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345640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3-12-02
책 소개
목차
1. 한국수필 심볼 및 제자 4
2. 발간사 – 최원현(이사장) 8
3. 축 사 – 이광복[사)한국문인협회 이사장] 10
4. 축 사 – 김용재[사)국제펜한국본부 이사장] 12
5. 한국수필가협회 연혁 17
6. 한국수필가협회 약사 39
7. 한국수필가협회 역대 이사장 편집인 주간 70
8. 한국수필 등단자 작품명 71
9. 한국수필 문학상 수상자 126
한국수필문학상
해외한국수필문학상
인산기행수필문학상
한국수필 올해의 작가상
한국수필 올해의 좋은 수필
한국수필 신인작가상
한국수필독서문학상
월산문학상
청향문학상
10. 한국수필 역대 국내 심포지엄 주제 및 강사 137
11. 한국수필 해외 심포지엄 주제 및 강사 142
12. 隨筆文藝(1~6집) 총목차 145
13. 한국수필(계간·격월간·월간) 총목차 153
14. 사무실 기금 공모 발전 기금 공모 외 603
저자소개
책속에서
1. 들어가며
1970년대는 한국현대수필이 제대로 된 수필문단을 형성한 때라 할 수 있다. 한국수필가협회의 탄생이 그것이다.《 현대수필》 같은 동인지와《 수필문예》《 수필문학》같은 잡지의 탄생을 보았으며 정비석의 <산정무한>, 이양하의 <나무>, 피천득의 <수필>, 법정의 <무소유>, 윤오영의 <참새> 같은 수필들이 발표되었고, 많은 수필집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현상도 낳았다. 또한 이 시기(1976. 3.)에 범우사에서 문고인 <범우 에세이선> <범우문고>를 간행해 문고본의 수필 문고가 문학사 및 문화사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1971년 한국수필가협회가 창립되면서 한국수필문학은 큰 발전을 이루었다. 전문잡지 이전에 최초의 수필 동인지라 할 수 있는 季刊 《essay)》(夏)1가 1963년 7월 부산에서 김병규 김일두 박문하 등에 의해 창간되어 2019년 70호를 넘어 2023년 9월 현재 100호까지 나왔으며 수많은 동인지와 수필 전문지 및 많은 수필집들이 출간되었다. 이미 《현대문학》(1955. 1. 1. 창간)이나 《월간문학》(1968. 11. 1. 창간) 등에서도 1970년대부터 수필을 싣고 있었다.
2. 한국수필가협회의 탄생과《隨筆文藝》
수필가 1만 명의 시대라고 하는 요즘은 가히 수필문학의 전성시대라 할 수 있다. 그게 반세기도 안 되는 시간 속에서 이뤄진 성과다. 그러니까 최초의 공식적인 수필문학 단체인 한국수필가협회가 창립된 게 1971년 2월 12일이다. 당시 상황을 조경희 회장은 이렇게 회고했다.
‘한국수필가협회는 1971년 2월 12일 종로2가에 있던 낙원장에서 창립총회를 가졌다. (중략) 창립총회를 서둘러 노력한 사람은 수필가가 아닌 김해성 시인이었다. 그러나 총회에서 선출된 회장은 나 조경희였다. 그 무렵 나는 한국일보 부녀회장으로 일하면서 많은 수필을 신문, 잡지에 발표했었다.’《 조경희 자서전》(2004.정우사) 창립 목적은 순수한 친목을 표방했지만 한국 문단 내지 한국수필 문단에 끼친 영향은 지대했다. 우선 그 설립 취지를 보면 한국수필가협회 규약 제3조에 ‘본회는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수필문학 향상 발전에 기여하며 작가의 권익을 옹호한다.’고 되어있다. 곧 세 가지의 목적을 말하고 있으니 첫째는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이요, 둘째는 수필문학의 향상 발전이며, 셋째는 수필작가의 권익 옹호이다. 그래서 회원의 가입도 ‘수필문학가로서 회원 2인 이상의 추천을 얻어 이사회의 승인을 얻은 자’(제4조)의 절차를 거치게 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제4조의 회원자격이 ‘수필문학가’라는 점이다. 문학으로서의 수필을 쓰는 수필작가를 지칭함이다. 당시는 정식 수필가로 등단하는 관문이 없을 때이다. 그렇다면 수필문학가의 기준을 어디다 둔 것일까. 한국수필가협회 임원들을 보면 그 기준을 대략 알 수 있다.
_‘한국수필가협회와 한국수필 약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