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5774760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05-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1 혁신 강국 이스라엘, 어떻게 만들어졌나?
1장 하이테크 강국 이스라엘
이스라엘과 한국
혁신 스타트업의 발전
국방과 안보
벤처 캐피털 주도 하이테크 생태계
스케일업 국가로의 길
2장 이스라엘의 혁신 문화와 기업가정신
모순과 혁신
혁신 문화와 기업가정신의 핵심 요소
3장 이스라엘의 과학과 산업
과학
산업
4장 스타트업 생태계의 핵심 주체
벤처 캐피털
연쇄 창업가
대학과 연구소
인큐베이터와 액셀러레이터
지역 생태계
5장 전략적 파트너로서 이스라엘과 한국
협력 시너지 창출
주요 산업별 한·이스라엘 협력 현황
한국 기업들의 이스라엘 투자
이스라엘 기업과 비즈니스에 성공하려면
PART 2 이스라엘 하이테크 산업의 이해
1장 사이버 보안 산업
개요
사이버 보안 산업 현황
사이버 보안 산업 배경과 특징
2장 방위 산업
개요
방위 산업 현황
방위 산업 구성
방위 산업 실적 동향
방위 산업 전망
3장 바이오·헬스 산업
개요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
바이오·헬스 산업 배경과 특징
경쟁력
4장 애그테크 산업
개요
애그테크 산업 현황
애그테크 기업 M&A
애그테크 산업 실적과 전망
5장 기후테크 산업
개요
기후테크 산업 현황
기후테크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
M&A
기후테크 산업 전망
비즈니스 기회 사례
6장 AI 산업
개요
AI 산업 현황
AI 산업 배경과 특징
7장 모빌리티 산업
개요
이스라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에서 이스라엘의 위치
모빌리티 산업 전망
8장 핀테크 산업
개요
핀테크 산업 현황
핀테크 산업 배경과 특징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 국가가 불과 반세기 만에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것은 기적적인 일이다. 전 세계에서 이러한 기적을 보여 준 대표적인 나라가 이스라엘과 대한민국이다. 두 나라는 같은 해인 1948년에 건국됐고, 1960년대까지는 낙후된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1970~1980년대에 산업구조의 전환을 이루고, 2020년대에 이르러서는 전 세계가 경이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나라가 됐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국가로서의 변신은 한국이 빨랐지만 스타트업startup 국가로서의 변신은 이스라엘이 탁월한 성과를 나타냈다.
이스라엘은 실리콘 밸리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활발한 벤처 생태계가 되면서 “실리콘 와디Silicon Wadi”로 불리기 시작했다. IT, 사이버 보안, 핀테크 등에서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2021년에는 250억 달러가 넘는 투자금을 유치했다. 당시는 이스라엘 벤처 캐피털 투자의 전성기로, 국민 1인당 미국보다 28배 많은 자금이 유치됐다. 이어서 2022년 이스라엘의 하이테크 산업은 663건의 펀딩을 통해 149억 5,0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2023년 상반기 기준 이스라엘 테크 기업에 대한 국내외 투자 비율을 보면, 이스라엘 국내 자본이 36퍼센트인 반면 국외 자본은 64퍼센트로 두 배가량 많다. 이는 이스라엘 혁신 투자 생태계가 국제화되어 있다는 의미인 동시에,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양면성을 보여 준다.
이스라엘의 기업가정신은 “실패를 받아들이고, 실패로부터 배우고, 리스크를 수용한다”는 생각에 깊게 뿌리를 두고 있다. 이스라엘 문화는 실패의 위험을 기꺼이 떠안는 태도를 존중한다. 용기를 내어 시도하다 실패한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진정한 창조와 혁신을 이루고 싶으면 실패의 위험을 감수할 줄 알아야 하며, 창조와 혁신은 실패의 경험이 쌓이면서 생겨난 결과물이라고 믿는다. 실패해도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가 바로 이스라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