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물
· ISBN : 9791156335252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3-01-27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더 잘 읽는 방법
과학은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
0. 단위는 일상 그 자체!_단위 이해하기
단위는 기준이 중요해 | 단위라고 다 같은 단위가 아니다 | 단위가 된 과학자들
1. 가속도를 느껴 본 적 있어?_갈릴레오 갈릴레이
가난도 막지 못한 수학 사랑 | 열아홉 살 때 발견한 진자의 원리 | 유럽의 일타 강사? 싸움꾼? | 피사의 사탑 실험의 진실 | 종교재판 단골이 되다 | 자연과학의 레전드가 되기까지
[일상 속 단위 이야기_갈? 갈릴레이? 갤런?]
2. 힘이 얼마나 센지 재볼래?_아이작 뉴턴
크리스마스가 생일이라고? | 비운의 칠삭둥이 | 타고난 호기심과 손재주 | 독서는 나의 힘! | 흑사병과 기적의 해 | 미적분을 두고 싸우다 | 힘을 수학으로 설명하면 | 빛에 대한 다른 생각 |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 과학자
[일상 속 단위 이야기_몸무게가 몇 뉴턴이라고?]
3. 전기가 얼마나 필요하냐면_제임스 와트
그리녹의 허약한 소년 | 증기 기관으로 가는 긴긴 여정 | 인생의 은인과의 만남 | 와트가 연 새로운 시대 | 증기 기관, 애증의 역사
[일상 속 단위 이야기_우리 주변의 와트 찾기]
4. 방선이 얼마나 나오는지 아니?_빌헬름 뢴트겐
귀한 아들의 탄생? |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 연구밖에 모르는 물리학도 | 모르니까 X, 엑스선의 발견 | 핵물리학의 시대를 열다
[일상 속 단위 이야기_R이 아니라 뢴트겐]
5. 방사능이 얼마나 흔하게?_마리 퀴리
러시아의 지배 속에서 | 여자라서 대학을 못 간다고? | 마리 퀴리가 되기까지 | 새로운 원소 플로늄과 라듐 | 인류애 넘치는 과학자 | 라듐 없는 라듐 연구소
[일상 속 단위 이야기_매일 방사능에 노출되고 있다고?]
6. 소리가 얼마나 큰지 들어 봐_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소리는 내 운명 | 최초의 전화기 발명가? | 난 슬플 때 발명을 해 | 노력+열정=발명
[일상 속 단위 이야기_층간 소음은 몇 데시벨?]
대신 물어봐 드립니다, 작가 인터뷰
교과 연계
참고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서 과학자의 이름을 붙여 만든 단위를 인정했다면, 그 과학자들은 얼마나 대단한 업적을 세운 사람들일지 궁금했다. 과학자가 단위에 이름을 남긴다는 것은 그 과학자가 해당 과학 분야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거나 혹은 우리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단위는 일상 그 자체!_단위 이해하기> 중에서
그의 부모는 그에게 물질적인 것은 물려주지 못했어도 가장 중요한 가르침을 주었다. 바로 타협하지 않는 용기와 지혜였다. (중략) “진리를 구하기 위해서라면 어떤 권위와도 맞서서 싸울 용기와 지혜를 가져야 한다”고 갈릴레이에게 가르친 것도 그의 아버지다. 이 가르침은 후에 갈릴레이가 ‘싸움꾼’, ‘토론쟁이’라는 소리를 들어 가면서, 심지어는 종교재판에 회부되면서도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토론하며 집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 <가속도를 느껴 본 적 있어?_갈릴레오 갈릴레이> 중에서
뉴턴은 “진리가 스스로 드러날 때까지 한 발짝 씩 끈기 있게 탐구를 계속하는 것”이 자신의 연구 방식이라고 밝혔는데, 독서할 때도 이해할 때까지 읽고 또 읽기를 반복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그냥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의문을 가지고 비판하고, 같은 주제에 대해 다른 의견을 낸 학자의 책을 비교함으로써 자신만의 생각을 정리해 나갔다.
- <힘이 얼마나 센지 재볼래?_아이작 뉴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