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634375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11-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만사교통’을 출간하면서
추천사 : 전 국회부의장 홍사덕
제1부 자녀교육 이야기
1. 자녀교육 Tip
1) 자녀가 미래 진로를 찾도록 도와주어라 … 21
2) 건강한 신체와 좋은 습관 길러주어라 … 24
3) 자녀의 가능성을 믿고 기다려라 … 25
2. 학부모를 위한 제언과 시기별 학습법
1) 초중고 학부모를 위한 제언 … 30
2) 초중고 시기별 학습법 … 35
3. 공부 잘하는 방법
1) 공부 잘하는 Tip … 44
2) 하위권 탈출을 위한 공부법 … 55
3) 상위권 진입을 위한 공부법 … 59
4) 과목별 학습법(수학, 국어, 기타 과목) … 63
5) 효과적인 암기방법 … 67
4. 고교, 대학 진학 Tip
1) 일반고, 자사고, 특목고 진학 … 72
2) 문과 이과 선택 Tip … 76
3) 학생부 종합전형 … 78
4) 대학진학 전략 … 91
5. 학원과 과외, 자기 주도적 학습 활용법
1) 학원의 장단점과 활용방법 … 102
2) 과외의 활용법 … 108
3) 자기 주도적 학습의 활용법 … 110
6. 영어 잘하는 Tip
1) 초중고 시기별 영어 교육법 … 114
2) 영역별 공부 방법(어휘, 문법, 독해, 듣기) … 126
3) 중고 내신과 수능 고득점 비결 … 142
4) 영어 회화를 잘하는 방법 … 152
7. 효과적인 어학연수
1) 초중고 시절의 어학연수 … 156
2) 대학생·성인 어학연수 … 158
3) 성공적인 어학연수를 위한 Tip … 160
제2부 교육정책 이야기 바람직한 교육 대안 이야기
1. 대학 입시 제도 개편
1) 학생부 종합전형 폐지 … 175
2) 수시·정시 일원화로 입시 제도 단순화 … 178
3) 탐구과목 수능 절대평가 … 182
4) 중고 내신 절대평가 … 183
5) 내신 평가 방식의 변화 … 184
2. 만 6세 초등학교 입학
1) 만 18세 투표권 문제가 해결된다 … 192
2) 보육 부담이 줄어들어 출산을 장려할 수 있다 … 193
3) 경제인구 확대에 도움이 된다 … 194
3. 교권 강화와 교원 임용방법 개선
1) 교권 강화 … 197
2) 교원 임용의 다양화 … 199
3) 교사 인성과 리더십 중시의 교원 선발 … 201
4) 사학 교원 선발의 감시기능 강화 … 203
4. 자유학기제
1) 자유학기제의 시기를 중3 2학기로 늦춰라 … 204
2)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 205
5. 유치원 국공립 확대 방안과 어린이집 개선안
1) 유치원 국공립 확대 방안 … 209
2) 어린이집 개선안 … 211
6. 초중고 인성교육 강화
예체능 수업 확대와 평가방식을 감상 위주로 변경 … 215
7. 4차 산업과 코딩 교육
코딩교육을 확대하여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하자 … 221
8. 대학 개혁 방안
1) 서울대 학부 폐지, 대학원 중심 연구대학 … 225
2) 국공립대학교 등록금 무료, 네트워크 공유, 국공립 대학 비중 확대 … 226
3) 기초 학문을 중시해야 한다 … 227
9. 사법시험 제도
로스쿨 제도를 보완하는 장치로 사법시험 존치 … 230
에필로그 : 교육 강국 대한민국을 꿈꾸며 … 234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과 이과 선택의 Tip
국어를 잘하면 문과로 가고 수학을 잘하면 이과로 가야할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문과 계열에서도 수학이 많이 필요한 전공이 있고, 이과 분야에서도 국어적인 요소가 필요한 과목이 있다. 문과와 이과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결국은 하나로의 통합은 어렵다.
문과와 이과 계열은 기본적인 성향이 어느 정도 다르고 대학에 가서 배워야 하는 과목에서도 상당히 차이가 나기 때문에 결국은 고교에서 배워야 하는 과목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문과 이과 선택에서 가장 고려해야 할 것은 먼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의 일에 대해 결정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문과냐 이과냐를 선택할 때 고려사항에 대해서 적어보겠다.
먼저, 학과목으로 말하면 국어와 사회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들은 문과를 선호하고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은 이과를 선호한다. 이는 어느 정도는 맞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문과에서 경영, 경제, 회계학과는 수학이 필요한 학과이다. 따라서 수학을 잘한다고 반드시 이과를 지원할 필요는 없고 국어를 잘한다고 무조건 문과를 갈 필요는 없다. 자신의 성격이나 희망하는 직업군이 문과인지 이과인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스스로 판단하기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도 좋다.
완전히 문과 성향의 학생이라면 어문계열, 인문계열로 진학하고 문과 성향이 있으면서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은 경영, 경제, 회계학과나 사회과학 계열로의 진학이 좋을 것이다. 완전히 이과 성향의 학생이라면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계열의 진학이 바람직하고 문과 성향의 이과 학생은 의학, 생명과학, 자연계열로 진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학부모님들이 자녀들의 취업을 걱정해서 이과를 선호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과 선택이 취업에 유리한 부분은 있으나 무조건 자녀들을 강요할 필요는 없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중도에 포기하게 되고 어려움에 부딪쳤을 때 잘 헤쳐나갈 수 없다. 자녀들이 무엇을 잘할 수 있는지,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를 잘 살펴 문과, 이과를 지원하게 해야 한다. 평생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선택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