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물
· ISBN : 979115633623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07-25
책 소개
목차
1. 눈치 빠른 ‘거리 두기’의 달인 _ 장수왕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의 등장 | 첫 사신단으로 북위 황제를 녹이다 | 무슨 신하가 이렇습니까? | 풍홍을 둘러싼 외교전의 최종 승자는? | 골고루 병 주고 약 주는 ‘등거리 외교’ | 최강 군사력도 건드리지 못한 외교력
2. 나라의 생존 앞에 자존심은 사치 _ 김춘추
역시 그 집안은 어쩔 수 없군! | 그에게는 계산이 있었다 | 신은 죽을지언정 다른 것은 알지 못합니다 | 포기를 모르는 불꽃 남자 | 당나라 13만 대군을 움직인 한 사람 | 다 내줄 줄 알았지?
3. 속내를 간파하고 ‘틈’을 노려라 _ 서희
짐승의 나라, 강폭한 나라 | ‘강 건너 불’에서 ‘발등의 불’로 | 협박에서 타협의 기미를 읽어 내다 | 승패는 강약이 아니다 | ‘칼과 창’ 아닌 ‘말과 논리’의 싸움 | 천년의 귀감이 된 외교관
4. 출신에 매이지 않은 타고난 외교관 _ 설장수
무너져 가는 원나라에서 낯선 땅 고려로 | 몽골 말투 쓴다고 무시당한 고려의 대학자 | 설장수의 시대가 오다 | 저무는 고려의 끝을 잡고 | 귀화 후 40년, 다섯 임금을 거친 이력 | 한민족의 평화를 지킨 이방인 출신 외교관
5. 역대 최고의 한일 관계 전문가 _ 이예
왜구의 배에 스스로 올라타다 | 양반이 된 아전 | 오키나와 포로 송환에서 거북선 아이디어까지 | 대일 외교의 근간을 세우다 | 43년간 마흔 번 넘는 일본행
6. ‘예’와 ‘의’로 적을 상대하다 _ 사명대사
칭찬은 일본군 장수도 춤추게 한다 | 예(禮)에 살고 의(義)에 죽는 나라 | 네 머리가 보물이다, 요놈아 | 비공식 사절이 일본 본토까지 진출하다 | 원수와 평화를 논해야 하는 심정
7. 최악의 상황에도 길을 찾는 사람 _ 최명길
‘누구의 편인가’보다 중요한 것 | 입으로 전쟁하는 딱한 선비들 사이에서 | 청에게 전쟁 선포의 명분을 주다 | 꽁꽁 얼어붙은 강 위로 청군이 몰려옵니다 | 나라가 있어야 뭐라도 하지 | 찢는 이, 이어 붙이는 이 | 죄 없는 백성들을 지키는 외교 | 저의 도는 둥근 고리와도 같아
8. 가슴에 독립 품고 외세의 풍랑을 타다 _ 김가진
외세들로 위태로운 인천에 부임하다 | 독박을 쓴 실무자 | 독립자주국으로 가는 길의 최전선 | 불꽃 튀는 시 외교전 | 당신들이 언제 우리를 다스렸소? | 망국의 세월에 휘말리다 | 3월 1일, 부활하다 | 우리 정부가 있는 곳에서 죽기 위해
교과 연계
참고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장수왕은 북위와 송 모두에게 허리를 굽히면서도 정작 부딪칠 일이 오면 상대방이 ‘어마, 뜨거라’ 할 만큼 단호하게 대응했으며, 이후로도 북위와 송, 그 뒤를 이은 제나라 사이에서 철저한 등거리 외교를 시행합니다. 여기서 ‘등’이란 한자로 ‘같다’는 뜻이지요. 등거리 외교란, 말 그대로 한 나라에 치우치지 않고 각 나라와 똑같은 거리를 유지하면서 중립을 지향하는 외교인 겁니다. 《삼국사기》에서 장수왕의 행적이 주로 대륙의 각 나라에 대한 ‘조공’으로 채워져 있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 <눈치 빠른 ‘거리 두기’의 달인 _ 장수왕>
나아가 김춘추는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사대외교를 펼칩니다. 사대외교란, 크고 강한 나라를 섬기는 외교지요. 그때까지 써 온 고유의 연호를 당나라 것으로 바꾸는 것은 물론, 옷도 당나라 옷으로 입겠다고 약속했고, 자신의 아들을 인질 겸 외교관으로 당나라에 두고 왔지요.
김춘추는 신라의 생존을 위해서는 무슨 일이든 해야 했고, 생존의 위협 앞에서 자존심은 사치에 불과하다고 여겼습니다. 진덕여왕이 당나라를 찬양하는 노래를 비단에 직접 수놓아 바치는 굴욕까지도 서슴지 않았던 이유겠지요. 귀국길에 고구려 수군에게 적발되어 부하의 목숨을 희생시키고 구사일생으로 살아 돌아왔던 그로서 하지 못할 일이 무엇이었겠습니까.
- <나라의 생존 앞에 자존심은 사치 _ 김춘추>
여기서 서희의 말, ‘승부는 강하고 약함에 달린 것이 아니라 틈을 잘 보아 움직이는 것’이라는 말에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즉, 거란군이 강하고 고려군이 약하다 해서 승패가 갈리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상대의 허점과 우리의 강점을 파악하여 상대의 약한 고리를 치고 나간다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뜻이지요. 우리가 약하다고 지레 포기한다면 상대의 틈을 볼 여지 또한 사라지는 것입니다.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말도 있지만 주먹을 휘두른 사람의 옆구리는 비게 마련이죠. 서희는 그 ‘틈’을 이야기하기 시작합니다.
- <속내를 간파하고 ‘틈’을 노려라 _ 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