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7210435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목차
1. 고려 윤관 장군의 여진정벌과 북방개척
Ⅰ. 들어가며
Ⅱ. 고려 윤관 장군의 북방개척에 대한 논쟁
(1) 순암 안정복과 동사강목
(2) 동사강목의 윤관 9성고 (요약)
(3) 순암 안정복이 9성고에서 제기한 주요 내용
Ⅲ. 윤관 9성고에 대한 논쟁
가. 축성 9성과 환부 9성이 상이하다는 데에 대한 고찰
나. 공험진의 두만강 이북 위치가 의문이라는 데에 대한 고찰
다. 공험진과 선춘령비 위치 의문에 대한 고찰
라. 고려가 두만강까지 개척한 역사가 없었다는 데에 대한 고찰
마. 『고려사』 지리지의 선춘령 위치 상세하지 못하다는 데에 대한 고찰
Ⅳ. 마치며
2. 조선의 북방개척과 여진 세력의 변화
Ⅰ. 들어가며
Ⅱ. 강역문제의 기존연구와 논의의 쟁점
Ⅲ. 조선 전기 강역인식의 변화과정
가. 태조-태종-세종대의 강역인식
나. 세조-성종대의 강역 인식
다. 연산-명종대의 강역 인
Ⅳ. 마치며
3. 조선.청국 간 강역문제 발생과 전개
Ⅰ. 들어가며
Ⅱ. 조.청 강역문제의 전개와 대응
1. 정묘.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강역문제 대응
2. 강희제의 사계요구와 조선의 강역문제 대응
3. 청의 간도개간과 조선의 강역문제 대응
Ⅲ. 조.청(朝.淸) 강역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Ⅳ. 마치며
책속부록 : 서북피아양게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
4. 조선 후기 서얼·노비 신분변동
Ⅰ. 들어가며
Ⅱ. 조선 후기 서얼.노비의 신분변동 사례
1. 조선사회 신분구조의 변화
2. 중인·서얼의 신분 상승사례
3. 노비제도의 변화사례
Ⅲ. 신분변동의 영향요인
1. 정치체제의 지배역량
2. 개혁세력의 선도능력
3. 한민족의 독특한 자아의식
4. 외래사상의 유입과 노비계층의 자각
5. 농민의 빈곤과 인구 변화
Ⅳ. 마치며
5. 19C 조선.중국.일본의 서양문화에 대한 대응 비교
Ⅰ. 들어가며
Ⅱ. 19세기 동양 3국의 정치·사회적 대변혁
1. 중국의 정치·사회적 대변혁
가. 서학의 영향
나. 정치·사회적 대변혁
2. 조선의 정치·사회적 대변혁
가. 서학의 영향
나. 정치·사회적 대변혁
3. 일본의 정치·사회적 대변혁
가. 서학의 영향
나. 정치·사회적 대변혁
Ⅲ. 영향요인
1. 지정학적 자율성
2. 정치체제의 통치역량
3. 외래사상에 대한 지배계층의 선도능력
4. 정신문화적 자아의식
Ⅳ. 마치며
본문 각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