾기
13장 머리 넘나들기 함정
― 이 함정은 무엇이며 어떻게 피할 것인가
14장 흔히 나타나는 시점 문제들
― 다양한 상황의 열 가지 시점 위반 피하기
15장 내적 독백
―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생각 표현
결론 어떤 조언도 실제 적용하지 않으면 소용없다
책속에서
선임 편집자로서 신인 작가들이 출판사로 보내오는 원고를 읽다보면 매일같이 시점 위반 사례를 발견한다. 경험이 많은 작가라 해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 출판사에서는 이런 원고를 대부분 거절한다. 시점은 소설의 모든 측면에 너무 큰 영향을 끼치며, 시점에 대한 근본적인 실수들을 고치려면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서문」중에서
책을 읽는 경험은 영화나 TV 드라마 같은 다른 이야기 전달 매체보다 훨씬 더 친밀하게 느껴진다. 책에는 시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단편이든 장편이든 소설을 읽을 때 독자는 그저 외적으로 드러나는 활동을 지켜보고 대화를 듣는 데 그치지 않는다. 독자는 등장인물의 내면 깊숙이 들어가 인물의 눈을 통해 사건들을 경험하고 인물의 감정을 공유한다. 이야기가 펼쳐지는 모습을 그저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그 삶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1장 시점의 정의와 중요성」중에서
독자는 어차피 시점이 무엇인지 모를 텐데 무슨 상관이냐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독자는 시점 문제가 일으키는 ‘결과’를 알아챌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그것이 시점 문제 탓이라고 정확히 짚어 말하지는 못할 테지만 그 대신 주인공에게 마음이 안 간다거나, 이야기 안에 몰입하기가 어렵다고 말할 것이다.
---「1장 시점의 정의와 중요성」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