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7831913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0-08-0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강의의 사유 단계
제1강의
1. 자연적 사고 태도와 자연적 학문
2. 철학적(반성적) 사고 태도
3. 자연적 태도에서의 인식 반성의 불합리
4. 참된 인식 비판이 갖는 이중적 과제
5. 인식의 현상학으로서의 참된 인식 비판
6. 철학의 새로운 차원: 과학에 대립하는 철학 고유의 방법
제2강의
1. 인식 비판의 출발점: 모든 앎을 의심할 것
2. 데카르트의 의심의 성찰과 관련하여 절대적으로 확실한 토대의 확보
3. 절대적 소여성의 영역
4. 반복과 보충: 인식 비판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논변에 대한 반박
5. 자연적 인식의 수수께끼: 초월
6. 내재와 초월이라는 두 개념의 구분
7. 인식 비판의 최초의 문제: 초월적 인식의 가능성
8. 인식론적 환원의 원리
제3강의
1. 인식론적 환원의 수행: 초월적인 모든 것을 배제하기
2. 탐구의 주제: 순수 현상
3. 절대적 현상의 ‘객관적 타당성’에 대한 물음
4. 개별적인 소여성으로 제한하는 것의 불가능성: 본질 인식으로서의 현상학적 인식
5. ‘아프리오리’라는 개념이 갖는 두 가지 의미
제4강의
1. 지향성을 통한 탐구 영역의 확장
2. 보편적인 것의 자체소여성: 본질 분석의 철학적 방법
3. 명증의 감정 이론에 대한 비판: 자체소여성으로서의 명증
4. 내실적 내재의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음: 모든 자체소여성이라는 주제
제5강의
1. 시간 의식의 구성
2. 본질의 명증적 소여로서의 본질 파악: 개별적 본질의 구성과 보편성 의식의 구성
3. 범주적 소여성
4. 기호적으로 생각된 것 자체
5. 가장 넓은 범위의 탐구 영역: 인식에서 대상성의 다양한 양태의 구성-인식과 인식 대상성의 상관관계의 문제
부록1 /
부록2 /
부록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