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일본문학론
· ISBN : 9791158260316
· 출판일 : 2015-12-01
목차
차례
머리말
Ⅰ. 상대 【구정호】
01 박자 맞추며 노래하기
02 임신(壬申)년에 일어난 일
03 오늘은 하늘도 허락하신 날
04 와카의 아버지 스사노오노 미코토
05 가요가 문자를 만났을 때
06 만요슈를 만나기 전에 알아야 할 한 두가지
07 유라쿠(雄略)에서 야카모치(家持)까지
08 홀로 애태우며 슬퍼하는 것이 사랑
09 만요슈 20권에는 어떤 노래가 있을까?
10 머리맡에 놓은 말
11 만요슈의 시대구분
12 금원(禁苑)에서 읊은 노래
13 2기 의 가인(歌人)들
14 가성 히토마로(人麻呂)
15 술사랑 가족사랑
16 마지막 가인 야카모치
17 해학이 담겨있는 노래
18 생활의 발견 아즈마우타
19 어느 군인의 노래
20 가자! 헤이안와카로
참고문헌
Ⅱ. 중고 【최충희】
01 귀족들이 풍류를 즐기던 시대
02 한시 덕분에 일본 와카는 탄생했다
03 임금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와카집
04 작자 미상의 노래가 갖는 의미
05『고킨와카슈』의 시대구분
06 노래의 신선이 6명이라고
07 일본을 대표하는 플레이보이
08 황진이에 버금가는 절대가인
09 정열적 사랑을 읊은 여류 가인
10 와카를 대표하는 가인
11 사랑에도 단계가 있다
12 와카는 헤이안시대 필수품
13 임금님마다 와카집을 만들었다
14 와카표현에 숨겨진 비밀
15 개인은 와카집을 만들 수 없나요?
16 와카 겨루기 시합
17 애절한 사랑을 와카로 교환했다
18 와카를 관장하는 관청이 있었다
19 와카와 더불어 성행했던 노래에 대한 이론
20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시인
참고문헌
Ⅲ. 중세 【박혜성】
01 전란의 시대에 꽃핀 귀족 시가문학
02 중고와 중세 가단을 잇는 가교자
03 꽃과 달을 사랑한 방랑 가인
04 신풍의 기운
05 와카가 도달한 상징미의 아름다움
06 난 와카가 너무 좋아
07 육백 수의 노래 경합, 천오백 수의 노래 경합
08 새로운 가풍으로의 인도자
09 비운의 여류 가인
10 이미지 차용의 극대화
11 ?제이의 가론, 데이카의 가론 그리고 유겐
12 백 명의 백 가지 노래
13 나도 내 맘에 드는 와카집을 만들테야
14 우리 집안이 최고야
15 내 마음에 보이는 서경가
16 사슬처럼 이어지는 문학 유희
17 꽃도 피니 시심이 솟는구나
18 함부로 지으면 안되지, 규칙이 있는걸
19 천황도 인정한 우리의 문학성
20 렌가의 완성은 내가
참고문헌
Ⅳ. 근세 【이현영】
01 렌가에서 ‘하이카이노렌가’로
02 100구, 36구를 이어가야 하나의 작품이 완성된다
03 ‘데이몬 하이카이’란?
04 ‘단린 하이카이’란?
05 바쇼도 한때는 ‘데이몬·단린 하이카이’를 즐겼다
06 후카가와 초암에서의 일상
07 ‘목숨을 건 여행’이라니?
08 ‘쇼후 하이카이’에 눈뜨게 한 작품
09 바쇼, ‘오이노 고부미’ 여행을 떠나다
10 바쇼, 2400킬로미터의 하이카이 수행을 떠나다
11 『오쿠노 호소미치』의 등장인물들
12 바쇼의 제자, 교라이(去來)와 본초(凡兆) 이야기
13 바쇼의 도(道)을 이은 열 명의 제자
14 요사 부손의 삶과 죽음
15 부손의 봄과 여름
16 부손의 가을, 그리고 겨울
17 고바야시 잇사의 삶과 죽음
18 ‘교카’라고 하는 문학
19 ‘센류’는 기고(季語)와 기레지(切字)가 없어도 된다
20 근세시대에도 와카의 전통은 이어지고
참고문헌
Ⅴ. 근현대 【고한범】
01 근현대의 운문문학
02 하이쿠와 단카의 혁신을 주도한 마사오카 시키
03 근대시의 새벽을 열은 시마자키 토손
04 정열적인 삶과 사랑을 노래한 요사노 아키코
05 서구시 번역으로 일본 상징시에 큰 영향을 끼친 우에다 빈
06 가난이 낳은 천재적 가인 이사카와 타쿠보쿠
07 이국적 정서를 노래한 기타하라 하쿠슈
08 전쟁 찬미로 지탄을 받은 인도주의 시인 다카무라 코타로
09 구어자유시를 완성한 하기와라 사쿠타로
10 불우한 가정환경을 딛고서 시혼을 불사른 무로 사이세
11 모노가타리(物語)의 형식을 서정시에 도입한 사토 하루오
12 법화경을 실천하며 농민을 위해 산 미야자와 켄지
13 반전과 반체제의 저항시인 가네코 미쓰하루
14 프롤레타리아 시의 일인자 나카노 시게하루
15 전통 와카를 시에 접목시킨 국민시인 미요시 타쓰지
16 사랑하는 여인에게 버림받은 슬픔을 노래한 나카하라 츄야
17 격렬한 꿈을 허무적으로 노래한 이토 시즈오
18 전쟁으로 황폐해진 심경을 노래한 아유카와 노부오
19 자유시에 고전적 기법을 시도한 다무라 류이치
20 현대 단카의 신데렐라 다와라 마치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