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합동성, 전쟁을 바꾸는 힘

합동성, 전쟁을 바꾸는 힘

조태근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합동성, 전쟁을 바꾸는 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합동성, 전쟁을 바꾸는 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56346524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5-09-23

책 소개

군 경력 34년의 현장 경험과 연구를 집약한 『합동성, 전쟁을 바꾸는 힘』. 합동성이 단순한 제도가 아닌 신뢰와 가치, 심리적 전환 위에서 완성됨을 밝히고, 우리 군이 나아갈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는 실천적 군사 교양서.

목차

서문 4

제1장
합동성,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다
제1절 우리 군의 합동성 수준은 왜 낮은가? 18
제2절 합동성 문제를 풀기 위한 접근법과 연구 프레임 25
1. 기존 접근의 한계와 새로운 시각 25
2. 연구의 방향성과 질문 26
3. 연구 범위 26
4. 분석 방법 27
5. 분석 프레임 29
6. 책의 전체 구성 31
제3절 기존 논의 검토와 이 책의 차별성 32

제2장
합동성을 이해하기 위한 4가지 관점
제1절 국방조직의 이해 39
1. 국방조직: 복합적 시스템의 이해 39
2. 군구조: 전투력을 구성하는 기본 골격 44
3. 군제 유형 46
제2절 합동성과 합동군의 본질 54
1. 합동성 개념 54
2. 합동성의 영역 67
3. 합동군과 합동작전 72
제3절 핵심가치와 합동성 76
1. 핵심가치 개념 76
2. 조직문화와 핵심가치 78
3. 핵심가치와 합동성의 상관관계 83
제4절 합동성 진단을 위한 조직 분석 틀 87
1. 사일로 효과(Silo Effect) 87
2. 맥킨지 7S 모델 92
3. 샤인의 조직문화 모델 97

제3장
합동성, 왜 아직도 제자리인가?
(문제의 근원과 우리 군의 현주소)
제1절 합동성 문제의 근원 108
1. 각 군의 전략사상과 문화의 차이 109
2. 조직이론과 자군 중심주의 117
3. 인간 심리와 집단 응집성의 이중성 120
제2절 합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과 수준 125
1. 정부 차원의 합동성 강화 시도 125
2. 합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 분석 141
3. 우리 군의 합동성 수준 152
제3절 핵심정리: 무엇이 문제이고, 어디부터 바꿔야 하는가? 159

제4장
핵심가치, 조직성과와 통합을 이끄는 내적 동력
- 일류기업 및 군사 선진국의 사례 분석
제1절 일류기업의 핵심가치 실천사례 164
1. 애플(Apple) 164
2.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175
3. 스타벅스(Starbucks) 182
제2절 군사 선진국의 핵심가치 적용사례 190
1. 美 합동군 191
2. 英 합동군 200
3. 이스라엘 방위군 207
제3절 핵심정리: 우리 군의 변화를 위한 교훈 214

제5장
핵심가치 기반 합동성 강화방안
제1절 합동 문화변용(Joint Acculturation) 221
1. 합동 문화변용 개념 221
2.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합동군 228
제2절 합동군의 핵심가치 접근 232
1. 합동군의 핵심가치 요건과 접근방법 232
2. 핵심가치 선정 시 고려사항 236
제3절 핵심가치 선정과 실천을 통한 합동성 강화 247
1. 합동군의 핵심가치 선정 248
2. 핵심가치 실천을 통한 합동성 강화 253
3. 합동 리더십 발휘 258

제6장
결론: 합동성 강화를 위한 가치 중심의 전환 265

주(註) 277
참고문헌 291

저자소개

조태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1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소위로 임관하여 전투부대, 정책부서, 전투 지원부대, 교육기관 등에서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며 현장 경험과 정책·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폭넓게 축적해왔다. 2019년부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군사학 교육을 담당하며, 합동성·합동작전, 합동 기획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교육을 통해 중견 간부들의 전문성 함양과 합동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국방대학교에서 국가안전보장학 석사학위를, 대전대학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방정책, 군사전략·기획, 합동작전, 리더십 등이며, 이번 저서는 그동안의 현장 경험, 연구 성과, 교육 활동을 종합하여 우리 군의 합동성 강화를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 결실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1. 합동성 개념
(1) 합동성(Jointness)의 정의
‘합동성’이라는 용어는 우리 군에서 군사력 건설과 운용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역대 정부의 국방개혁에서 늘 화두가 되어왔다. 합동성에 기초한 미래 전력건설, 합동성에 기반한 군사력 운용방안, 합동성 측면에서의 전쟁사례 분석, 합동성과 미래전 등 어디서 보았던 낯익은 문구들이다. 자주 이야기된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와 그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이다. ‘합동성’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합동(Joint)’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합동’의 사전적 의미는 “둘 이상의 조직이나 개인이 모여 행동이나 일을 함께함” 35 을 의미하고 군사적 의미는 “동일 국가의 2개 군 이상의 부대가 동일 목적으로 참가하는 각종 활동, 작전, 조직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36 선행어로 사용될 때는 육·해·공군 각 군종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미군의 정의도 우리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 ‘합동’이라는 개념은 오래전에 존재했다. 1789년 창설된 미국 전쟁성은 내각 중 하나로 육군의 조직과 작전,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었고, 해군의 운영도 담당했다. 1798년 해군성이 설립되어 전쟁성의 해군 운영업무는 해군성으로 이관되었다.
분리된 육군과 해군은 독자적으로 발전을 추구했으며 의회로부터 각각 예산을 배정받았다. 이후,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은 육군과 해군의 협조를 위해 1903년 육·해군 합동위원회(Joint Board)를 설치하여 운영했으나 권한이 없어 실질적인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합동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된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이다. 제1차 세계대전 시 육군과 해군이 각각 항공기를 운영함에 따라 작전개념과 공간 운영의 중복으로 갈등이 발생했다. 1931 년 1월, 당시 육군참모총장 맥아더와 해군참모총장 프렛은 ‘맥아 더-프렛 협정(MacArthur-Pratt agreement between the Army and the Navy)’을 체결하여 육군항공과 해군항공의 역할을 조정하고, 육군항공의 해안방어 및 정찰 임무 확대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 협정은 개인적 차원의 합의였으며 법적 구속력은 없었다.
_본문 ‘제2절 합동성과 합동군의 본질’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