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피 투게더

해피 투게더

서장원 (지은이), 페이지 모리스 (옮긴이)
도서출판 아시아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550원 -10% 2,500원
470원
10,580원 >
8,55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855원
10,19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피 투게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피 투게더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56625339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1-04-20

책 소개

K-픽션 스물아홉 번째 작품. 대학 영화 동아리에서 친해진 ‘나’와 ‘해주’와 ‘민형’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태국에서 성전환수술을 받은 ‘나’가 수술 이후 처음으로 해주와 만나게 된 날을 그린다.

목차

해피 투게더 Happy Together
창작노트 Writer’s Note
해설 Commentary
비평의 목소리 Critical Acclaim

저자소개

페이지 모리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페이지 모리스는 미국 뉴저지 출신의 작가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현재 한국에서 활동 중이다. 브라운대학교 민족학과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럿거스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산문화재단,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미국 문학 번역가 협회로부터 상을 받았다. 정소연, 서장원, 박솔뫼, 이상우 소설가의 작품을 영문으로 옮겼다. Paige Aniyah Morris is a writer, educator, and translator from Jersey City, NJ, now based in South Korea. She holds BAs in Ethnic Studies and Literary Arts from Brown University and an MFA in Creative Writing from Rutgers University-Newark. The recipient of awards from the Daesan Foundation, the Fulbright Program, and the American Literary Translators Association, she has translated work by Jeong Soyeon, Seo Jangwon, Bak Solmay, Yi Sangwoo, and others.
펼치기

책속에서

이 소설은 커다란 소파에 나란히 앉아 영화를 보던 친구들이 그 소파를 떠나는 이야기다. 조금 더 정확히 화자의 시점에서 말하자면, 친구들이 모두 소파를 떠날 때까지 소파에 남아 있다가 결국 불 꺼진 스크린 속 자신을 보게 되는 이야기다.
This is a story about friends who once watched movies side by side on a big sofa getting up from that sofa. More precisely, from the narrator’s point of view, this is a story about staying on the sofa until your friends have all gotten up, until the screen eventually cuts to black, allowing you to see yourself in it.
- 창작노트 중에서 From Writer’s Note


이 소설의 관심이 단지 (상상된) 동질성을 매개로 한 ‘우정’과 ‘여성연대’에만 있지 않음은 선연하다. 즉 소설은 독자의 동일시 대상을 ‘민형의 여성혐오를 매개로 형성된 ‘나-해주’의 여성연대’가아니라, 시스젠더 헤테로 커플로부터 미묘한 차별과 타자화를 경험한 트랜스여성 ‘나’로 주의 깊게 이동시켰다. 이제 독자의 관심은 꽤 교묘하게 연출된 시스여성과 트랜스여성의 위계를 어떻게 봉합할 것인가에 있다.
It is clear that the story’s interest is not merely in the (imagined) oneness between “friendship”and “women’s solidarity.”In this story, rather than readers finding a target for their empathy in the narrator and Haejoo, an alliance formed as a result of Minhyung’s misogyny, they are most deeply moved by the subtle discrimination and otherization the trans woman narrator has experienced from this cisgender, heterosexual couple. Now, the readers’interest lies in how the quite skillfully produced hierarchy of cis women and trans women might be redressed.
- 오혜진(문학평론가) Oh Hye-jin(Literary Critic)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