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구본욱 (지은이)
학이사(이상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5854005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5-08-31

책 소개

조선 중기의 유학자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부자의 학문과 생애, 정광천의 시조를 다루는 책이다. 임하 정사철은 대구 유학의 3대 거두 중의 한 분으로, 대구의 주요 강학소 선사서당을 열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으로 크게 활약하였다.

목차

제1부 _ 금호강 하류에 선사서당仙査書堂을 연 임하林下 정사철鄭師哲
1. 임하 정사철의 생애
2. 학문과 사상 및 교유
1) 소학의 중시와 주역연구
2) 성리학의 연구와 퇴계학의 지향
3) 예학의 연구
4) 사우師友와 한강 정구와의 교유
3. 아금암과 아금정
1) 아금의 의미와 아금정의 건립
2) 아금정의 은거와 안빈낙도
4. 선사서당의 건립과 강학
1) 선사사와 선사서당
2) 선사서당 강학
5. 결어

제2부 _ 임하 정사철의 학문과 임진란 팔공산 창의
1. 임하 정사철의 생애
2. 학문과 사상
3. 강학과 한강 정구와의 교유
4. 대구지역의 의병과 팔공산 창의倡義
5. 금암서원의 제향
6. 결론

제3부 _ 정광천鄭光天의 술회가 소고述懷歌小考

제4부 _ 낙애실기洛涯實記의 단가短歌

제5부 _ 연경서원의 경영과 유현儒賢들
1. 연경서원의 창건과 경영
1) 창건과 중건
2) 강학과 통강
3) 봉안과 제향
2. 연경서원의 유현들
1) 계동 전경창
2) 송담 채응린
3) 임하 정사철
4) 낙재 서사원
5) 모당 손처눌
6) 괴헌 곽재겸
7) 연정 류요신
8) 낙애 정광천
9) 태암 이 주
3. 결론

부 록
1. 정씨鄭氏의 득성得姓과 동래東萊의 득관得貫과 세계世系
2. 세거지와 원재院齋
3. 선조의 행장行狀
4. 금암서원琴巖書院
5. 금재명루노수정공묘갈명琴齋明樓老?鄭公墓碣銘
6. 금와정공묘갈명琴窩鄭公墓碣銘

저자소개

구본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대구 출생 계명대학교 철학과와 영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동양철학 전공)를 졸업하였다. 철학박사. 10여 년간 사서(四書)와 삼경(三經) 등 유학의 경전을 공부하였다. 경북대 퇴계연구소 특별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 특별연구위원·산학협력 교수를 역임하였다. 디지털 <대구역사문화대전> 집필위원, (사)대구학회 회장,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임하 정사철과 낙애 정광천 선생』, 『조선의 청백리 이영 선생』(역서), 『대구 유림의 임진란 의병활동』, 『小有亭 題詠錄』, 논문으로 〈대구지역의 성리학을 연 계동 전경창〉, 〈연경서원의 경영과 조선 중기 대구지역의 유학〉, 〈경상감영의 설치와 그 시기〉, 〈대구의 달성토성과 달성서씨〉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은 조선 중기에 대구에서 활약한 임하 정사철 선생에 관한 글을 필자가 발표한 것과 낙애 정광천 선생의 시조에 관한 두 분의 글을 합한 책입니다. 임하공께서는 계동 전경창, 송담 채응린 선생과 더불어 대구유학의 세 분 선생 중의 한 분입니다. 불행히 계동, 송담 두 분 선생께서 먼저 타계하심에 임하공께서는 고운 최치원 선생이 머문바 있는 선사사仙?寺의 옛터에 서당을 열고 지역의 유림들을 모아 강학하는 것을 임무로 삼았습니다. 선사서당은 임진란 후 낙재 서사원 선생이 계승하여 강학함으로써 연경서원과 더불어 대구지역 유학의 르네상스시대를 열게 한 주요 강학소였습니다.
또 임하공께서는 임진란이 일어나자 팔공산에서 창의하여 대구지역의 의병인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의 의병대장에 추대되었으며, 그 아드님 낙애공께서는 하빈면 남면南面의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습니다.
필자는 2009년 3월부터 대구향교에서 발행한 유림신문에 계동과 송담 선생에 관한 글을 27회에 걸쳐 연재하였으며, 2012년 6월부터 2014년 3월까지 9회에 걸쳐 임하공에 대하여 연재를 하였습니다. 이로써 대구지역 유학의 원류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는 5편의 글을 수록하였습니다. 제1, 2, 5부는 필자가 그 동안 발표한 논문이고 제3, 4장은 이상보 선생과 고故 서재극 교수가 쓴 낙애공의 시조에 관한 글입니다. 제1부는 유림신문에 게재한 글을 정리하여『조선사연구(제23집, 2014)에 발표한 논문이고, 제2장은 임진란 정신문화선양회의 「임진란 위훈록壬辰亂偉勳錄」의 원고로 작성된 것인데, 앞의 생애 부분은 위 논문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나 임하 · 낙애 선생과 대구지역 유림의 임진란 의병활동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제3부는 이상보 선생이 쓴 글이고 제4부는 서재극 교수의 글로『낙애일기』영인본의 부록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제5부는 대구 최초의 서원으로 퇴계선생의 서원 10영詠에 포함되어 있는 연경서원과 관련하여 대구지역 제1, 2세대 유학자 9분에 관하여 쓴 글입니다. 말미에 첨부된 부록은 문중에서 작성한 자료에 의거하였습니다.
이 책이 대구지역의 유학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다행이겠습니다.


理屐尋山策短笻 나막신을 신고 짧은 지팡이를 짚고 산을 오르니
石門深處白雲封 석문石門 깊은 곳에는 흰 구름이 걸려있네.
升高妙訣君知否 산을 오르는 묘한 비결을 그대는 아는가?
去去須登最上峯 한발 한발 나아가면 모름지기 최상봉에 이른다네. 정사철, 「임하실기」, 권1 시, <次朱訒之 愼言 遊公山韻>.

위의 시에서 정사철은 먼저 구름이 깔려 있는 팔공산의 모습을 말하였고, 이어서 ‘산을 오르는 묘한 비결을 그대는 아는가.’라고 묻고 있다. 이 말은 ‘그대는 산을 오르는 묘한 비결이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말과 같은 의미이다. 여기에 대하여 정사철은 산을 오르는 묘결妙訣은 없고 한 발 한 발 나아가면 정상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 시는 자연을 읊은 순수한 서정시이나 정사철은 ‘학문하는 방법’을 등산에 비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면 학문을 하는 데에는 특별한 비결이 없고 부단히 노력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