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5707160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8-01-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1부. 중국 산동 지역 동이문화
황하 중·하류 지역 선사문화와 주민 - 박선미
고고학 자료와 주민
황하 유역의 역사지리적 배경
황하 중·하류 지역의 선사문화
황하 중·하류 지역의 선사문화와 동이
전래문헌과 출토자료로 본 동이의 연원 - 박재복
중국문명의 원류와 동이
전래문헌에 보이는 동이
출토자료에 보이는 동이
동이 개념의 역사적 변천
고고학 자료로 본 동이문화 - 왕칭
동이의 개념과 범위
신석기시대의 동이문화
중국 청동기시대 초기의 동이문화
산동 지역 동이문화의 의의
초기 청동기시대 악석문화와 동이 - 데이빗 코헨
동이 관련 논의에서의 문제점
초기 국가 단계의 사회와 악석문화
악석문화의 발견
악석문화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
지역유형과 편년
악석문화와 중국의 청동기시대
악석문화의 취락과 사회·정치적 발전
복골·문자·의례 1
악석문화 단계에서 동이의 정체성은 존재했는가?
종족이론(Ethnicity Theory)과 동이의 정체성
2부. 산동·요동·한반도의 교류
중국 요동·산동 지역과 한국의 지석묘 - 이영문
동북아시아의 지석묘 형태와 분포
중국 지석묘의 현황과 특징
한국 지석묘의 형식과 특징
한·중의 지석묘 비교
동북아시아 지석묘 문화의 공통성과 지역성
동검을 통해 본 산동과 한반도 및 주변 지역 간의 교류 - 이청규
한국과 중국 동검의 상호 전래
비파형·세형 동검의 하북·산동 지역으로의 전이
동주식 동검의 요서 지역으로의 전이
동주식 동검의 요동·한반도로의 전이
동검을 통해 본 한·중 간의 교류
과제와 전망
한반도 철기의 또 다른 기원 : 북방의 철기 및 철 생산 - 심재연
동아시아 지역의 철기 유입과 생산
한반도의 철기 유입에 대한 여러 견해
중원과 초원지대의 철기 제작 양상
연해주의 초기 철기문화
삼강평원의 철기문화
한반도 철기 제작기술 전래의 새 견해
중국 학계의 동이 연구와 인식 - 이유표
중국의 동이에 대한 인식과 최근 연구
상족의 동이기원설 검토
동이와 상과의 관계
동이와 서주의 관계
동이와 중원 왕조의 전쟁 원인
연구결과의 분석 및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