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후습유와카집 (140수 정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33632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8-12-27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33632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8-12-27
책 소개
일본 헤이안 시대의 네 번째 칙찬 와카집인 <후습유와카집>을 국내 최초로 소개한다. 전체 1218수 중 140수를 정선해 옮겼다. <후습유와카집>은 국풍 문화를 되살리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된 와카집이다.
목차
봄노래 상(春上)
봄노래 하(春下)
여름 노래(夏)
가을 노래 상(秋上)
가을 노래 하(秋下)
겨울 노래(冬)
축하 노래(賀)
이별 노래(別)
여행 노래(羇旅)
애상 노래(哀傷)
사랑 노래 1(恋一)
사랑 노래 2(恋二)
사랑 노래 3(恋三)
사랑 노래 4(恋四)
잡가 1(雑一)
잡가 2(雑二)
잡가 3(雑三)
잡가 4(雑四)
잡가 5(雑五)
잡가 6(雑六)
해설
엮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후지와라노 미치토시 (엮은이)
정보 더보기
≪후습유와카집≫은 시라카와 임금의 명령으로 최측근이라고 할 수 있는 후지와라노 미치토시(藤原通俊, 1047∼1099)가 단독으로 선정한 칙찬 와카집이다. 후지와라노 미치토시는 치부경 권중납언(治部卿權中納言) 쓰네미치(經通)의 손자, 태재대이(太宰大二) 쓰네히라(經平)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인물이다. 1059년 열세 살의 나이로 처음 벼슬에 올라, 소납언(少納言), 변관(弁官)을 거쳤고, 1084년 38세에 참의(參議)에 올라, 임금에게 ≪후습유와카집≫의 편찬을 명 받았다. 이후, 임금의 총애는 더욱 견고해져, 벼슬은 1094년 중납언(中納言), 치부경(治部卿)까지 이르렀고, 53세의 나이로 1099년에 사망했다. ≪후습유와카집≫의 단독 선자로 선정되었을 당시에는 이와 관련해 노래에 대한 그의 심미안, 선자로서의 자질에 관해 많은 잡음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의 ≪금엽와카집(金葉和歌集)≫부터 마지막 칙찬 와카집인 ≪신속고금와카집(新續古今和歌集)≫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한 수에서 두 수가량의 노래가 선정될 정도로, 후대의 미치토시에 대한 평가는 그가 칙찬 와카집의 선자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리 박하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펼치기
최충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다.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취득한 후, 문부성 장학생으로 도일했다. 도쿄대학교 대학원 인문사회계 연구과에서 중세 가인 돈아(頓阿)의 와카를 테마로 해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6년 귀국 후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방송대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문학에 관련한 강의를 하고 있다. 중세 남북조 시대의 가인, 돈아의 와카를 중심으로 다이에이(題詠) 영법의 특징과 중세 가단들의 관계를 테마로 해서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 《후찬와카집 천줄읽기》(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금엽와카집 / 사화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9), 《천재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최충희의 다른 책 >
박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고교 교사로 재임하다가 일본 문부과학성 전액 장학생으로 도일했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 중세 시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한국외국어대, 고려대, 인하대 등에서 강의했고 1993년부터 현재까지 국립 한밭대학교 일본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고전 시가 문학, 일본 문학 교육이고 그중에서도 와카가 주된 대상이다. <교고쿠파 와카의 고찰>, <동영상으로 가르치는 일본 고전 시가 문학>, <영상을 이용한 일본 문학 교육 방법론> 외 많은 논문이 있으며 저서로는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태학사, 2004), ≪햐쿠닌잇슈의 작품 세계≫(공저, 제이앤씨, 2011)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93∼138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박혜성의 다른 책 >
구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취득 후, 일본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국문학 전공)에 유학해 ≪만엽집(万葉集)≫을 비롯한 일본 고전 시가 문학을 공부하고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태학사, 2004), ≪만요슈≫(살림출판사, 2005), 역서로는 ≪고킨 와카슈≫(소명출판, 2010,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도서 선정), ≪신코킨와카슈≫(도서출판 삼화, 2015,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도서 선정),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등이 있고, 40여 편의 ≪만엽집≫과 헤이안 와카 관련 논문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사화와카집≫ 351∼413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구정호의 다른 책 >
남이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단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일본어와 일본 문학을 전공한 후 일본짓센여자대학 문학연구과에서 일본 고전 문학을 전공, <이즈미시키부 와카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군산대학교 동아시아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와카와 일본 고전 문학 교육에 관심을 갖고 <일본 고전 시가에 나타난 반딧불[螢]의 이미지>, <≪古今和歌集≫ 戀歌와 헤이안 문학>, <일본 고전 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미나모토 시타고의 언어 유희 세계>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311∼386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남이숙의 다른 책 >
이준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취득한 후,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 연구과에서 표상 문화론을 전공했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에도 시대(江戶時代)의 게사쿠(戱作)와 우키요에(浮世繪) 그리고 가부키(歌舞伎) 등 일본 근세 문학을 포함해서 일본 문화가 오늘날까지 어떻게 표상되었고 어떠한 형태로 문화와 산업이 유착되어 가는지 밝히는 것이다. 대한일본문화학회 회장 및 한국일어일문학회 부회장으로 현재 활동 중이며 일본사상사학회 부회장을 지낸 바 있다. 주요 저서로는 ≪江戶の文事≫(공저), ≪주신구라 47인 사무라이의 복수극≫, ≪문화로 읽는 주신구라≫, ≪교양 일본문화론-일본문화는 어떻게 표상되었나≫(2014년 세종도서 교양 부문 선정 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주신구라의 사상사적 접근>, <주신구라와 에도 문화>, <우키요에로 본 주신구라>, <자포니슴 속의 신체 표상-사다얏코의 경우->, <浮世繪의 情報性과 그 行方>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사화와카집≫ 133∼164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이준섭의 다른 책 >
허명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일본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일본 고전 시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 박사 취득 후 6개월간 도쿄 가쿠게이대학(東京學藝大學)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다. 1997년부터 현재까지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세경대학교 카지노경영과에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고전 문학 속 와카에서 읊어진 우타마쿠라, 즉 명소를 중심으로 헤이안 시대 사람들의 여행에 대한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나아가 팔대집 속에 들어 있는 병풍가를 중심으로 직접 여행하지 않고도 병풍 속 풍경을 보고 노래를 읊는 와카의 기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국제교류센터장 및 세경외국어체험마을 원장직을 수행 중이다.
저서로 ≪BEAUTIFUL JAPANESE FOR TRAIN PASSENGER SERVICES≫(공저, 도서출판 범하, 1994), ≪실무일어회화≫(세경대학, 2004), ≪유쾌한 에피큐리언들의 즐거운 우행≫(가람기획, 2006), ≪상황별 일본어 회화 초급, 중급, 고급≫(세경대학 외국어체험마을, 2009) 등이 있으며,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고 일본 시가 문학 연구와 관련한 논문이 다수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사화와카집≫ 264∼297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허명복의 다른 책 >
권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에 유학해 일본 고전 시가 문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와카 문학이다. 칙찬집인 ≪신고금와카집(新古今和歌集)≫의 구조적 연구로 석사 학위를, 사가집인 ≪무라카미어집(村上天皇御集)≫의 문화사적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에는 와카의 연사(?詞)의 통사적인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표적인 저역서로는 ≪제4무궁화≫(공저, 한돌피앤씨, 2017), ≪격조와 풍류≫(어문학사, 2007), ≪천력기의 후궁 사회와 문학≫(제이앤씨, 2004),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등이 있으며, 헤이안 와카 문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243∼308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권혁인의 다른 책 >
김임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7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일본 간사이(關西)대학에서 대학원을 졸업했다. 부산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대한일어일문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 『藤原仲文集全釋』(공저, 1998), 『伊勢物語古註釋書コレクショソ』(공저, 1999), 『王朝文學の本質と變容』(공저, 2001), 『사이카쿠가 남긴 선물』(2011), 『일한중의 교류』(2012), 『능운집』(공역, 2016), 『문화수려집』(공역, 2017) 등이 있다. 전공 분야는 모노가타리(物語) 수용사이며, 관심 분야는 헤이안(平安)시대 한문학이다. 관련 논문으로 「《능운집》의 도연명 수용 양상」(2015), 「《문화수려집》에 보이는 발해사절시」(2016), 「칙찬한시집의 변방시 전개양상」(2019), 「칙찬한시집의 여성화자시 연구」(2021), 「칙찬한시집의 은일(隱逸)시 연구」(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임숙의 다른 책 >
이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가가하이단과 쇼후의 연구》,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국제 세시기의 비교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습유와카집》(공역), 《후습유와카집》(공역)이 있다.
펼치기
이현영의 다른 책 >
이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다.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취득한 후, 문부성장학생으로 도일했다. 도쿄대학교 대학원 인문사회계 연구과에서 돈아(頓阿)의 와카를 테마로 해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6년 귀국 후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방송대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문학에 관련한 강의를 하고 있다.
중세 남북조 시대의 가인, 돈아의 와카를 중심으로 다이에이(題詠) 영법의 특징과 중세 가단들의 관계를 테마로 해서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 ≪후찬와카집 천줄읽기≫(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등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416∼469번, ≪사화와카집≫ 335∼348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이상민의 다른 책 >
배경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고전 시가 문학으로, 그중에서도 와카 연구를 테마로 해서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에 유학해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 및 일본 문학에 관련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금엽와카집 / 사화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9)이 있으며 ≪천재와카집≫에서 967∼1054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배경아의 다른 책 >
강성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대학 대학원에 유학해 일본 근세 문학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오사카대학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2017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신학대학교 일본어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근세 문학, 그중에서도 조선 통신사와 일본 문인 간의 한문학 교류이며, 일본 근대 기독교사에 대해서도 논문을 발표했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아메노모리호슈의 한시관(雨森芳洲の漢詩?)>[≪근세문예(近世文藝) 96호≫, 2012] 등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사화와카집≫ 170∼207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강성국의 다른 책 >
강운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만엽집(万葉集)≫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동대학교에서 교양일본어를 강의하고 있다. 현재는 가어 ‘家’를 테마로 연구 중이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사화와카집≫ 216∼249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강운경의 다른 책 >
구혜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히로시마대학 대학원에 유학해 일본 고전 시가 문학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1999년 3월 히로시마대학교에서 이마요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2007년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에서 일본 담당 조사관으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고전 시가, 그중에서도 가요인 이마요가 와카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당시에 유행했는지를 탐구했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161∼232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구혜경의 다른 책 >
김인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다. 동대학원에서 일본 중세 문학에 나타난 풍류 중 ‘스키(數寄)’라는 미의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키(數寄)’라는 미의식을 일본 중세에서 근세로 확장해 일본의 다도(茶道) 문화에서 보이는 ‘스키(數寄)’라는 미의식의 특징과 한·일 차 문화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서강대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에 관련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으며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550∼620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김인혜의 다른 책 >
박상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취득 후, 일본 오사카외국어대학 대학원에 유학해 일본의 대표적 근대 시인인 미요시 타쓰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9년부터 서울여자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는 인문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독교 수용을 중심으로 일본적 풍토와 전통적 개념을 고찰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나카하라 주야를 비롯한 일본 근현대 시인의 시에 나타난 ‘상실과 고독, 구원과 치유’라고 하는 테마에 입각해 일본적 풍토를 고찰하고 있다. 한국 일어일문학회 총무이사 및 국내 다양한 일본 연구 관련 학회에서 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저서로는 ≪일본 문학 속의 기독교≫(공저, 제이앤씨, 2011), ≪문학, 일본의 문학≫(공저, 제이앤씨, 201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관련 논문이 있다. ≪금엽와카집/사화와카집≫에서 ≪금엽와카집≫ 484∼533번 노래를 옮겼다.
펼치기
박상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설날에 읊다
正月一日よみ侍りける
어찌 된 걸까 하룻밤 자고 깨니 어제를 작년 오늘을 새해라고 다르게 말하다니(고오키미, 1)
いかに寢て起くる朝にいふことぞ昨日をこぞ今日をことしと(小大君,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