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9115706247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12-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2
추천의 말 1, 2
Part 01 선거 준비 단계
step 01 출마 준비는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step 02 후보자의 출마 이유 정리하기
step 03 선거준비의 시작, 선거 전략 세우기
step 04 나와 경쟁자의 SWOT 분석
step 05 출마 지역 주요 현안 공부하기
step 06 여론조사는 어떻게 해야 하나
step 07 선거 전략서 작성법
step 08 선거 준비 단계의 홍보
[interview 01] 소속 정당의 적극적 활동 참여를 통한 당원과의 공감대 형성부터
Part 02 예비후보 단계
step 09 당내 경선은 이슈와 분위기를 선점할 기회
step 10 정당의 공직 후보자 추천과정과 경선과정 살펴보기
step 11 예비후보자의 선거운동 정리
step 12 예비후보자의 홍보 전략
step 13 선거 홍보기획사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
step 14 언론 대응 전략
step 15 돈 없이 조직을 만드는 방법
step 16. 출마를 준비한다면 출판기념회부터
[interview 02] 나벤져스로 ‘나’번 당선의 새로운 바람을 주도하다
[box] 국민의 힘 지방선거 공직후보자 추천 규정
Part 03 본 선거 단계
step 17 선거 전략에 입각한 홍보 전략 세우기
step 18 잘 잡은 메시지가 당락을 좌우한다
step 19 유권자에게 나를 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step 20 선거법을 위반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step 21 선거유세차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interview 03] 문자 100통을 보내는 것보다 만나서 소통하고 공감하고 관계 맺는 것이 중요하다
Part 4 온라인 선거 캠페인
step 22 온라인 선거 캠페인, 왜 필요한가?
step 23 온라인 선거 캠페인,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step 24 어떤 홍보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까?
step 25 후보자 선택도 인터넷 검색이 좌우한다
step 26 빅 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관리 노하우
step 27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대응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interview 04] 유권자의 요구와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공약과 비전으로 위기를 돌파하다
[interview 05] 탁 트인 영등포,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준비된 젊은 후보를 어필했다
리뷰
책속에서
내가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들에게 데이터 선거를 강조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선거목표를 데이터 기반으로 수립하면 캠페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대부분 후보들은 선거를 준비할 때 자신이 90% 이상의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한다. 그러다가 정작 개표가 진행되면 개표방송의 1표 차이에도 일희일비하게 된다. 데이터 선거의 첫 걸음은 나의 목표를 데이터로 분명히 수립하고 그에 기준하여 캠페인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자신의 선거구 이전 투표율과 당선 득표 수 등을 파악하고 향후 예측되는 투표율, 당선 득표 수 목표를 수치로 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목표에 따른 선거 전략을 수립하고 캠페인이 잘 되고 있는지 판단의 근거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된다. 기준 없이 선거를 치르는 것은 지도 없이 망망대해로 항해를 떠나는 것과 같다.
-<들어가는 말 2> 중에서
셋째, 함께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 선거사무장, 기획참모, 회계나 조직 등의 업무 담당자를 결정해야 한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모든 것을 맡길 수 있는 참모 또는 동지 한 명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까운 가족, 친구 등 후보자 자신을 잘 아는 사람으로 정해야 한다. 이 참모는 후보자 내부 속사정을 잘 알고, 후보자의 상황을 한 걸음 떨어져서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선거 캠프 내부의 실무자들에게 잔소리하는 참모가 아니라 오히려 후보자에게 거짓 없이 조언하고 잔소리할 수 있는 바로 그런 한 사람이 필요하다. 물론 후보자의 고통과 고민도 함께 어루만져 줘야 한다. 후보자가 힘든 내색을 하고 짜증을 내면 캠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속 터놓고 얘기 들어줄 친구가 캠프 안에 있어야 한다.-
선거 준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도는 부동산 사무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발 현황 지도다. 주요 도로, 학교, 관공서 등이 잘 표시되어 있고, 아파트의 경우 동별 표시도 정확하게 나와 있어서 지역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다. 지도를 구입하면 동별 투표소를 우선 표시해야 한다. 투표소는 선거 때마다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주로 학교, 교회, 주민센터, 경로당, 마을회관 등에 설치하고 그 동네의 중심지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
지도에 투표소를 표시하는 이유는 투표소에서 멀리 거주하는 유권자보다 투표소 인근 지역 주민들의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투표소를 중심으로 반경 500m 정도의 원형을 그려 놓는다. 그리고 해당 반경 내의 지역을 중점적으로 활동하면서 반응을 체크한다. 지도에는 후보자가 다녀간 동선도 체크하면 좋다. 후보자가 되기 전에 골목골목을 직접 걸어다녀 볼 것을 권장한다. 골목에서 주민을 만나 인사도 하고 동네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지역 현안이 있다면 후보자가 직접 현안 조사를 해서 해결 방안을 찾는 모습도 좋은 선거 캠페인이 될 수 있다. 이때 다녀간 길을 체크하여 선거지역 전체를 고루 다녔는지, 빠진 곳이 없는지 등등을 지도에 표시하고 점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