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56222453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6-11-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우리도 곧 세계적인 공연장을 가질 수 있습니다!
PART 01 Opera House
[프랑스] 가르니에 오페라극장 13 | 바스티유 오페라극장 20
[이탈리아] 라 스칼라 극장 25 | 산 카를로 오페라극장 31
[덴마크] 덴마크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36
[오스트리아] 빈 국립 오페라극장 41
[스위스] 취리히 오페라하우스 47
[독일] 드레스덴 젬퍼오퍼 52
[영국] 로열 오페라하우스 58 | 런던 콜리세움 극장 65 | 글라인드본 오페라하우스 70
[스페인] 리세우 극장 75
[노르웨이]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81
[핀란드] 핀란드 국립오페라하우스 88
[러시아] 볼쇼이극장 94
[일본] 신국립극장 99 | 요코스카 예술극장 105 | KAAT 가나가와 예술극장 110
[중국] 광저우 오페라하우스 115 | 우시대극원 121 | 상하이 대극원 / 상하이 오페라하우스 127
[타이완] 타이완 국가희극원 132 | 타이중 국가가극원 / 타이중 메트로폴리탄 오페라하우스 136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143
[한국] 유니버설아트센터 150 |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156 | 고양아람누리 오페라극장 162 | 계명아트센터 168
PART 02 Concert Hall
[스페인] 카탈루냐 음악당 177 |바르셀로나 라우디토리 184
[이탈리아] 파르코 델라 뮤지카 오디토리움 189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 196 | 뮤지크게바우 aan't IJ 202
[오스트리아] 빈 무지크페라인 207 | 빈 콘체르트하우스 214
[독일] 베를린 필하모니 219 |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226 | 알테 오퍼 232 | 게반트하우스 237 | 필하모니 가스타익 245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필하모니 251
[영국] 로열 앨버트홀 257 | 로열 페스티벌홀 263 | 버밍엄 심포니홀 269 | 킹스 플레이스 275 | 세이지 게이츠헤드 281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 메종 드 라 라디오 288 | 파리 필하모니 홀 295 | 살 플레옐 304
[덴마크] 덴마크 DR 콘서트홀 309 | 뉴 덴마크 왕립극장 317
[핀란드] 핀란디아 홀 323
[체코] 프라하 루돌피눔 329 | 프라하시민극장 스메타나 홀 334
[스위스] 루체른 문화·컨벤션 센터 340 | 톤 할레 347
[미국]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 352
[일본] 산토리 홀 359 | 도쿄문화회관 367 | 오차드 홀 374 | 스미다 트리포니 홀 379 | 도쿄 오페라시티 콘서트홀 386 |도쿄예술극장 393 | 요코하마 미나토 미라이홀 401 | MUZA 가와사키 심포니홀 407 | Kitara 삿포로 콘서트홀 415 | 효고 현립 예술문화센터 421
[중국] 북경 국가대극원 428 | 상하이 오리엔탈 아트센터 436 | 상하이 심포니 홀 443 | 톈진대극원 450
[타이완] 타이완 국가음악청 456
[중국] 홍콩문화센터 461
[말레이시아] 데완 필하모닉 페트로나스 467
[한국] 서울 예술의전당 음악당 473 | 대구 콘서트 하우스 479 |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486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해머 홀 492 | 멜버른 리사이틀 센터 498
[싱가포르] 에스플라네이드 베이 극장 504
참고문헌 510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혁명의 노도(怒濤)가 휩쓸고 지나간 지 2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파리의 바스티유 광장은 여전히 변화를 꿈꾸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혁명의 거리'다. 1989년 7월 13일. 바스티유 광장과 센 강을 연결하는 파리 아스날 운하를 타고 들어온 '문화의 거대한 함정'이 바스티유에 닻을 내렸다. 거대한 선박의 모습을 형상화한 '오페라 바스티유'가 들어선 것이다. 건물규모는 연면적 16만㎡, 높이 80m(지하 30m)로 파리에서 프랑스 국립도서관, 재무부 청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건물이다.
오페라 바스티유는 단지 오페라 공연만을 위한 공연장이 아닌 무대미술을 비롯해 의상. 전기. 조명 등 오페라 공연에 필요한 74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서 공동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큼 큰 규모를 갖춘 세계에서 유일한 복합 공연 시설이다.
-바스티유 오페라극장 중에서 -
노르웨이 인구 470만 명의 작은 나라에서 총공사비 7천억 원을 들여 2008년 4월 12일 오슬로의 뵈르비카 지역에 오페라하우스를 개관하였다. 건축설계회사인 스노헤타(Snohetta)가 설계한 오페라하우스로 건물 전체의 콘셉트는 눈에 덮인 노르웨이의 산과 피요르드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건물 외벽을 36,000장의 흰색 대리석 패널과 투명 유리를 사용하여 설산과 빙하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고 한다.
오페라하우스의 가장 큰 특징은 32m 높이에서 바다로 완만하게 빠져들도록 사선으로 만들어진 하얀 대리석 지붕과 독특한 미니멀리즘 양식에 있다. 보통 때에는 시민들이 오페라 하우스 지붕에서 산책과 피크닉을 즐길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세련된 도시의 이미지 속에서도 자연과 동떨어지지 않은 오슬로의 모습을 닮았다.
니다로스 대성당(Nidarosdomen) 이후 노르웨이에 건립된 가장 큰 문화 건물인 오페라하우스는 현대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것이 중요 상징이 되어야 하며, 오페라와 발레가 사회적으로 갖춰야 할 역할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대명제 아래 건립되었다.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중에서 -
산토리 홀은 도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콘서트홀로서 이는 세계 일류의 연주단체가 회장으로 이 홀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공연공간은 소비자인 관객은 물론이고, 생산자인 연주자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산토리 홀의 설계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지휘자, 연주자, 극장관계자들에게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였고, 특히 "카라얀"의 조언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음악은 연주자와 관객이 하나가 되어 만드는 것이다. 연주자와 관객이 입체감이 있는 음악체험을 공유 할 수 있는 콘서트홀 형태인 빈야드는 그 목적에 적합하다>는 조언에 따라 객석이 스테이지의 주변을 감싸 각각의 객석에서 청취가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산토리 홀 중에서 -
1988년 준공되어 지난 시간 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전문 음악 공연홀로 자리한 예술의전당 음악당은 연중무휴(콘서트홀 320회, 리사이틀홀 370회)로 이용되는 공간으로 로비, 백스테이지, 지원공간 등의 주요시설이 장기사용으로 노후화되고, 장애인 편의시설과 여자화장실 부족 등 이용객 편의시설 확충이 시급하였다. 이에 2004년, 2005년 예산을 집중 투입하여 5개월간의 휴관기간을 확보, 음악당 전관에 대해 시설개선공사를 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공연장에 걸맞은 완벽한 음악 전용홀로 재개관하였다.
한국의 대표 음악 전용홀로 리모델링의 기본방향은 신축 당시의 건축계획 의도와 입면 이미지를 최대한 유지 확보하면서, 관람, 공연, 관리에 역점을 두고 계획됐다.
-서울 예술의전당 음악당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