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706167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개정증보판에 부쳐
책을 펴내면서
1장 백제
무령왕(武寧王), 백제를 다시 강국으로 만들다
성왕(聖王), 남부여의 웅대한 꿈을 꾸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1: 웅진백제 5대 64년
2장 통일신라
향덕(向德),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효자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2: 김헌창金憲昌의 난
3장 고려
정진(靜眞), 고려 다섯 임금의 스승이 되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3: 고려 현종(顯宗)의 공주 파천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4: 공주 명학소의 난
이존오(李存吾), 신돈을 탄핵한 간관의 표상
이복(李福), 국고개 효자 전설의 주인공
4장 조선
이명덕(李明德), 조선왕조를 곧추세운 공주 이씨
김종서(金宗瑞), 만고의 충절로 기억되는 백두산 호랑이
정분(鄭?), 충과 효를 함께 이룬 정분·정지산
이세장(李世璋), 괴석이 증언하는 청백리 관찰사
성제원(成悌元), 높은 학문과 선정으로 이름을 남기다
서기(徐起), 공암에서 호서유학의 씨를 퍼뜨리다
영규(靈圭), 최초의 승병장, 충청·전라도를 지켜내다
노응환(盧應晥)·응탁(應晫)·응호(應晧), 유림의 충의정신 실천한 삼형제
김해(金?), 상주성을 되찾고 순절한 상주 목사
황신(黃愼), 임진왜란 때 맹활약한 공신
허임(許任), 조선 최고 침의, 『침구경험방』을 펴내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5: 충청감영과 역대 관찰사
이삼평(李參平), 계룡산 사기장, 아리타의 도조로 빛나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6: 인조의 공주 파천
류충걸柳忠傑, 금강변에 무신가문의 터전을 세우다
이유태(李惟泰), ‘충청 5현’으로 꼽힌 산림 유학자
오시수(吳始壽), 당쟁에 희생된 남인 경세가
윤각(尹慤), 뛰어난 무신, 신임사화로 스러지다
김인겸(金仁謙), 조선통신사 서기로 『일동장유가』를 남기다
정규한(鄭奎漢), 계룡산 초야에서 수기치인에 힘쓰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7: 황새바위와 공주의 순교자들
5장 근대 이후
김옥균(金玉均), 개화혁명의 꿈, 3일 천하로 끝나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8: 우금티에서 스러진 후천개벽의 꿈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9: 망국에 항거한 의병·자결 열사들
약효(若效), ‘계룡산화파’를 이끈 마곡사 화승
우리암(禹利岩), 교육과 선교로 공주의 근대를 열다
류관순(柳寬順), 영명학당에서 애국의 씨앗을 틔우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10: 독립운동에 몸바친 공주사람들
이상범(李象範), 공주의 산천을 한국화폭에 담다
공주를 바꾼 사건&인물 11: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
김기창(金基昶), 장애를 예술혼으로 승화한 국민화가
박동진(朴東鎭), ‘우리 것은 좋은 것이여’ 일깨워준 국창
손보기(孫寶基), 석장리 조사로 한국 구석기의 아버지가 되다
참고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번에 정분, 송상기, 약효, 손보기 선생을 포함해 공주 역사를 풍부하게 해준 인물들의 이야기를 보강했습니다. 사실, 처음부터 빠뜨리지 말았어야 했던 분들입니다. 다른 항목에도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을 넣었고, 제 해석이 올바른 것인가 생각해서 좀 다듬은 부분도 있습니다.
2015년 7월,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이 백제역사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제가 충청남도역사문화 연구원에 근무할 때부터 함께 추진하던 일이어서 저도 무척 기뻤습니다.
저는 한 발 더 나아가 이러한 문화유산을 만들고 긴 세월 동안 보존해온 공주의 선조들은 누구일까 궁금했습니다. 그들이 살다간 역사, 이루고자 했던 것의 일부만 유물·유적으로 남은 것 아니겠습니까? 저는 이 책 한 권으로 공주 고유의 정체성을 찾아내고 더 좋은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제가 책을 내는 이유입니다.
모든 출토유물 가운데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은 왕과 왕비의 지석(誌石)이라고 하겠다.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고 무덤의 주인을 명확히 밝힌 것, 장례 일시와 절차, 땅을 샀다는 매지권을 기록한 부분 등은 백제인의 깔끔한 기록 정신을 보여준다. 이 돌판 두 장이 있어 함께 묻힌 유물 수천 점은 ‘메이드 인 백제’라는 영원한 생명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