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의 정치권력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중국의 정치권력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강력한 당-국가체제와 엘리트 승계)

조호길, 리신팅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의 정치권력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의 정치권력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강력한 당-국가체제와 엘리트 승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5706095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7-07-28

책 소개

현대사 속에서 많은 공산정권들이 몰락하는 와중에도, 단단한 일당 독재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공산당. 이 책은 정당이론의 권위자인 조반니 사르토리의 '당-국가체제' 개념을 통해서 중국의 정치권력 시스템과 중국공산당이 어떻게 유지되는지를 설명한다.

목차

저자의 말 4

제1장 당-국가체제란 무엇인가
중국의 건재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13
일당제(一黨制)와 당-국가체제 15
중국식 당 - 국가체제의 특징 21

제2장 중국의 역사전통과 중국공산당
신중국의 세 가지 역사적 유산: 일원중심주의, 과거제도, 관료제도 35
역사 유산의 계승자, 중국공산당 51

제3장 당-국가체제의 국가 통제 메커니즘
당조직의 결집과 사회 침투 73
일원화된 영도 메커니즘의 구축 80
당조직, 성공적으로 국가에 침투하다 84
조직 운영의 원칙: 민주집중제 97
조직 쇄신의 두 가지 방식: 정당·정풍운동과 학습운동 103

제4장 당-국가체제의 정책 결정 메커니즘
정책 결정 메커니즘에 관한 여러 시각 115
정책 결정 메커니즘의 제도적 변천 119
합의형 정책 결정의 특징과 강점 124
정책 결정의 성공 사례: 2006~2009년의 의료제도개혁 128

제5장 중국의 엘리트는 어떻게 선발되는가
중국공산당의 엘리트 유형 141
엘리트 선발의 방법과 유형 147
중국공산당의 엘리트 양성 제도 154
예비간부의 학습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163

제6장 18차 당대회를 통해 들여다본 통치엘리트 선발 사례
중국공산당의 조직기구 구성 173
중국공산당 18기 중앙위원 선발 과정 175
18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구성 177
18기 중앙정치국 위원과 상무위원 선발 과정 181

제7장 엘리트는 어떻게 권력을 이양하는가
1980년대의 엘리트 교체 과정 193
1990년대~21세기 초에 걸친 엘리트 교체 과정 198
엘리트 교체의 제도화와 특징 214
계단식 교체 방식의 발전 과정 221

제8장 엘리트의 통합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엘리트 교육의 기능은 무엇인가 229
엘리트 교육의 제도적 변천 과정 234
엘리트 교육의 단계별 학습 및 교육기관 243
엘리트 교육의 주요 임무와 내용 251

제9장 당-국가체제의 정통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당 - 국가체제, 중국의 역사전통에서 출발하다 275
국가의 규모, 구조와 국제환경은 체제의 정당성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281

제10장 당-국가체제의 미래는 어디로 향하는가
덩샤오핑의 개혁정책이 중국에 가져온 커다란 변화 291
중국의 제도적 정비와 정치 발전 299
서구식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의 정치 발전 방향 305
신좌파와 자유주의 학자들 사이의 논쟁 310
민주사회주의 주장을 둘러싼 논쟁 319
유교 전통 계승을 둘러싼 논쟁 325

부록 | 중국공산당과 서구식 정당,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336

주석 374

저자소개

조호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趙虎吉 중국 사회를 개혁할 방안을 고민하며 늦은 나이에 베이징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했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접점에서 대안을 모색하면서 생전 처음으로 피곤한 줄 모르고 신나게 공부한다는 느낌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었다. 박사 학위를 받은 뒤에는 중국공산당의 고위간부를 교육하는 중앙당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25년 동안 그들의 사상을 개혁개방으로 이끄는 일에 매진했다. 중국공산당의 정치철학과 운영 시스템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내부자의 시선으로 중국 정치권력 시스템의 특징과 본질을 탐구하고 있다. 연단에서 물러난 뒤에는 한국의 싱크탱크 여시재與時齋에서 석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있다. 저서로는 《비교정치학: 개발도상국의 시각》, 《한국현대정치론》, 《현대화와 권위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리신팅 (지은이)    정보 더보기
李新廷 중국 산둥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이후 중앙당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산둥사범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 양쪽에 매진하고 있다. 주로 비교정치학과 중국 국내 정치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공산당은 전체 인구의 6~7%를 차지하는 사회엘리트를 당원으로 흡수하여 하나의 유기체로 조직하고 국가, 군대 나아가 사회 각 분야에 침투시켜 당-국가체제를 완성했다. 효율적인 엘리트 선발과 교체 시스템, 통일된 신념 체계 및 엄격한 기율 관리로 중국공산당은 파벌화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강한 동원 능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 23p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정책 결정 모형이 각 층위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협력할 수 있고, 협의를 해서 가장 광범위한 합의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당 중앙위원회의 역할과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당은 각 방면의 선호와 의견을 통합하여야 한다. 이는 사실상 중국의 체제가 우위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이 중국의 정책 결정 체제에 문제가 없다는 걸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실제로도 중국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정책 결정 방식을 강화하고 개선해나가야 한다. 즉 중국공산당은 ‘정책 결정의 민주화, 과학화’ 목표를 실현하고, 둘 사이의 모순을 조정해야 한다.
-136P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