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가/혁명가
· ISBN : 9791157950898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5-09-25
책 소개
목차
간디의 유산
작가의 말_ “간디 선생님, 나는 당신이 필요합니다”
프롤로그_ 인도에서의 10년, 간디와 함께한 평화 순례
1장 내 삶이 나의 메시지입니다
2장 삶의 목적은 봉사입니다
3장 진리는 영혼을 살찌우고 비진리는 영혼을 좀먹습니다
4장 밥상 변화가 세계 혁명의 시작입니다
5장 섹스, 조심하십시오
6장 우리는 신(神)의 거울입니다
7장 기도는 아침을 여는 열쇠요, 밤을 닫는 빗장입니다
8장 스티브 잡스가 날 나답게 잘 봤습니다
9장 종교, 신과 자신의 실현이 목적입니다
10장 붓다의 뜻을 실천하십시오
11장 예수 향기를 더욱더 조용히 뿜어냅시다
12장 비폭력 혁명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13장 병은 자연법칙을 깨트리는 데서 오는 것입니다
14장 육체노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사회의 기생충입니다
에필로그_ 내 삶의 비밀을 알려드립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실 나도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왔는지 그때는 몰랐고 그것을 생각할 겨를도 없었습니다. 내 말을 듣자마자 역무원들은 내 가방을 기차 밖으로 던지고 아예 나를 기차에서 쫓아내 내팽개치더군요.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말이죠. 그리고 기차는 떠나 버렸습니다. 그날 밤 역무실에서 밤을 지새웠어요. 잠이 올 리가 없지요.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그런 수모와 멸시를 당하고 나니까 오히려 내 삶과 세상이 뚜렷하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밤에 잠 못 이루며 ‘나는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해야 되는가?’ 지금 표현으로 하면 나의 다르마, 즉 의무를 깊이 생각했습니다. 남아프리카에서 나의 권리를 위해 싸울 것인가 아니면 인도로 돌아갈 것인가를 고민했습니다. 그때 ‘나의 의무는 이것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저항하는 것이다. 이것을 완수하지 않고 인도로 돌아가는 것은 비겁한 일이다’라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나에게 닥친 곤경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피부색에 대한 편견이라는 백인들의 뿌리 깊은 질병을 보여 주는 하나의 증상이다. 가능하다면 이 병을 뿌리 뽑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고, 그 과정에서 있을 고통을 견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잘못된 것을 고치기 위해, 즉 피부색에 의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역무원들이 너무도 고마워요. 나를 나 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니까요.”
- 1장, 내 삶이 나의 메시지입니다 中
진리에 대한 대화는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 대화를 마치면서 한 가지 가벼운 마음으로 묻고 싶습니다. 다소 당돌한 질문으로 들릴 수 있을 텐데요, 진리의 길을 영원한 청년으로 걸어가신 선생님! 그런 진리 추구의 삶은 행복하셨습니까?
“하하~ 나를 웃음 짓게 하는 질문이군요. 행복해지고 싶나요? 그러면 진리와 관련해 내가 행복한 삶의 비밀 하나를 알려드리지요, 행복의 열쇠는 진리를 추구하는 삶 자체에 있습니다. 곧 진리를 받드는 삶이 행복한 삶입니다. 나는 인도의 종(servant)이 아니라 진리의 종으로 살았다고 자부합니다. 진리의 길이 바로 나와 이 세계를 위한 평화의 길입니다. 나는 삶에서 줄곧 마음의 아름다운 평화를 느껴 왔습니다. 이런 나의 삶을 누가 행복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 3장, 진리는 영혼을 살찌우고 비진리는 영혼을 좀먹습니다 中
단식이 사회 변화를 일으키는 힘과 무기, 비폭력 저항이 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 사회를 보면 단식을 마치 하나의 사회 정치적 이벤트로 남발하는 경향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단식 저항 이후 거기에 맞는 변화가 뒤따르지 않는 것을 보면 좀 씁쓸하기도 하고요.
“단식 저항에 대해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단식은 인간의 노력으로는 완전히 속수무책일 때 사용하도록 신이 우리에게 내려 주신 유일한 무기입니다. 단순히 음식을 먹지 않는 것으로 단식을 시작하고 끝내는 것이 아닙니다. 무조건 단식한다고 자신과 사회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도 아닙니다. 단식은 일차적으로 자신과 신(神)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서 하는 일입니다. 철저하게 자신을 비우는 행위이고 그것을 통해 신이 감동하면 세계는 변화될 것입니다. 그래서 계속 강조하지만 단식은 음식을 먹지 않는 그 이상의 뜻이 있는 것입니다. 단식의 가장 큰 몫은 기도, 즉 신과의 영적 친교입니다.”
- 4장 밥상 변화가 세계 혁명의 시작입니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