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612288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12-09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01 다시, 여성사를 위하여
김은경 젠더링하고 퀴어링하고 크리핑하라!
정현백 여성사 연구 40년 그리고 다가올 미래 잇기
02 세계 여성사, 지금 여기
이남희 20세기 미국의 민주주의적 양육과 모성
정용숙 산업문화와 젠더
기계형 세계 여성박물관과 여성 연대
나혜심 근대의 이주 여성, 경계 넘어 사회질서에 저항한 이들
배혜정 자전거, 바지 그리고 여성 해방
김인선 노예 실리아의 주인 살해와 여성 노예의 저항
염운옥 여성사와 동물사의 만남
최재인 텃밭에서 시장으로
배인성 기독교 권위에 맞선 19세기 영국 자유사상가들의 여성관
황혜진 남성 의료인의 경합장이 된 여성의 몸
이진옥 18세기 영국의 ‘아내 팔기’ 풍습
박효근 여성과 종교개혁
변선경 성녀와 마녀, 르네상스기 모순적 여성 모델
문혜경 고대 아테네에서 여성으로 살아가기
천성림 서옥과 장주낭가
장수지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사회주의 여성 해방이 갖는 의미
이선이 일본군‘위안부’·전범·용서 그리고 여성사
03 한국 근현대 여성사, 지금 여기
홍양희 ‘포스트 가족’을 상상하며 ‘가족의 시대’를 성찰한다
윤정란·이성숙 한국 ‘여권통문의 날’은 어떻게 제정되었나?
소현숙 근대 초기 이혼소송과 ‘역사적 행위자’로서 여성
김점숙 사진신부 천연희의 생애 기록
박미현 1920~1930년대 강원 여성의 ‘연대’ 역사 쓰기
김수자 해방 직후 ‘여성의원 최저할당제’ 입법화 좌절기
김미선 ‘한국 젠더경제사’를 위한 시도
장미현 한국의 ‘노동운동가’ 이소선과 수많은 ‘이소선’을 기억해야 할 의무
이송희 1980년대 이후 부산 지역 진보여성운동 속의 지식인 여성들
정현주 여성사 보급과 대중화
이배용 한국 역사 속 여성들의 도전 정신
04 조선·고려·고대 여성사, 지금 여기
박 경 조선 여성들의 권리 찾기
하여주 조선의 ‘효성스러운 며느리’ 만들기 프로젝트
임혜련 수렴청정, 여성 정치 활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통로
이미선 조선 후궁, 내명부 일원이자 왕족 여성
박미해 조선 가부장제의 유연성
한효정 조선 후기 가부장제에 대한 ‘위험한’ 발상
이순구 딸에서 며느리로
정해은 《규합총서》, 조선 여성이 구축한 살림 지식의 세계
남미혜 조선시대 여성들은 모두 길쌈을 했을까?
김정운 안정복 집안 여성들의 소통과 사랑
박 주 열녀, 조선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창
서지영 조선시대 기녀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 틀
탁효정 여성 불교사의 허브, 조선시대 비구니 연구의 빛과 그림자
권순형 달라도 너무나 달랐던 고려시대의 열녀
이현주 신라 왕실 여성의 자리 만들기
김선주 금관으로 읽는 신라 여성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젠더사는 민속학적 탐구 영역이나 일상사적인 관심을 넘어 맥락을 고려하는 연구로 나가야한다. 특히 다양성의 시대가 만들어 내는 맥락맹context-blind의 위험성을 고려해야 하고, 그래야만 여성사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 즉 젠더사의 이론화가 가능할 것이다.
1920년 수정헌법 제19조의 통과로 건국 이후 2세기가 넘어서야 인구의 절반을 차지했던 여성에게 참정권이 부여된 것이었다. 그래서 이 사건은 여성사에서 큰 획을 긋는 사건이자 1차 여성주의운동The First Wave of Feminism의 결실로 평가된다.
여성박물관은 ‘여성’ 위인의 하우스 뮤지엄을 넘어서려는 집단적 시도이자, ‘자기만의 방’을 위해 고군분투한 여성들의 노력을 가시화하는 획기적인 시도라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여성박물관 설립은 68운동과 제2차 페미니즘 물결의 세례를 받은 여성운동가, 역사학자, 미술사가, 예술가, 전시기획자들의 문제의식이 1980년대를 지나며 상승 작용을 일으킨 결과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