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5860508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08-30
목차
축 사 | 사랑을 주제로 한 시의 축제_문효치(시인·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발간사 | 영원한 주제 사랑_정성수(한국문인협회 시분과 회장)
편집인의 말 | 사랑 숲에서의 몇 달_이정현(한국문인협회 시분과 사무부장)
강기옥 | 그리움
강별모 | 스타킹
강병원 | 거울 속의 나
강봉중 | 안개
강성오 | 흔들리는 게 어디 불빛뿐이랴
강숙려 | 나는 꽃 처녀
강신기 | 물새 사랑놀이
강영순 | 꿈속의 향기
강옥희 | 별보다 고운 눈물 내 안에 가두고
강외숙 | 파두 난 너의 사랑을 안다
강우식 | 사랑시초
강정화 | 아직도 우리 사랑 유효한 걸
강진구 | 유채밭 사잇길을 걸어가다
강희동 | 어떤 사랑의 기억 한 조각
고광수 | 그립다 합니다
고산지 | 윙크
고수진 | 가을 무정
고창수 | 아내에게
공석진 | 그래서 더욱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공현혜 | 나의 에트리타
곽종철 | 낙산을 걷는다
구숙희 | 야릇한 감정
구은주 | 꿈에게
구준양 | 첫 마음같이
권규학 | 별은 내 가슴에
권분자 | 술잔
권영춘 | 그 여인
권오정 | 홀홀히 가오신 님아
권우용 | 사랑을 저축하세요
권현수 | 그믐에 뜨는 달
김건배 | 내 사랑 별이 되어
김건일 | 그대
김경명 | 기다리고 있을 거야
김경숙 | 첫눈, 내리고
김경순 | 형광등
김경환 | 나와 같이 떠나실래요?
김교희 | 이름
김규화 | 독으로 시작하는 독도
김금진 | 여자가 사랑할 때
김기원 | 유구왕국
김기원(진주) | 공짜
김년균 | 사랑
김대응 | 그대는 내 노래
김덕조 | 나의 사랑
김도성 | 우리 생의 강가에서
김동원 | 부부
김명동 | 내 사랑하는 당신
김명동(경북) | 임의 속요
김명숙 | 그런 사랑
김명자 | 사랑이 병이라면
김문한 | 한 송이 들국화
김미윤 | 사랑
김밝은 | 장미여관
김병수 | 그리운 나날
김보경 | 짧은 만남 먼 이별
김보림 | 눈이 오는 날은
김봉겸 | 장미의 노래
김삼옥 | 당신의 탑
김상경 | 나는 소망한다 네게 금지된 것을
김석태 | 춘화(春火)
김석호 | 첫사랑
김선아 | 꽃이라 부르다가
김선옥 | 그래서 당신은
김선우 | 그리운 강
김선호(대전) | 시가 맺어준 인연
김성대 | 꽃님아
김성영 | 그리움
김세경 | 12월의 Blue Moon
김세영 | 성소
김송배 | 사랑법·5
김수원 | 단풍 속에 든다
김순 | 봄날
김순자 | 길 위를 걷는 파도 소리
김순희 | 꽃향기
김시종 | 사랑
김시철 | 사랑 편지
김신덕 | 복수초 사랑
김안나 | 반쪽
김안로 | 체리세이지 비가(悲歌)
김여정 | 부끄러워 행복하네
김연하 | 행복한 동행
김영숙 | 지금 어디쯤 있을까
김영일 | 외로운 길
김옥남 | 벚꽃이 필 때면
김완성 | 사랑은
김용성 | 상처를 남기는 사랑이 나는 좋아
김용언 | 사랑도 이와 같다면
김용월 | 눈꽃
김용재 | 흑장미
김운기 | 처음
김운향 | 초원의 꿈
김원용 | 그 얼굴
김원중 | 사랑
김유명 | 울 엄니
김윤호 | 애인
김은 | 그대는 말하고 나는
김은수 | 영원한 사랑
김의식 | 어머니의 세월
김이대 | 구절초 필 때
김인기 | 비에 젖은 새가 되어
김일우 | 낙엽
김잔디 | 사랑을 위하여
김재준(재민) | 그리워서 흘러가는 길
김재천(충남) | 봄빛
김정미 | 보슬비 내리는 밤에
김정임 | 철새는 날아가고
김정조 | 바람의 눈
김정호 | 어머니
김정화 | 바람꽃
김종 | 네가 한 송이 꽃일 때도 나에게는 왜 네 눈물만 보이는지
김종선 | 천년 사랑의 뿌리
김종섭 | 사랑아 너는
김종호 | 한 천 년쯤
김좌영 | 그 길
김창완 | 능소화 핀 골목에서
김태경 | 우리 임은
김태룡 | 강변에 서서
김한선 | 넝쿨장미
김행숙 | 가을비
김현숙 | 사랑
김현숙(안호) | 겨울, 고백하다
김현신 | 가을 편지
김현희 | 다리미질하다가
김형오 | 첫사랑
김혜련 | 커서를 지울 수 있다면
김홍훈 | 내 아내
김화수 | 내가 너를 사랑하는 이유
김화연 | 벌어진 사이
김환식 | 가시연꽃
김후남 | 子宮
김후란 | 사랑
김훈동 | 당신과 내가
남상진 | 강나루 허공을
남재현 | 가을 너만 가렴
노유정 | 연정
라기주 | 사랑
류금선 | 당신이기에
류병구 | 이 가을에
류봉희 | 보고 싶소
류선모 | 아내
류순자(청주) | 오는 봄에게
류시경 | 그리운 소리
리영숙 | 그리움
문덕수 | 줄 서기
문상원 | 그리움
문연자 | 아버지의 사랑 세포
문영하 | 청동거울
문인선 | 궁남지 연꽃에게
문재학 | 짝사랑·2
문정 | 사랑의 확인
문종환 | 눈은 다정과 함께 오는가
문철상 | 그대 부르며
문현미 | 사랑이 읽히다
문효치 |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민문자 | 첫사랑
민용태 | 너만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
박기임 | 벚꽃 길 꽃노을
박명규 | 그 바라기는
박미림 | 못다 한 말
박병래 | 버스를 타고
박봉은 | 걱정 말아요
박상렬 | 더할 수 없는 사랑
박상옥 | 목어
박상일 | 사랑의 빛
박석현 | 겨울 연가
박선종 | 꿈길
박성기 | 찔레꽃
박성철 | 사랑
박수중 | 블라인드 사이드
박순옥 | 햇볕 아까운 날
박영길 | 사랑초
박영배 | 사랑 서설
박영수 | 그렇다
박영춘 | 봄밤, 고독, 씨앗
박영희 | 당신 있음에
박이도 | 피리
박인태 | 봄이 오는 흔적
박정이 | 수줍은 밤
박정희(해남) | 당신
박종길 | 애정이 해일에 멸(滅)하며
박종해 | 석화(石花)
박준영 | 사랑이란
박혜선 | 너를 보내고
박후자 | 찻잔
박희익 | 팽나무 아래 낙동강
방희자 | 죽은 시를 위하여
배갑철 | 아내·1
배윤희 | 향초
백국호 | 사랑
백미숙 | 젖은 눈동자
백운순 | 가슴에 피는 꽃
변도우 | 별을 헤어보자
변보연 | 홀로 선 무명의 돌비
변종환 | 풀잎의 잠
빈봉완 | 샘머리사랑
서부련 | 걸인
서영석 | 천 년 미소
서원생 | 아카시아 꽃
서정남 | 파도가 들려준 귀엣말
서주영 | 그렇게 기울어졌다
석정희 | 사랑 나그네
석희구 | 사랑의 원조
성동제 | 임아 내 임아
성명순 | 한 잎
성성모 | 그리움
성태봉 | 할미꽃
소상호 | 보름달
손민수 | 연산홍 연가
손수여 | 백목련
손은교 | 상사화
손현수 | 물가로 나온 백로의 마음
송귀준 | 옹이
송동균 | 우리 어머니·11
송명섭 | 사랑하면 그래요
송상섭 | 무릎
송양의 | 내 사랑은
송연우 | 내 안의 꽃
송하선 | 초승달
송희(우화) | 사랑
신광호 | 가을날 새벽길에
신사봉 | 사랑의 힘
신세균 | 제비꽃
신수옥 | 사막을 건너오는 시간
신승희 | 수채화 같은 한 사람
신영운 | 사랑을 기다리며
신영희 | 들꽃
신윤호 | 편한 그대
신정일 | 새천년해안도로를 따라
신종현 | 고향 산천 별바위
신표균 | 종착역엔 사랑이 살고 있다
신혜경 |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심억수 | 바다
심은석 | 울 엄니
안봉자 | 그 사막에 가고 싶다
안선희 | 인연
안용석 | 아침 사랑
안재찬 | 손수건
안종관 | 어머니
안한규 | 꽃과 벌
안후영 | 여유
양경모 | 풍경 소리
양명학 | 늙은 사랑·15
양왕용 | 사랑
양창식 | 연모(戀慕)
엄한정 | 손잡이
여학구 | 두견 차(杜鵑 茶)
염항화 | 사랑
오남식 | 부부 사랑
오병욱 | 아름다운 울타리
오소후 | 오월, 그대 이름을 부른다
오현정 | 혀에 꽂힌 사부곡
우덕호 | 추암리에 비가 내린다
우성영 | 강나루
우태훈 | 영원한 내 사랑
위무량 | 나의 피앙세
유나영 | 차 한 잔의 그리움
유승우 | 손잡고 걸으니
유안진 | 갈대꽃
유옥경 | 그 이름 하나로…….
유옥순 | 실반지
유재병 | 도깨비바늘
유현숙 | 가을 이야기
유회숙 | 사랑아
윤경관 | 한 송이 꽃이 되고 싶다
윤고방 | 짝사랑
윤만영 | 바람이었다
윤명학 | 숙사랑
윤순묵 | 당신의 사랑
윤인환 | 사랑
윤재학 | 정화수(井華水)
윤제철 | 책을 버리며
윤준경 | 사랑할 때는
윤하섭 | 사랑의 기교
윤한걸 | 나는 누구인가
윤혜겸 | 이상해요
은희태 | 자연 사랑 농촌 사랑
이가원 | 참새와 허수아비 사랑
이가을 | 5295번 버스
이가인 | 가슴에 담아
이강희 | 눈물
이경미 | 꽃반지
이경아 | 꿈꾸는 사랑
이계설 | 끈
이계향 | 단풍주 한 잔
이궁묵 | 연
이근숙 | 목련꽃
이글샘 | 농부(農夫)
이기덕 | 숨은 일곱 별
이남숙 | 가을 애가
이만균 | 울지 못하는 사랑새
이명희 | 허공
이병근 | 늙은 여인의 언덕
이병두 | 솔로몬의 연가
이병호 | 정겨운 모습
이병희 | 연필을 깎는다
이부녀 | 우리 큰언니
이상규 | 밤안개
이상정 | 사막에 꽃으로 피어나리라
이상조 | 사랑
이성남 | 삼독(三毒)
이성순 | 사랑
이소애 | 사랑
이수동 | 해 저무는 소양강
이수옥 | 인생
이수정 | 사랑
이수화 | 새[鳥]에 관한 에튀드
이순옥 | 월영가(月影歌)
이순자 | 달밤
이시은 | 그리움
이신남 | 연가·3
이어산 | 목수의 얼굴
이연찬 | 그때 그 사람
이영성 | 리스트의 사랑의 꽃
이영숙(영덕) | 엽서
이영숙 | 너에게로
이영순(불광) | 너를 기다리고 싶다
이영순 | 이런 연꽃같이
이영춘 | 그대에게로 가는
이용섭 | 다시 그대 생각
이용수 | 나의 임
이운선 | 그리움
이유식 | 누군가
이점록 | 그대가 있음에
이정현 | 사랑꽃
이종수 | 아름다운 탄생
이종철 | 사랑
이종철(전남) | 동백꽃
이준희 | 파도가 올 때는 이유가 있어요
이지원 | 짝사랑
이지윤 | 사랑을 끝낸 女子는 이제 울지 않는다
이찬용 | 나는 하나
이창민 | 소록도
이창원 | 검은 태양
이채민 | 고흐를 그리며
이철수 | 잊으려 해도
이학덕 | 거합도(居合道)
이한식 | 두향매
이향아 | 손을 잡았다
이현원 | 사랑은
이혜영 | 그래도 좋으리니
임광남 | 시(詩)의 꿈 꿰매다
임규택 | 눈망울 속에 사는 연인
임백령 | 상처를 향하여
임병호 | 강
임보 | 늦은 답장
임보선 | 내 안의 그대
임승천 | 사랑, 또는 그대 향한 그리움
임애월 | 사랑법
임정숙 | 첫사랑
임제훈 | 미니마
임충빈 | 키우며 채운 나날
장동권 | 종이비행기
장동석 | 내 안의 사랑
장문영 | 젊음 만나고 싶다
장봉천 | 그대 곁에 잠들게 하라
장영길 | 화촉식 축시
장윤우 | 그때, 따라나서야 했던 길
장윤태 | 자식이 뭐길래
장지홍 | 목련꽃 그늘에서
장태윤 | 목련꽃 연가
장하지 | 은혼식
장현경 | 연가·1
장형주 | 아버지의 사랑
장효식 | 꽃을 안다
전재승 | 안개꽃 사이로
정경림 | 승봉도의 아침 풍경
정구조 | 어찌 이리 좋은가
정귀봉 | 짝사랑
정다겸 | 웃음 한 조각
정대현 | 빙어
정덕자 | 결혼기념일
정도경 | 붉은 진달래꽃
정명숙 | 마주한 섬
정민호 | 아들에게 주는 시
정삼일 | 감잎 단풍에 담은 연서
정성수 | 고전적
정송전 | 헌책방에서
정수영 | 사랑의 집배원
정순영 | 첫사랑
정순자 | 폭설
정아지 | 그 여름 너머
정영란 | 사랑
정용진 | 사랑
정인관 | 가을 그리고 그 여자
정정근 | 한마음
정정례 | 짝사랑
정종규 | 그리움 비우기
정지안 | 사랑이라는 말 그것 참 생각보다 어려워
정창희 | 여보! 우리 저 꽃을 봐요
정춘희 | 춤추는 창문
정태순 | 삼덕공원에서
정태조 | 오월의 장미
정태호 | 겨울 장미의 꿈
정호영 | 가을의 흔적
조규화 | 동행(同行)
조남명 | 그대와 걷던 길
조덕순 | 외손녀
조덕혜 | 그대가 있어
조두환 | 사랑
조민희 | 사랑이란 이런 거잖아
조부선 | 사랑
조성순(부산) | 孟浪이 첫돌에 부쳐
조성아 | YOU
조세용 | 억새꽃 파도
조원기 | 엄마 소리
조정자 | 사랑할 때는
조종명 | 강
조진우 | 연서(戀書)
조한석 | 그대가 있어
조향순 | 풀벌레 소리
조형식 | 사모곡
조홍련 | 단소를 부는 사나이
주광현 | 아직도 옛 생각이
주영욱 | 그 겨울의 하늘 수박·2
주응규 | 사랑 사색(思索)
지은경 | 즉흥환상곡
진경자 | pm 2시·2
진동규 | 구시포 명사십리
진영학 | 사랑
차영한 | 가을 숲을 사랑하는 까닭은
차옥혜 | 사랑
채바다 | 가슴에 피는 꽃
채수영 | 사랑을 부르면
최광호 | 가을날
최금녀 | 눈 오는 일기
최대락 | 당신이 있어 너무 행복합니다
최대승 | 사랑 이자
최동화 | 로렐라이 언덕
최림 | 하늘 쟁기
최명숙 | 바람의 말
최모경 | 어머니 등에서 울고 싶다
최상화 | 어느 멋진 가을날
최승영 | 세기의 동행·2
최승옥 | 대나무
최승학 | 손금
최영근 | 몽돌의 외출
최원규 | 그리운 그 소리
최은하 | 불나비
최인석 | 갈증을 풀어주는
최재선 | 담장 너머 당신께
최정수 | 그대 향한 내 마음
최정숙 | 꿈길
최종한 | 사랑 유전
최진화 | 꿈
최해필 | 오 지칠 줄 모르는 나의 활화산이여
최현순 | 배낭
최현희 | 수채화
최홍준 | 그대
최휘림 | 노래
태동철 | 인연의 고리
편효성 | 꽃지 노을
하순명 | 순백 편지
한경희 | 사랑
한성국 | 아내의 기도
한수종 | 돈할아버지
한이나 | 도라지 佛
한희정 | 갯바위
함용정 | 봉숭아 사랑·23
허말임 | 겨울 편지
허영자 | 무지개를 사랑한 걸
허혜자 | 목화밭에서
현항석 | 어머니의 기도
홍경흠 | 난행(難行)
홍금자 | 자귀나무 꽃피다
홍기연 | 사랑의 의미
홍나영 | 삶
홍대복 | 가시나요
홍성수 | 슬픈 사랑
홍순선 | 그림자
홍은숙 | 유리그릇
홍춘표 | 어머니 사랑합니다
홍해리 | 사랑
황미광 | 첫사랑
황봉 | 사랑 빚 갚기
황인동 | 정말이다
황진주 | 피와 살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간사]
*영원한 주제 사랑
이번에 한국문인협회에서 시분과 회원들의 시를 모은 세 번째 사화집을 상재합니다. 지난 2015년에 발간한 『한국시인 출세작 1』과 2016년에 발행한 『한국시인 대표작 1』에 이은 2017년의 『한국시인 사랑시 1』이 그것입니다.
시인이 한 권의 시집을 내는 일도 하나의 ‘문화적 사건’인데, 이렇게 수많은 시인들의 시를 모은 사화집 발간은 더더구나 특별한 문화적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한국시인 사랑시』는 우리 한국문인협회 시분과에서 처음으로 기획, 편집하고 출판한 세 번째 문화적 사건이 되는 셈입니다.
이것은 그 질과 양을 떠나서 그 기록적 가치만으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문인들의 최종 문학적 결과는 작품집 발간으로 그 책임을 완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 한국문학의 문학사적 의미로나 독자를 향한 대중적 의미로나 이번 사화집 『한국시인 사랑시 1』은 그 나름의 충분한 탄생의 의미를 스스로 부여받게 됩니다.
‘사랑’은 동서양 모든 시인들의 영원한 주제 중의 하나입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지구촌에서 수많은 사랑시들이 발표돼 왔고 앞으로도 새로운 사랑시들이
끊임없이 태어나게 될 것입니다. 그만큼 사랑은 우리 인류가 지니고 있는 대단히 소중한 정신적 자산 가운데 하나입니다.
『한국시인 사랑시 1』 속에서는 476편의 사랑시가 숨쉬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빛깔의 사랑시들이 저마다의 색채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꽃의 종류가 다르듯이 피어오르는 향기 또한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단체 특유의 그 다양성과 특수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세상에 쉬운 일이 없듯이 『한국시인 사랑시 1』 사화집을 만드는 데도 크고 작은 애로사항이 적지 않았습니다. 그 많은 어려움 속에서 몇 달 동안 수고해준 이정현 사무부장의 노고에 대해 이 자리를 빌어서 고마움을 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제 우리는 한국문학사 위에 또 하나의 탑을 세웠습니다. 시분과 회원 여러분, 시인에게 남는 것은 언제나 작품뿐입니다. 건강과 함께 오래오래 좋은 시 많이 쓰시기 빕니다.
- 정성수(한국문인협회 시분과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