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가요
· ISBN : 979115602998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4-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4
책의 메시지·6
제1부 임진왜란 2,405일
1 임진왜란, 6년 7개월 6일. 2,405일 12
2 왜, 전쟁이 아니라 ‘왜란’이라고 하는가 15
3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육군 해군 지휘사령부 위치(兵營·水營) 17
4 만약에 이순신 장군이 없었다면 19
5 임진왜란을 품은 대중가요, 왜국으로 끌려간 도공들의 망향가 23
제2부 임진왜란을 품은 대중가요
1599 조선가 왜국동포 / 왜국동포 / 왜국동포 34
1599 신무가 왜국동포 / 왜국동포 / 왜국동포 41
1599 어신행축사 왜국동포 / 왜국동포 / 왜국동포 45
1935 목포의 눈물 문일석 / 손목인 / 이난영 52
1940 세세년년 불사조 / 무적인 / 진방남 59
1953 쌍가락지 논개 손로원 / 이병주 / 남성봉 64
1954 향기 품은 군사우편 박금호 / 나화랑 / 유춘산 70
1956 남강은 말이 없네 손로원 / 이재호 / 문성남 81
1956 논개의 노래 김문응 / 전오승 / 박일석 86
1959 남강은 살아 있다 야인초 / 백영호 / 박재홍 91
1961 논개의 최후 야인초 / 김성근 / 최숙자 96
1962 충무공 호심 / 전오승 / 박재홍 102
1964 님 없는 탄금대 김영일 / 김영광 / 최숙자 108
1965 삼천포 아가씨 반야월 / 송운선 / 은방울자매 114
1967 계월향 반야월 / 박시춘 / 이미자 120
1967 진주 기생 김영일 / 형석기 / 최숙자 126
1967 동백꽃 피는 항구 임희재 / 박춘석 / 이미자 131
1968 추억의 한산도 김진경 / 이재현 / 남강수 136
1968 한산섬 김미선 / 안치행 / 조미미 145
1968 난중일기 이인선 / 배상태 / 한도 152
1969 논개 조선종 / 고봉산 / 이미자 166
1969 안개 낀 촉석루 이동근 / 이인선 / 이동근 170
1969 논개의 사랑 박상봉 / 이재현 / 파랑새자매 175
1971 탄금대 사연 이병환 / 백봉 / 백진주 182
1971 논개야 반야월 / 이동춘 / 린다박 189
1971 진주성 최종옥 / 최종옥 / 최희준 194
1971 촉석루의 하룻밤 손로원 / 이임호 / 손인호 201
1972 삼백리 한려수도 정두수 / 박춘석 / 이미자 209
1976 논개의 노래 윤익삼 / 남복룡 / 곽선례 247
1980 간양록 신봉승 / 조용필 / 조용필 255
1982 논개 이건우 / 이동기 / 이동기 261
1984 부산찬가 윤진평 / 이범희 / 윤시내 267
1984 신강강술래 남석현 / 남석현 / 태진아 275
1988 화개장터 김한길 / 조영남 / 조영남 283
1991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박문영 / 박문영 / 최영준과노사사 290
1992 노량대교 정두수 / 설운도 / 설운도 300
2004 불멸의 혼 임형주 / 불멸의 이순신 OST 308
2004 비풍가 마야 / 불멸의 이순신 OST 320
2005 꽃 피는 진주성 허남호 / 이영선 / 장옥정 326
2008 오동도 블루스 이창호 / 김호식 / 장윤정 332
2015 만월의 기적 김동균 / 김동균 / 비단 338
2016 쏘아 송민호 / F/B·RJ / F/B 347
2016 임진왜란 전산청 / 전산청 / 전산청 359
2016 가락지의 꿈 김동균·이정표 / 비단 373
2019 촉석루 달빛 김욱 / 김병걸 / 황정숙 378
2019 진주야 남강아 고창신 / 차석진 / 김진주 382
2019 논개의 사랑 김진환 / 김진환 / 정유근·나도경 388
2020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이순신 / 정의송 / 정의송 393
2021 오동도 동백꽃처럼 최비룡 / 최고야 / 최향 421
2021 오색팔중울산동백 최종두 / 노영철 / 정서정 427
제3부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의 메시지
이 책 『대중가요 임진왜란』은 임진왜란 6년 7개월 6일, 2405일간을 모티브로 하여 서사와 서정을 얽은 대중가요 유행가 50곡을 스토리텔링 한 르포에세이다.
선정 곡목은, 1592년 4월 13일부터 1598년 11월 19일까지 임진왜란 중의 서사와 서정을 모티브로 한 노래를 망원경으로 관찰하여 선택하였고, 이것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듯이, 노래가 품은 사연을 살폈다. 임진왜란 기간을 모티브로, 해설한 노래는 1935년 「목포의 눈물」로부터 2021년 「오색팔중울산동백」까지다.
대중가요 유행가는 탄생 시점의 1곡 7재 요소를 품고 있는 보물이다.
작사작곡가수시대사람사연모티브가 7요소다. 노래는 탄생 시점(시대)을 기준으로, ‘완료된 슬픔’과 ‘승화된 환희’와 ‘장밋빛 미래’를 시간과 공간의 궤적 위에 얽어 놓은 면포와 같다. 씨줄과 날줄을 얽은 거친 삼베 같은 역사의 원단이다.
노래는 한을 흥으로, 흥을 승화된 감으로 읊조린 것이다.
노래가 시보다 먼저였음의 증거는 ‘운문의 아버지’ 『시경』이다. 공자가 행인들을 방방곡곡에 파송하여 민초의 ‘읊조림’을 3천여 수로 모았다. 이 중 311수를 풍아송부비흥으로 구분하여 얽은 것이 시경이고, 오늘날에는 305수가 전해온다.
임진왜란은 끝나지 않았다. 지나온 시간과 공간의 궤적을 종적으로 쌓은 탑으로 살아 있는 생생한 역사다. 지나온 역사를 잊어버리면, 미래를 빼앗긴다. 과거는 그 이전의 오늘, 그 오늘 이전의 미래였다. 그래서 이 책을 얽었다. 책 속의 날짜는 임진왜란 당시를 고려한 음력이며, 각각의 노래를 독립적으로 해설한 르포에세이를 종합하였으므로, 같은 사실을 모티브로 한 노래 해설부분은 일부 내용의 중복이 있음에 대한 혜량을 당부드린다. 이 책에 스토리텔링을 한 50곡의 노래가 품고 있는 임진왜란의 상흔은 우리 아버지의 아버지어머니의 어머니가 겪은 삶이었다. 우리들의 오늘이고 미래다. 유행가는 역사다. 유행가는 역사의 유물이며 보물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을 대중가요 유행가로 반추하는 역사의 되새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