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풍 악부 가음

고풍 악부 가음

(이백 시의 정화)

이백 (지은이), 진옥경, 노경희 (옮긴이)
  |  
역락
2014-05-26
  |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47,500원 -5% 0원 2,50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풍 악부 가음

책 정보

· 제목 : 고풍 악부 가음 (이백 시의 정화)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문학 > 중국고전-시가
· ISBN : 9791156860532
· 쪽수 : 720쪽

책 소개

이백의 시들 중 역대 평자들에 의해 가장 이백다운 시로 공인받은 3대 장르, 고풍 59선, 악부 119선, 가음 41선 등 총219선의 작품들을 번역하고, 각각에 대해 주석과 해설을 붙여 고전과 한시를 모르는 대중들도 이백의 시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이해를 돕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_5
일러두기_22
[서문] 이백 시가론 ― 붓 끝에 핀 꽃_25

1부 고풍古風
|이백 고풍론 사색과 비유 ㆍ 41
1. 크고 바른 시 사라진 지 오래[大雅久不作] ㆍ 58
2. 두꺼비가 하늘에 올라[蟾?薄太淸] ㆍ 62
3. 진시황이 천하를 쓸어내고[秦王掃六合] ㆍ 65
4. 봉황이 구천 길 하늘을 날아[鳳飛九千刃] ㆍ 68
5. 태백산은 어이 그리 푸르른고[太白何蒼蒼] ㆍ 71
6. 북에서 온 말, 남녘 땅 그리워 않고[代馬不思越] ㆍ 73
7. 객 중에 학을 탄 신선이 있어[客有鶴上仙] ㆍ 76
8. 함양의 이삼월[咸陽二三月] ㆍ 78
9. 장자는 꿈에 나비 되고[莊周夢胡蝶] ㆍ 81
10. 제나라에 대범한 인물들 있었지만[齊有倜?生] ㆍ 83
11. 황하는 동쪽 바다로 달려가고[黃河走東溟] ㆍ 86
12. 송백은 본래 고고하고 꼿꼿하여[松栢本孤直] ㆍ 88
13. 군평이 세상을 버리니[君平旣棄世] ㆍ 90
14. 오랑캐 요새엔 모래 바람 드세어[胡關饒風沙] ㆍ 93
15. 연나라 소왕은 곽외를 모셔와[燕昭延郭?] ㆍ 95
16. 귀한 칼은 한 쌍의 교룡[寶劍雙蛟龍] ㆍ 97
17. 금화산의 양치는 소년[金華牧羊兒] ㆍ 99
18. 천진교의 춘삼월[天津三月時] ㆍ 101
19. 서쪽 연화산에 올라 [西上蓮花山] ㆍ 105
20. 전에 나 제나라 서울서 노닐 적에[昔我遊齊都] ㆍ 107
21. 영 땅의 나그네, 백설곡을 읊조리니[?客吟白雪] ㆍ 110
22. 진 땅의 강물이 농수 언덕 떠나와[秦水別?首] ㆍ 111
23. 가을 이슬 희기가 옥구슬 같은데[秋露白如玉] ㆍ 113
24. 우람한 수레 뿌연 먼지 휘날려[大車揚飛塵] ㆍ 115
25. 세상과 도리는 날마다 서로 멀어져[世道日交喪] ㆍ 118
26. 푸른 연이 숨은 샘에서 돋아나[碧荷生幽泉] ㆍ 120
27. 연과 조 땅의 빼어난 미인[燕趙有秀色] ㆍ 121
28. 고운 얼굴 시들기 번개와 같고[容顔若飛電] ㆍ 123
29. 삼대의 왕조가 전국시대로 갈라져[三季分戰國] ㆍ 125
30. 그윽한 풍조, 태고 적과 달라졌고[玄風變太古] ㆍ 127
31. 정용이 서쪽으로 함곡관에 들어가려[鄭客西入關] ㆍ 129
32. 가을의 신은 서늘한 기운 흩뿌리고[?收肅金氣] ㆍ 131
33. 북쪽 바다에 큰 고기 있으니[北溟有巨魚] ㆍ 132
34. 깃 달린 격서, 유성처럼 빨리 달려[羽檄如流星] ㆍ 134
35. 못생긴 아낙이 서시를 흉내 내며[醜女來效?] ㆍ 137
36. 옥을 안고 초나라에 갔다가[抱玉入楚國] ㆍ 140
37. 그 옛날 연나라 신하가 통곡을 하니[燕臣昔慟哭] ㆍ 142
38. 한 떨기 난초, 깊숙한 정원에 피었네[孤蘭生幽園] ㆍ 144
39. 높이 올라 사방을 바라보니[登高望四海] ㆍ 145
40. 봉황은 주려도 곡식을 쪼지 않고[鳳飢不啄粟] ㆍ 147
41. 아침엔 자니해를 헤적이고[朝弄紫泥海] ㆍ 149
42. 훨훨 나는 갈매기 한 쌍[搖裔雙白鷗] ㆍ 151
43. 목왕은 유람 생각뿐[周穆八荒意] ㆍ 153
44. 짙푸른 겨우살이 얼기설기[綠蘿紛??] ㆍ 155
45. 천지팔방 몰아치는 일진광풍에[八荒馳驚?] ㆍ 157
46. 일백 하고도 사십 년[一百四十年] ㆍ 159
47. 복사꽃, 동쪽 뜰에 피어나[桃花開東園] ㆍ 161
48. 진나라 황제, 보검을 짚고서[秦皇按寶劍] ㆍ 162
49. 미인이 남쪽 땅에서 나와[美人出南國] ㆍ 164
50. 송나라 오대의 동쪽에서[宋國梧臺東] ㆍ 166
51. 은 왕비 달기는 천기를 흩뜨렸고[殷后亂天紀] ㆍ 168
52. 푸른 봄, 세찬 여울로 흐르더니[靑春流驚湍] ㆍ 170
53. 전국시대, 어이 그리 뒤숭숭한고[戰國何紛紛] ㆍ 172
54. 칼 짚고 높은 누대에 올라[倚劍登高臺] ㆍ 174
55. 제의 거문고로 동쪽 가락 퉁기고[齊瑟彈東吟] ㆍ 175
56. 월의 사람이 야광주 캐내어[越客採明珠] ㆍ 177
57. 날짐승도 저마다 타고난 재주 있어[羽族稟萬化] ㆍ 178
58. 나는 무산의 모래섬에 와[我行巫山渚] ㆍ 179
59. 구슬프게 갈림길에서 흐느끼며[惻惻泣路岐] ㆍ 181

제2부 악부樂府
|이백 악부론 오래된 노래 ㆍ 187
1. 머나먼 이별 《원별리 遠別離》 ㆍ 196
2. 강 건너지 말아요 《공무도하 公無渡河》 ㆍ 199
3. 촉으로 가는 길 어려워 《촉도난 蜀道難》 ㆍ 202
4. 양보의 노래 《양보음 梁甫吟》 ㆍ 207
5. 까마귀 밤에 울고 《오야제 烏夜啼》 ㆍ 212
6. 까마귀 깃들일 제 《오서곡 烏棲曲》 ㆍ 214
7. 전쟁의 노래 《전성남 戰城南》 ㆍ 216
8. 권주가 《장진주 將進酒》 ㆍ 219
9. 사냥의 노래 《행행차유렵폅 行行且遊獵篇》 ㆍ 222
10. 용은 날아가고 《비룡인 飛龍引》 2수 ㆍ 224
(1) 황제가 형산에서 구리 솥을 만들어[黃帝鑄鼎於荊山] 224
(2) 정호에 흐르는 물 맑고도 한가롭다[湖流水淸且閑] 225
11. 천마의 노래 《천마가 天馬歌》 ㆍ 228
12. 인생길 어려워라 《행로난 行路難》 3수 ㆍ 232
(1) 금동이 맑은 술은 한 말에 만 냥[金樽淸酒斗十千] 232
(2) 큰 길이 하늘처럼 트였건만[大道如靑天] 234
(3) 귀 있어도 영수 물에 귀 씻지 말고[有耳莫洗潁川水] 235
13. 오랜 그리움1 《장상사 長相思》 [長相思, 在長安] ㆍ 238
14. 상류전의 노래 《상류전행 上留田行》 ㆍ 240
15. 봄노래 《춘일행 春日行》 ㆍ 244
16. 앞에 술이 있으니 《전유준주행 前有樽酒行》 2수 ㆍ 247
(1) 봄바람이 동쪽에서 건듯 불어오며[春風東來忽相過] 247
(2) 용문의 벽오동 거문고 타며[琴奏龍門之綠桐] 248
17. 밤중에 홀로 앉아 《야좌음 夜坐吟》 ㆍ 250
18. 벌판의 참새 《야전황작행 野田黃雀行》 ㆍ 252
19. 공후를 타며 《공후인 ??謠》 ㆍ 254
20. 아침에 나는 꿩 《치조비 雉朝飛》 ㆍ 257
21. 광대의 노래 《상운락 上雲樂》 ㆍ 259
22. 흰 비둘기의 노래 《이칙격상백구불무사 夷則格上白鳩拂舞辭》 ㆍ 264
23. 해는 뜨고 지며 《일출입행 日出入行》 ㆍ 267
24. 오랑캐 무찌르고 《호무인 胡無人》 ㆍ 269
25. 북풍 몰아쳐 《북풍행 北風行》 ㆍ 271
26. 협객의 노래 《협객행 俠客行》 ㆍ 274
27. 관산에 뜬 달 《관산월 關山月》 ㆍ 277
28. 또록또록 《독록편 獨?篇》 ㆍ 279
29. 높이 올라 멀리 바라보며 《등고구이망원해 登高丘而望遠海》 ㆍ 282
30. 좋은 봄날 《양춘가 陽春歌》 ㆍ 285
31. 양반아 《양반아 楊叛兒》 ㆍ 287
32. 제비 한 쌍 헤어져 《쌍연리 雙燕離》 ㆍ 289
33. 산사람이 술 권하니 《산인권주 山人勸酒》 ㆍ 291
34. 우전의 꽃 따는 이 《우전채화 于?採花》 ㆍ 294
35. 곤궁한 선비의 노래 《국가행 鞠歌行》 ㆍ 296
36. 숨은 냇물 《유간천 幽澗泉》 ㆍ 299
37. 왕소군 《왕소군 王昭君》 2수 ㆍ 301
(1) 한나라 진 땅에 뜬 달[漢家秦地月] 301
(2) 왕소군이 옥안장을 털며[昭君拂玉鞍] 302
38. 중산의 어린 궁녀 《중산유자첩가 中山孺子妾歌》 ㆍ 303
39. 형주의 노래 《형주가 荊州歌》 ㆍ 305
40. 춤을 곁들여 연주하는 치자반곡 가사 《치자반곡사 設?邪伎鼓吹雉子班曲辭》 ㆍ 306
41. 만남의 노래1 《상봉행 相逢行》 ㆍ 308
42. 예로부터 이런 생각이 《고유소사 古有所思》 ㆍ 309
43. 오랜 이별 《구별리 久別離》 ㆍ 311
44. 흰머리 되고지고 《백두음 白頭吟》 2수 ㆍ 313
(1) 금강은 동으로 북으로 흘러[錦水東北流] 313
(2) 금강이 동으로 푸르게 흘러[錦水東流碧] 315
45. 연 따러 가세 《채련곡 採蓮曲》 ㆍ 319
46. 강가에 모인 병사들 《임강왕절사가 臨江王節士歌》 ㆍ 321
47. 사마장군의 노래 《사마장군가 司馬將軍歌》 ㆍ 323
48. 임금의 길 《군도곡 君道曲》 ㆍ 326
49. 버선 끈 매며 《결말자 結靺子》 ㆍ 328
50. 젊은이들 모여서 《결객소년장행 結客少年場行》 ㆍ 330
51. 장간 마을에서 《장간행 長干行》 2수 ㆍ 333
(1) 내 머리 이마를 막 덮을 적에[妾髮初覆額] 333
(2) 깊고 깊던 규중시절 되돌아보니[憶妾深閨里] 336
52. 밝은 옛 달 《고낭월행 古朗月行》 ㆍ 338
53. 임금님은 회중으로 《상지회 上之回》 ㆍ 340
54. 임 그리워 《독불견 獨不見》 ㆍ 342
55. 모시 한삼 춤 노래 《백저사 白紵辭》 3수 ㆍ 344
(1) 맑은 곡조 드날려[揚淸歌] 344
(2) 관왜전 저물녘에 풍악소리 그윽한데[館娃日落歌吹深] 345
(3) 오 땅 칼로 비단 버혀 춤옷을 지었으니[吳刀剪綵縫舞衣] 346
56. 우는 기러기 《명안행 鳴雁行》 ㆍ 348
57. 박복한 내 신세 《첩박명 妾薄命》 ㆍ 350
58. 유주 사나이의 노래 《유주호마객가 幽州胡馬客歌》 ㆍ 352
59. 수레 탄 나그네 《문유거마객행 門有車馬客行》 ㆍ 355
60. 군자의 생각 《군자유소사행 君子有所思行》 ㆍ 358
61. 장한 동해의 아낙 《동해유용부 東海有勇婦》 ㆍ 361
62. 누런 칡 삶아 《황갈편 黃葛篇》 ㆍ 365
63. 흰말을 타고 《백마편 白馬篇》 ㆍ 367
64. 퉁소 소리 《봉생편 鳳笙篇》 ㆍ 370
65. 원망의 노래 《원가행 怨歌行》 ㆍ 372
66. 요새 아래서 《새하곡 塞下曲》 6수 ㆍ 374
(1) 오월의 천산엔 흰 눈이 쌓여[五月天山雪] 374
(2) 천자의 병사들, 거친 북쪽 땅으로 출정하고[天兵下北荒] 375
(3) 준마는 회오리바람 같은데[駿馬似風?] 376
(4) 흰 말은 황금 요새에[白馬黃金塞] 377
(5) 변새의 오랑캐, 가을 틈타 내려오니[塞虜乘秋下] 378
(6) 봉화 불이 사막에 어른대고[烽火動沙漠] 379
67. 지나온 날 힘들었지만 《내일대난 來日大難》 ㆍ 381
68. 요새 위에서 《새상곡 塞上曲》 ㆍ 384
69. 옥섬돌에 우두커니 《옥계원 玉階怨》 ㆍ 386
70. 양양의 노래 《양양곡 襄陽曲》 4수 ㆍ 388
(1) 양양은 놀며 즐기는 곳[襄陽行樂處] 388
(2) 산공이 술에 취했을 적에[山公醉酒時] 388
(3) 현산은 한수 가에 있어서[峴山臨漢江] 389
(4) 습가네 연못에서 취한다 해도[且醉習家池] 390
71. 대제의 노래 《대제곡 大堤曲》 ㆍ 391
72. 궁중의 즐거움 《궁중행락사 宮中行樂詞》 8수 ㆍ 393
(1) 어렸을 적부터 귀한 집에서 자라더니[小小生金屋] 393
(2) 버들은 여린 황금 빛[柳色黃金嫩] 394
(3) 노 땅의 귤이 진 땅의 나무 되고[盧橘爲秦樹] 395
(4) 고운 나무에 봄 돌아온 날[玉樹春歸日] 395
(5) 수놓은 방에 향그런 바람 따스한데[繡戶香風暖] 396
(6) 오늘은 명광문 안에서[今日明光裏] 397
(7) 찬 눈은 매화 속에 스러지고[寒雪梅中盡] 397
(8) 물 푸른 남훈전이요[水綠南薰殿] 398
73. 청평곡에 부쳐 《청평조사 淸平調詞》 3수 ㆍ 400
(1) 구름 같은 옷자락, 꽃다운 자태[雲想衣裳花想容] 400
(2) 한 가지 붉은 꽃이 이슬 맺혀 향기로워[一枝紅?露凝香] 401
(3) 이름난 꽃과 미인 모두 다 즐거워[名花傾國兩相歡] 401
74. 왕궁의 조회 《고취입조곡 鼓吹入朝曲》 ㆍ 403
75. 여휴의 무용담 《진녀휴행 秦女休行》 ㆍ 405
76. 궁녀는 옷을 개고 《진녀권의 秦女卷衣》 ㆍ 407
77. 불우를 노래함 《동무음 東武吟》 ㆍ 409
78. 한단의 궁녀가 못난이에게 시집가 《한단재인가위시양졸부 邯鄲才人嫁爲?養卒婦》 ㆍ 412
79. 계의 북쪽 문을 나서며 《출자계북문행 出自?北門行》 ㆍ 414
80. 낙양 길 《낙양맥 洛陽陌》 ㆍ 416
81. 북으로 가는 길 《북상행 北上行》 ㆍ 417
82. 짧은 인생 《단가행 短歌行》 ㆍ 420
83. 빈 성의 참새 《공성작 空城雀》 ㆍ 422
84. 보살만 《보살만 菩薩蠻》 ㆍ 424
85. 그리운 진아 《억진아 憶秦娥》 ㆍ 427
86. 백마진을 떠나며 《발백마 發白馬》 ㆍ 429
87. 밭두둑의 뽕나무 《맥상상 陌上桑》 ㆍ 432
88. 마른 어포, 물가에서 울며 《고어과하읍 枯魚過河泣》 ㆍ 434
89. 슬픈 탄식 《정도호가 丁都護歌》 ㆍ 436
90. 만남의 노래2 《상봉행 相逢行》 ㆍ 438
91. 천리 길 그리워 《천리사 千里思》 ㆍ 441
92. 숲속 풀 《수중초 樹中草》 ㆍ 443
93. 그대 누런 말 《군마황 君馬黃》 ㆍ 445
94. 옛 노래 《의고 擬古》 ㆍ 447
95. 버들가지 따다가 《절양류 折楊柳》 ㆍ 449
96. 젊은이들 《소년자 少年子》 ㆍ 451
97. 붉은 말 《자류마 紫?馬》 ㆍ 453
98. 젊은이의 노래1 《소년행 少年行》 2수 ㆍ 455
(1) 축을 연주하며 살진 술을 마시고[擊筑飮美酒] 455
(2) 오릉의 젊은이, 금시 동쪽에[五陵年少金市東] 456
99. 흰 코배기 말 《백비과 白鼻?》 ㆍ 458
100. 예장의 노래 《예장행 豫章行》 ㆍ 460
101. 목욕하는 사람 《목욕자 沐浴子》 ㆍ 462
102. 고구려 《고구려 高句驪》 ㆍ 464
103. 적막한 밤에 《정야사 靜夜思》 ㆍ 465
104. 맑은 호수 《녹수곡 ?水曲》 ㆍ 466
105. 봉황의 노래 《봉황곡 鳳凰曲》 ㆍ 467
106. 봉황이 날아간 누대 《봉대곡 鳳臺曲》 ㆍ 469
107. 종군의 노래 《종군행 從軍行》 ㆍ 470
108. 가을 시름1 《추사 秋思》 ㆍ 472
109. 봄 시름 《춘사 春思》 ㆍ 474
110. 가을 시름2 《추사 秋思》 ㆍ 476
111. 자야의 노래 《자야오가 子夜吳歌》 4수 ㆍ 477
(1) 진 땅의 나부 아씨[秦地羅敷女] 477
(2) 경호 삼백 리에[鏡湖三百里] 478
(3) 장안엔 조각달 하나[長安一片月] 479
(4) 내일 아침 역졸이 길 떠난다고[明朝驛使發] 480
112. 술을 대하고 《대주행 對酒行》 ㆍ 481
113. 장사꾼의 노래 《고객행 ?客行》 ㆍ 483
114. 다듬이질 노래 《도의편 ?衣篇》 ㆍ 484
115. 젊은이의 노래2 《소년행 少年行》[君不見淮南少年游俠客] ㆍ 487
116. 긴 노래 《장가행 長歌行》 ㆍ 490
117. 오랜 그리움2 《장상사 長相思》[日色欲盡花含烟] ㆍ 492
118. 사나운 범 《맹호행 猛虎行》 ㆍ 494
119. 버림받은 아낙 《거부사 去婦詞》 ㆍ 499

제3부 가음歌吟
|이백 가음론 노래가 된 시 ㆍ 505
1. 양양의 노래 《양양가 襄陽歌》 ㆍ 518
2. 남도의 노래 《남도행 南都行》 ㆍ 522
3. 강가의 노래 《강상음 江上吟》 ㆍ 525
4. 의춘원에 따라가 명을 받들어, ‘용지 버들 갓 푸를 제 《꾀꼬리 노래》 듣다’를 읊은 노래 《신앵백전가 侍從宜春苑奉詔賦龍池柳色初靑聽新鶯百?歌》 ㆍ 527
5. 옥 술 단지의 노래 《옥호음 玉壺吟》 ㆍ 530
6. 신평장사 찬 형님께 올린 빈 땅의 노래 《빈가행 ?歌行上新平長史兄粲》 ㆍ 532
7. 원단구를 전송한 서악 운대의 노래 《서악운대가 西岳雲臺歌送丹丘子》 ㆍ 535
8. 원단구의 노래 《원단구가 元丹丘歌》 ㆍ 539
9. 부풍 호걸의 노래 《부풍호사가 扶風豪士歌》 ㆍ 541
10. 문중 아우 금성 현위 숙경과 촛불로 산수벽화를 비춰 본 노래 《산수벽화가 同族弟金城尉叔卿燭照山水壁?歌》 ㆍ 544
11. 백호자의 노래 《백호자가 白毫子歌》 ㆍ 546
12. 양원의 노래 《양원음 梁園吟》 ㆍ 549
13. 잠징군을 전송한 명고산의 노래 《명고가1 鳴皐歌送岑徵君》 ㆍ 553
14. 오애산장으로 돌아가는 종조부 어르신을 받들어 전송한 명고산의 노래 《명고가2 鳴皐歌奉餞從翁淸歸五崖山居》 ㆍ 559
15. 노로정의 노래 《노로정가 勞勞亭歌》 ㆍ 562
16. 횡강사 《횡강사 橫江詞》 6수 ㆍ 564
(1) 남들은 횡강이 좋다고 하지만[人道橫江好] 564
(2) 밀물이 남쪽으로 밀려와 심양을 넘어[海潮南去過尋陽] 565
(3) 횡강 서편 바라보니 서진 땅은 막혀있고[橫江西望阻西秦] 565
(4) 바다의 신이 지나가니 사나운 바람 휘돌고[海神來過惡風?] 566
(5) 횡강관 앞에서 나루 아전이 나와 맞으며[橫江館前津吏迎] 567
(6) 달무리 지고 큰 바람, 안개 자욱한데[月暈天風霧不開] 567
17. 금릉성 서루 달빛 아래의 노래 《월하음 金陵城西樓月下吟》 ㆍ 569
18. 동산의 노래 《동산음 東山吟》 ㆍ 571
19. 승가의 노래 《승가가 僧伽歌》 ㆍ 573
20. 산으로 돌아가는 유 십육을 전송한 흰 구름의 노래 《백운가 白雲歌送劉十六歸山》 ㆍ 576
21. 범선을 송별한 금릉의 노래 《금릉가 金陵歌送別范宣》 ㆍ 578
22. 웃기는 노래 《소가행 笑歌行》 ㆍ 581
23. 슬픈 노래 《비가행 悲歌行》 ㆍ 585
24. 추포의 노래 《추포가 秋浦歌》 17수 ㆍ 589
(1) 추포의 가람 가을인양 길어서[秋浦長似秋] 589
(2) 추포의 잔나비 소리 밤에 시름겨워[秋浦猿夜愁] 590
(3) 추포의 금타조[秋浦錦駝鳥] 591
(4) 귀밑머리 드리우고, 추포에 들었더니[兩?入秋浦] 591
(5) 추포에는 흰 원숭이가 많아[秋浦多白猿] 591
(6) 쓸쓸히 추포의 길손이 되어[愁作秋浦客] 592
(7) 취하여 산공의 말에 오르고[醉上山公馬] 592
(8) 추포의 첩첩 산봉우리[秋浦千重嶺] 593
(9) 강조의 큰 바위 하나[江祖一片石] 594
(10) 천천 그루의 석남 나무[千千石楠樹] 594
(11) 순라꾼은 가파른 산길에 비꼈고[邏人橫鳥道] 595
(12) 강물이 한 필 비단 같으니[水如一匹練] 596
(13) 맑은 물에 흰 달이 깨끗하고[?水淨素月] 596
(14) 용광로 불이 천지를 비추고[爐火照天地] 597
(15) 백발 삼천 장[白髮三千丈] 598
(16) 추포의 시골 노인장[秋浦田舍翁] 598
(17) 도피는 한 걸음 남짓[桃波一步地] 599
25. 당도소부 조염의 산수벽화 노래 《분도산수가 當塗趙炎少府粉圖山水歌》 ㆍ 601
26. 영왕의 동쪽 순방의 노래 《영왕동순가 永王東巡歌》 11수 ㆍ 605
(1) 영왕이 정월에 동으로 군사 내어[永王正月東出師] 605
(2) 삼천의 북녘 오랑캐, 삼 가닥 얽히듯 어수선하고[三川北虜亂如麻] 606
(3) 뇌고 소리 쿵쿵 무창에 울릴 제[雷鼓??喧武昌] 607
(4) 용 서리고 범 웅크린 제왕의 고을[龍蟠虎踞帝王州] 608
(5) 두 임금 길을 떠나 모두 돌아오지 못해[二帝巡游俱未?] 608
(6) 단양의 북고산은 오 땅의 관새[丹陽北固是吳關] 609
(7) 왕은 삼강을 나와 오호를 제압하고[王出三江按五湖] 609
(8) 긴 바람에 돛을 거니 돌아서기 어려워라[長風掛席勢難?] 610
(9) 진시황은 바다에 나가 다리를 못 세웠고[祖龍浮海不成橋] 611
(10) 황제께서 어진 왕을 아껴 초 땅에 들어오더니[帝寵賢王入楚關] 611
(11) 옥으로 된 군왕의 말채찍 한번 빌려[試借君王玉馬鞭] 612
27. 상황의 서쪽 남경 순방의 노래 《상황서순남경가 上皇西巡南京歌》 10수 ㆍ 614
(1) 오랑캐 먼지가 살짝 건장대를 스치니[胡塵輕拂建章臺] 614
(2) 높다란 하늘에 성도란 곳을 열어[九天開出一成都] 615
(3) 화양의 봄 나무는 신풍을 닮았고[華陽春樹似新?] 615
(4) 그 누가 군왕 행차 어렵다 했던가[誰道君王行路難] 616
(5) 모든 나라가 하나의 기풍으로 한 시대를[萬國同風共一時] 617
(6) 탁금 맑은 강은 만 리에 흘러[濯錦淸江萬里流] 617
(7) 금수는 동쪽으로 금성을 감돌고[錦水東流繞錦城] 618
(8) 진나라는 황금소로 촉도를 닦았고[秦開蜀道置金牛] 619
(9) 물 맑고 하늘 푸르러 먼지조차 일지 않고[水?天靑不起塵] 619
(10) 검각의 겹겹 관새, 촉의 북문 나서[劍閣重關蜀北門] 620
28. 아미산 달 노래 《아미산월가1 峨眉山月歌》 ㆍ 622
29. 장안에 들어가는 촉 스님 안을 전송한 아미산 달 노래 《아미산월가2 峨眉山月歌送蜀僧晏入中京》 ㆍ 624
30. 송별을 위한 적벽의 노래 《적벽가 赤壁歌送別》 ㆍ 626
31. 강하의 노래 《강하행 江夏行》 ㆍ 628
32. 신선을 그리는 노래 《회선가 懷仙歌》 ㆍ 631
33. 옥진선녀의 가사 《옥진선인사 玉眞仙人詞》 ㆍ 633
34. 청계의 노래 《청계행 淸溪行》 ㆍ 635
35. 은명좌가 보내준 오색구름 갖옷에 답한 노래 《오운구가 酬殷明佐見贈五雲?歌》 ㆍ 637
36. 저승길 노래 《임로가 臨路歌》 ㆍ 640
37. 옛 노래 《고의 古意》 ㆍ 642
38. 산자고새 가사 《산자고사 山??詞》 ㆍ 644
39. 역양장사 근사제 장군의 노래 《역양장사가 歷陽壯士勤將軍名思齊歌》 ㆍ 646
40. 초서의 노래 《초서가행 草書歌行》 ㆍ 648
41. 노시어에게 화답한 통당곡 《통당곡 和盧侍御通塘曲》 ㆍ 652

역사 연표(歷史 年表) 655고금지명대조표(古今地名對照表) 657찾아보기(索引) 660이백유종도(李白遊踪圖) 718

저자소개

이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선(詩仙) 이백(李白, 701∼762)의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고 이 한림(李翰林)이라고도 부른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100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이백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명확하지 않다. 전해지는 바로는 조적(祖籍)은 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 부근의 농서현(隴西縣) 성기(成紀)였으나, 수나라 말기에 부친이 서역으로 이사해 서안도호부 관할이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이백을 낳았고, 부친이 다시 사천성 면주(綿州) 창륭현(昌隆縣) 청련향(靑蓮鄉)으로 옮겨 옴에 따라 이백 또한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725년(25세) 촉 땅을 떠나서 장강을 따라 삼협을 거쳐 강남 일대를 유람했으며 산동, 산서 등지를 떠돌며 도교(道敎)에 심취했다. 742년(42세) 도사 오균(吳筠)의 추천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자 3년 만에 관직을 버리고 장안을 떠나 다시 방랑의 길로 들어선다. 755년(55세) 안녹산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백은 안휘성 선성(宣城)에 있었다. 57세에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의 막료가 되었으나, 영왕이 권력 투쟁에서 패하고 숙종이 즉위하자 이백도 역도로 몰려 강서성 심양(尋陽)에 투옥되었다. 송약사(宋若思)가 구명해 그의 막료가 되었으나 끝내 귀주성 야랑으로 유배되었다. 야랑으로 가는 도중, 삼협을 거슬러 무산에 당도했을 때 특사를 받아 강릉으로 내려가며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을 지었다. 이후 노쇠한 이백은 금릉과 선성을 오가다가 당도(當塗) 현령으로 있던 친척 이양빙(李陽冰)에게 몸을 의탁했다. 762년 병이 중해지자 이백은 자신의 원고를 이양빙에게 주고 <임종가(臨終歌)>를 짓고는 회재불우의 한 많은 한평생을 끝마쳤다. 우리에게는 당도에 있는 채석기(採石磯)에서 노닐다 장강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이 훨씬 더 익숙하다. 이백은 굴원 이후 가장 뛰어난 낭만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당시의 민간 문예뿐 아니라 진한(秦漢)과 위진(魏晉) 이래 악부 민가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더구나 그는 도가에 심취해서 그의 시는 인간의 세계를 초월한 환상적인 경향 또한 짙다.
펼치기
진옥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 사범대학교 한문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충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역서:『이태백 악부시』 논문:「이백 고풍 59수의 복고적 특질」「이백 악부시 연구」「이백 의악부에 수용된 선행 작품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외 다수.
펼치기
진옥경의 다른 책 >
노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6년 부산 출생. 충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국중국어문학회 부회장. 서울대 문리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문학박사)하였다. 역서(譯書)로 ≪태양은 상건하에 비친다≫가 있고, 논문으로 <안지추문학론연구(顔之推文學論硏究)> <도연명시어연구(陶淵明詩語硏究)> <남조시(南朝詩)에서 경물묘사(景物描寫) 양상의 변화>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