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9115612149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들머리에서
프롤로그
구성과 내용
1. 고류큐의 신화적 코스몰로지
1장 태양왕의 신화
2장 신성의 원향原鄕 구다카지마
3장 기코에오기미와 세화 우타키
4장 태양왕의 소우주 슈리성
2. 류큐 왕국의 창세신화
1장 《중산세감》의 창세신화
2장 다른 기록, 다른 신화
3장 창세신화의 재편과 류큐국 아이덴티티의 궤적
3. 류큐의 왕통 시조 신화
1장 왕통 시조 신화의 목적
2장 순천왕통의 역할
3장 데다코 영조왕의 신화
4장 역사시대 왕통의 시조 신화
5장 왕통 시조 신화 재편의 논리
4. 농경의례와 왕권 신화의 재편
1장 아마미쿠를 찾아서
2장 《류큐국유래기》의 농경 기원담
3장 순행 의례의 변화와 신화의 재편
5. 왕권의 신화, ‘시마’의 신화
1장 마을 우주의 신화적 변동
2장 천天 관념의 전용轉用과 논리
3장 마을과 왕조 ‘사이’의 공동체와 신화
에필로그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오키나와는 원래 독립적인 왕조국가였다. 류큐琉球. 옛날 오키나와에 있었다는 나라다. 달리 중산中山이라고도 한다. …… 류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책봉-조공 체제의 어엿한 일원이었다.
오키나와 섬에는 오랫동안 ‘구스쿠’라고 하는 성채城寨를 기반으로 하는 지배자들이 병립하고 있었다. 그 지배자들을 ‘아지按司’라고 하는데, 몇몇 강력한 아지들을 중심으로 점차 중산, 남산, 북산의 세 세력으로 정립되어갔다는 것이 통설이다.
류큐사는 1609년 사쓰마의 침략을 분기점으로 그 이전의 ‘고류큐古琉球’, 이후의 ‘근세 류큐’로 나뉜다. …… 1872년 메이지 정부는 …… 류큐 번왕藩王으로 삼는다는 취지의 조문詔文을 내렸다. 이른바 ‘류큐 처분’이라 지칭되는, 일련의 류큐 흡수 과정의 개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