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7005130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4-11-0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01.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02. 미래 사회의 이머징 이슈와 글로벌 트렌드
1. 디지털 메가트렌드와 도시의 발전
2. 국제사회의 미래 연구 동향과 함의
3. 기술 발전과 도시 변화
03. 미래 서울의 도시 구조와 도시환경 변화
1. 미래 서울의 인구 사회 구조 변화
2. 미래 서울의 사회 경제 변화
3. 빅데이터 분석에 근거한 미래 서울의 사회상
04. 미래세대의 일상생활과 가치체계
1. 미래세대 가치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
2. 미래세대의 인구 코호트적 특성
3. 미래세대의 경제사회적 특성
4. 미래세대의 꿈과 마음
5. 미래세대의 참여와 의식
6. 미래세대의 마음과 일상생활
05. 미래 서울의 변화상과 정책 방향
1. 미래 서울의 일상생활 양식
2. 미래 서울의 신인류 부상
3. 미래 서울의 정책 방향
참고문헌
[ 부록 ] 미래세대 일상생활과 가치체계 조사 결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도시의 현재와 미래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 요소가 새로운 인구구조의 출현과 디지털전환이라는 점은 우리가 이미 인지하는 현실이다. 인구감소와 가구 구조의 축소에 따른 초개인주의화를 심화시키고 일상 속으로 들어온 기술은 사람들의 규범이나 가치를 전면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갈 사람들과 그들의 도시공간은 어떤 준비와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내놓은 것이 이 책의 발간 의도이다.
서울을 둘러싼 환경 변화는 세계적인 변화 흐름의 한가운데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변화의 속도와 폭이 크고 불확실성도 커져 변화의 흐름과 방향성에 대한 분석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감염병 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논의되는 ‘탈세계화, 탈도시화’ 현상, 재택근무, 원격의료, 온라인 관계망 등의 변화가 서울의 현재와 미래 시점에 어떤 영역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연구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한 세대의 변화를 의미하는 향후 30년 동안의 서울, 서울 사람, 서울 공동체의 변화를 분석하여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서 서울시의 정책 준비도를 높일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메가트렌드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혹은 진보적이거나 보수적인 어느 특정한 방향과는 무관하게 우리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한 경향과 관련 있다. 메가트렌드는 주어진 사회의 선호를 반영하기보다 그 사회가 처한 조건을 가리킨다. 지난 20년간 세계경제는 디지털경제라는 큰 방향으로 움직였다. 디지털경제로의 이행이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것은 아니지만 그 과정에서 경제적 불평등 확대, 미중 갈등이 상징하는 경제 안보화, 정치 양극화, 거대 도시의 부상, 테크 기업의 시장독점 등 난제가 발생했고, 이 문제들은 더이상 일국의 행정부가 해결할 수 없는 크기까지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