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조선의 얼굴](/img_thumb2/9791158545116.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조선의 얼굴 (영남좌도 인물 문중 풍습으로 보는 우리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854511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6-26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854511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6-26
책 소개
영남 좌도를 중심으로 우리 역사 전반을 다룬다. 영남 좌도에는 문집과 목판, 비문, 왕조실록과 내방가사 등 위대한 기록 유산을 한문, 이두, 언문, 한글로 기록한 이들이 있었다. 또한 독립의 별이 된 여인들, 영의정과 대제학, 제주의 전설이 된 영남 목민관 등 조상의 행적을 더듬어 간다.
목차
제1부 역사의 향기
선비의 향기, 문집과 목판
과거, 천년왕조의 원동력
조상의 글, 한문 이두 언문
죽은 자에게 바치는 글, 비문碑文
영남 양반가의 혼반婚班 이야기
씨족의 출발, 성과 본관
제2부 선비의 노래
영남세가와 불천위 제사
조선 선비의 거룩한 분노, 만인소
영남선비는 왜 사도세자를 위해 목숨을 던졌는가
천하제일의 문장, 서얼선비 신유한
팔경구곡, 그 오만한 선비문화
역사의 기록자, 조선 사관과 사초史草
위대한 유산 왕조실록과 다섯 사고史庫
제3부 조상, 그 위대한 사람들
의義를 머금고 독립의 별이 된 여인들
24년 귀양살이에 역사를 노래한 이학규
조선의 으뜸 관리, 영의정과 대제학
의서醫書의 경전, 허준의 『동의보감』
청사에 빛나는 목민관의 선정
제주의 전설이 된 영남 목민관
관리의 사표, 이도吏道의 등불 청백리
제4부 선비사회의 사랑과 미움
조선의 르네상스와 영남의 눈물
정약용의 『하피첩』과 황사영의 백서帛書
선비사회의 유배와 사랑
유배문학, 절망 속에 핀 유배의 꽃
남은 자의 슬픔, 상례 만가 만시輓詩
내방가사, 양반여성의 놀이문학
국문학사에서 처음 발굴된 부부 한글가사
제5부 남아있는 자를 위하여
고을의 조건, 객사 관아 향교
사족士族의 집, 종택·서원·사우·재실·정자
왜인과의 통상·외교의 공간, 왜관
금가루처럼 빛나는 봉화의 반촌마을
동해안 7번 국도 변의 명문 종가들
경주, 그 그리운 것들을 위하여
고운 최치원의 자취를 찾아서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