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연구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연구

(AURI 기본 2014-4)

차주영, 심경미 (지은이)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연구 (AURI 기본 2014-4)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56590101
· 쪽수 : 241쪽
· 출판일 : 2014-12-31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방법 및 흐름 7
1) 연구의 방법 7
2) 연구의 흐름 8
3. 선행연구 검토 9
1) 선행연구 현황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제2장 국내 유사제도 검토 및 적용사례 현황분석 15
1. 건축자산 진흥구역의 개념 16
1) 건축자산 및 우수건축자산의 개념 16
2) 건축자산 유사 개념 비교 18
3) 건축자산 진흥구역의 개념 21
2. 국내 유사제도 검토 및 관리체계 비교?분석 23
1) 유사제도 개요 23
2) 유사제도 비교·분석 34
3. 국내 유사제도 적용사례 현황분석 45
1) 성북동 역사문화지구 : 지구단위계획 관리 사례 46
2) 성북동 장수마을 : 주거환경관리사업(지구단위계획)+리모델링활성화구역 관리 사례 50
3) 은평 한옥마을 : 재정비촉진지구 내 지구단위계획+특별건축구역 지정 사례 55
4) 인천시 중구 개항장 일대 : 지구단위계획 + 문화지구관리계획 사례 60
5) 대구시 중구 일대 : 역사경관 조성사업 등 활용 사례 65
4. 소결 : 기존 유사제도들의 특성 및 시사점 69

제3장 해외사례 분석 75
1. 프랑스의 SS 및 ZPPAUP 76
1) 프랑스의 건축자산 면단위 관리제도의 발전과 개요 76
2) 보존지구(Secteurs Sauvegardes; SS) 78
3) ZPPAUP(건축·도시·경관적 문화유산 보호지구, Zone de protections du patrimoine architectural, urbain et paysager) 82
2. 영국의 Conservation Area 92
1) 영국의 건축자산 면단위 관리제도의 발전과 개요 92
2) 보존구역(CONSERVATION AREA) 93
3. 미국의 Historic District 103
1) 미국의 건축자산 면단위 관리제도 개요 103
2) 연방정부 차원의 NRHPs 103
3) 지역정부 차원의 Historic District 108
4. 국내에의 시사점 117

제4장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기준 검토 및 실태파악 121
1. 대상지 개요 및 건축자산 밀집지역 추출 122
1) 대상지 선정 배경 및 개요 122
2) 적지분석 및 분석결과 130
3) 건축자산 분포유형 및 관리방향 133
2.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기준 및 대상지 추출 135
1) 지정기준 대안별 검토 및 설정 135
2) 서울 사대문안 건축자산 진흥구역 대상지 추출(예시) 141
3) 유사사례지 적용을 통한 지정기준 적정성 검토 145
3. 건축자산 진흥구역 운영방안 검토 147
1) 건축자산 진흥구역의 유형 및 유형구분 process 147
2) 대상지의 관리계획 유형별 운영방안 검토 : 관련 계획과의 관계 정립 149
3) 관리계획 유형별 건축자산 진흥계획 수립 절차 150
4. 건축자산 진흥구역 실태파악 및 특례적용 검토 155
1) 유형별 사례대상지 선정 155
2) 유형별 사례대상지 실태파악 및 특례적용 검토 156
3) 건축자산 진흥구역 특례적용에 따른 경관개선 효과 173
5. 주요 쟁점 및 개선방향 177

제5장 건축자산 진흥구역 운영방안 및 정책제안 179
1.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방안 179
1) 기본방향 및 원칙 179
2) 정기준 및 절차 180
3) 구역 지정 후 집행방식 184
4) 지원 수단 및 범위 191
5) 관리 및 지원대상의 범위 193
6) 건축자산 진흥구역 운영을 위한 개선사항(관련법 개정(안)) 196
2. 연구의 요약 및 의의 200
3. 정책제안 및 향후 연구과제 203
1) 정책제안 203
2) 향후 연구제안 205

참고문헌 207
SUMMARY 219
부록1.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225
부록2.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요건 검토를 위한 분석과정 237

저자소개

차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슈투트가르트대학교 건축 및 도시계획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슈투트가르트 소재 도시 설계사무소인 Stadtbauatelier에서 다수의 도시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국토연구원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심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와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도시공학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계획부에 근무하였으며, 현재 국토연구원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