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854501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4-23
책 소개
목차
제1부 역사의 향기
선비의 향기, 문집과 목판
과거, 천년왕조의 원동력
조상의 글, 한문 이두 언문
죽은 자에게 바치는 글, 비문碑文
영남 양반가의 혼반婚班 이야기
씨족의 출발, 성과 본관
제2부 선비의 노래
영남세가와 불천위 제사
조선 선비의 거룩한 분노, 만인소
영남선비는 왜 사도세자를 위해 목숨을 던졌는가
천하제일의 문장, 서얼선비 신유한
팔경구곡, 그 오만한 선비문화
역사의 기록자, 조선 사관과 사초史草
위대한 유산 왕조실록과 다섯 사고史庫
제3부 조상, 그 위대한 사람들
의義를 머금고 독립의 별이 된 여인들
24년 귀양살이에 역사를 노래한 이학규
조선의 으뜸 관리, 영의정과 대제학
의서醫書의 경전, 허준의 『동의보감』
청사에 빛나는 목민관의 선정
제주의 전설이 된 영남 목민관
관리의 사표, 이도吏道의 등불 청백리
제4부 선비사회의 사랑과 미움
조선의 르네상스와 영남의 눈물
정약용의 『하피첩』과 황사영의 백서帛書
선비사회의 유배와 사랑
유배문학, 절망 속에 핀 유배의 꽃
남은 자의 슬픔, 상례 만가 만시輓詩
내방가사, 양반여성의 놀이문학
국문학사에서 처음 발굴된 부부 한글가사
제5부 남아있는 자를 위하여
고을의 조건, 객사 관아 향교
사족士族의 집, 종택·서원·사우·재실·정자
왜인과의 통상·외교의 공간, 왜관
금가루처럼 빛나는 봉화의 반촌마을
동해안 7번 국도 변의 명문 종가들
경주, 그 그리운 것들을 위하여
고운 최치원의 자취를 찾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사를 연구한 미국 하버드대학교 에드워드 와그너(1924~2001) 교수는 우리나라 반촌지역을 ‘초승달 모양의 양반지대’라 표현했다. 반도 동남쪽에서 서북쪽으로 이어진 비옥한 충적평야에 형성된 동성부락지대가 초승달 형상과 같다고 했다. 그 시작점이 영남이었다.
-‘영남세가와 불천위 제사’ 중에서
숙종 20년(1694년)은 영남 남인이 마지막으로 피 흘린 해였다. 갑술환국이라 일컫는 그해 이후 백 년 동안 영남인은 미천한 시골선비로 취급받으며 과거급제 하여도 당상관 보임은 하늘의 별따기였고 참상(參上, 3품에서 6품)조차 되기 어려웠다.
삼십 년 뒤 이인좌 난(1728년)에 반역향으로 낙인찍혀 영남 양반가문 대부분은 중앙 진출의 꿈을 버리고 농토에 기반을 둔 재지(在地)사족이 되어 향촌을 지켰다. 정조가 등극하고 십여 년이 지난 1788년 채제공이 우의정 되어 국정을 이끌자, 정조는 영남인을 달래고 우군세력으로 키우기 위해 경주 숭덕전과 도산·옥산서원에서 치제(致祭, 왕의 제사)를 지내고 도산서원에서 영남별시(특별과거)를 열었다.
- ‘조선 선비의 거룩한 분노, 만인소’ 중에서
1762년 영조 38년 윤오월 13일, 영조는 대리청정하고 있는 왕세자이자 자신의 아들인 사도세자를 7월 염천에 뒤주에 가두어 굶어죽게 하였다. 이 사건이 조선 오백 년 왕가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임오화변(禍變)이다. 이 참혹한 현장을 처음부터 목격한 영남 선비가 있었는데 세자에게 『역경』을 가르친 시강원 관리 권정침이다. 화변의 그날에 세자를 비호하다가 영조의 노여움으로 형장에 끌려갔고 특지로 풀려나 낙향했다. 하늘 보기 부끄러워 세상과 담을 쌓고 그날의 일을 기록으로 남겼다. 『서연일기』이다.
- ‘영남 선비는 왜 사도세자를 위해 목숨을 던졌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