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백 시전집 8

이백 시전집 8

(악부 2)

이백 (지은이), 이백시문연구회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310원 -5% 0원
890원
27,4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040원 -10% 950원 16,180원 >

책 이미지

이백 시전집 8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백 시전집 8 (악부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65596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2-07-28

책 소개

이백시문학회에서 이백 시전집을 완역한다. 오랫동안 이백을 연구해 온 14명의 전문 학자가 국내외 모든 이백 관련서를 참고하고 수차례의 윤독과 토론을 거쳐 가장 완벽한 정본에 도전한다. 제8권은 <악부> 160수 중 40수를 옮겼다.

목차

제1수 독록편(獨漉篇)
제2수 높은 산에 올라 먼바다를 바라보네(登高丘而望遠海)
제3수 따뜻한 봄의 노래(陽春歌)
제4수 양반아(楊叛兒)
제5수 제비 한 쌍의 이별(雙燕離)
제6수 산사람이 술을 권하다(山人勸酒)
제7수 우전에서 꽃을 따며(于闐採花)
제8수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는 세상을 한탄하는 노래(鞠歌行)
제9수 그윽한 골짜기의 샘물(幽澗泉)
제10수 왕소군. 첫째 수(王昭君 其一)
제11수 왕소군. 둘째 수(王昭君 其二)
제12수 중산왕 유자첩의 노래(中山孺子妾歌)
제13수 형주의 노래(荊州歌)
제14수 벽사 놀이 공연의 고취곡 <치자반> 곡사(設辟邪伎鼓吹雉子班曲辭)
제15수 만남의 노래(相逢行)
제16수 옛날에 그리워하는 이 있어(古有所思)
제17수 오랜 이별(久別離)
제18수 연밥 따며 부르는 노래(採蓮曲)
제19수 백발의 노래 두 수(白頭吟 二首)
제20수 백발의 노래. 둘째 수(白頭吟 其二)
제21수 임강왕과 강개한 선비의 노래(臨江王節士歌)
제22수 사마 장군에 대한 노래(司馬將軍歌)
제23수 임금의 길(君道曲)
제24수 신발 끈 매어 주는 사람(結襪子)
제25수 젊은이들 모인 곳에서 협객과 사귀네(結客少年場行)
제26수 장간 마을의 노래. 두 수 중 첫째 수(長干行 二首 其一)
제27수 장간 마을의 노래. 두 수 중 둘째 수(長干行 二首 其二)
제28수 임금께서 회중궁(回中宮)으로 가시네(上之回)
제29수 옛 밝은 달의 노래(古朗月行)
제30수 외로이 만나지 못하네(獨不見)
제31수 하얀 모시 춤의 노래. 첫째 수(白紵辭 其一)
제32수 하얀 모시 춤의 노래. 둘째 수(白紵辭 其二)
제33수 하얀 모시 춤의 노래. 셋째 수(白紵辭 其三)
제34수 기러기 울음소리(鳴雁行)
제35수 여인의 박복한 운명(妾薄命)
제36수 유주의 북방 말 탄 협객의 노래(幽州胡馬客歌)
제37수 문 앞에 마차 타고 온 손님의 노래(門有車馬客行)
제38수 군자는 염려하는 바가 있으니(君子有所思行)
제39수 동해의 용감한 부인(東海有勇婦)
제40수 황갈 칡(黃葛篇)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 후기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이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선(詩仙) 이백(李白, 701∼762)의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고 이 한림(李翰林)이라고도 부른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100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이백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명확하지 않다. 전해지는 바로는 조적(祖籍)은 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 부근의 농서현(隴西縣) 성기(成紀)였으나, 수나라 말기에 부친이 서역으로 이사해 서안도호부 관할이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이백을 낳았고, 부친이 다시 사천성 면주(綿州) 창륭현(昌隆縣) 청련향(靑蓮鄉)으로 옮겨 옴에 따라 이백 또한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725년(25세) 촉 땅을 떠나서 장강을 따라 삼협을 거쳐 강남 일대를 유람했으며 산동, 산서 등지를 떠돌며 도교(道敎)에 심취했다. 742년(42세) 도사 오균(吳筠)의 추천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자 3년 만에 관직을 버리고 장안을 떠나 다시 방랑의 길로 들어선다. 755년(55세) 안녹산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백은 안휘성 선성(宣城)에 있었다. 57세에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의 막료가 되었으나, 영왕이 권력 투쟁에서 패하고 숙종이 즉위하자 이백도 역도로 몰려 강서성 심양(尋陽)에 투옥되었다. 송약사(宋若思)가 구명해 그의 막료가 되었으나 끝내 귀주성 야랑으로 유배되었다. 야랑으로 가는 도중, 삼협을 거슬러 무산에 당도했을 때 특사를 받아 강릉으로 내려가며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을 지었다. 이후 노쇠한 이백은 금릉과 선성을 오가다가 당도(當塗) 현령으로 있던 친척 이양빙(李陽冰)에게 몸을 의탁했다. 762년 병이 중해지자 이백은 자신의 원고를 이양빙에게 주고 <임종가(臨終歌)>를 짓고는 회재불우의 한 많은 한평생을 끝마쳤다. 우리에게는 당도에 있는 채석기(採石磯)에서 노닐다 장강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이 훨씬 더 익숙하다. 이백은 굴원 이후 가장 뛰어난 낭만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당시의 민간 문예뿐 아니라 진한(秦漢)과 위진(魏晉) 이래 악부 민가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더구나 그는 도가에 심취해서 그의 시는 인간의 세계를 초월한 환상적인 경향 또한 짙다.
펼치기
이백시문연구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백의 시문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서 이백의 시문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번역하는 모임이다. 2013년 2월 결성되었으며 매주 온·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이백의 시문을 강독하고 토론하고 있다. 2017년 중국 안후이성 마안산시를 방문해 중국이백연구회와 학술 교류를 시작했다. 그간의 저서로는 ≪이백시전집 1 고풍≫, ≪이백시전집 2 등람≫, ≪이백시전집 3 행역≫, ≪이백시전집 4 회고≫, ≪이백시전집 5 한적≫, ≪이백시전집 6 회사≫와 ≪중국 고전 시가 알기≫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독록편(獨漉篇)

독록산의 물에는 진흙이 있어
물이 흐려 달이 보이지 않네.
달이 보이지 않는 것은 그래도 괜찮으나
물이 깊어 지나는 사람 물에 빠져 죽는다네.

월 땅의 새는 남에서 날아오고
오랑캐 땅의 기러기 역시 북으로 넘어가네.
내가 활을 당겨 하늘 향해 쏘려 하나
새들이 중도에 돌아갈 길을 잃을까 가엽네.

낙엽은 떨어져 나무와 이별해
표표히 바람 따라 떠도네.
나그네는 의지할 곳 없으니
슬픔이 이와 같다네.

비단 휘장 펼쳐 올라가니
마치 누군가 들어오는 듯.
밝은 달빛이 곧장 들어오니
딴마음 없음을 알 수 있으리라

웅검이 벽에 걸려 있으니
시시때때로 용의 울음을 우네.
무소와 코끼리는 베지 못하고
녹이 슬어 이끼가 자라네.
나라의 치욕을 씻지 못했으니
어찌 공명을 이룰까?
운몽택의 신령한 매
솔개 따위는 쳐다보지도 않네.
군왕을 위해 한 번 치니
구천의 하늘에서 붕새를 잡네.

獨漉水中泥, 水濁不見月.
不見月尚可, 水深行人沒.

越鳥從南來, 胡雁亦北度.
我欲彎弓向天射, 惜其中道失歸路.

落葉別樹, 飄零隨風.
客無所托, 悲與此同.

羅帷舒卷, 似有人開.
明月直入, 無心可猜.

雄劍掛壁, 時時龍鳴.
不斷犀象, 羞澁苔生.
國恥未雪, 何由成名.
神鷹夢澤, 不顧鴟鳶.
爲君一擊, 鵬摶九天.


왕소군. 둘째 수(王昭君 其二)

왕소군이 옥안장 털고
말에 올라 고운 뺨에 눈물 흐르네.
오늘은 한나라의 궁녀
내일 아침엔 흉노의 첩.

昭君拂玉鞍, 上馬啼紅頰.
今日漢宮人, 明朝胡地妾.


장간 마을의 노래. 두 수 중 첫째 수(長干行 二首 其一 )

소첩의 머리카락이 막 이마를 가렸을 때
꽃을 꺾어 들고서는 문 앞에서 장난했지요.
낭군께서는 죽마 타고 오셔서
우물 난간을 맴돌며 푸른 매실을 갖고 놀았죠.
함께 장간리에 살면서
우리 둘은 어릴 때부터 거리낌이 없었답니다.
열넷에 그대 아내 되어서는
부끄러워 웃은 적이 없었지요.
머리 숙여 구석진 벽만 마주해
그대가 아무리 불러도 한 번도 돌아보지 못했어요.
열다섯 살에야 비로소 활짝 웃게 되었고
죽어 먼지와 재 될 때까지 함께하길 바랐지요.
함께하자는 굳은 약속 늘 마음에 품었건만
어찌하여 망부대를 오르게 되었을까요?

열여섯에 그대 먼 길을 떠나
구당협의 염예퇴로 가셨지요.
오월에는 위험해서 접근도 못할 것이고
원숭이 소리가 하늘에서 애절하겠지요.
문 앞에서 머뭇거리던 임의 발자취에는
하나하나마다 푸른 이끼 끼었네요.
이끼가 무성해 쓸어 낼 수도 없는데
이른 가을바람에 낙엽이 떨어집니다.
팔월에 날아든 나비
짝지어 서쪽 뜰 풀밭을 날아다녀요.
이에 슬퍼져 소첩의 마음 상심하니
근심에 고운 얼굴 늙어 가지요.
언제 삼파에서 내려오시려거든
미리 집으로 기별하셔요.
맞이하러 가는 길 멀다 하지 아니하고
곧장 장풍사까지 가오리다.

妾髮初覆額, 折花門前劇.
郎騎竹馬來, 遶牀弄靑梅.
同居長干里, 兩小無嫌猜.
十四爲君婦, 羞顏未嘗開.
低頭向暗壁, 千喚不一回.
十五始展眉, 願同塵與灰.
常存抱柱信, 豈上望夫臺?

十六君遠行, 瞿塘灩預堆.
五月不可觸, 猿聲天上哀.
門前遲行跡, 一一生綠苔.
苔深不能掃, 落葉秋風早.
八月蝴蝶來, 雙飛西園草.
感此傷妾心, 坐愁紅顏老.
早晚下三巴, 預將書報家.
相迎不道遠, 直至長風沙.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65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