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풍물

풍물

(한국의 북놀이와 춤)

나단 헤세링크 (지은이), 신대철 (옮긴이)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풍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풍물 (한국의 북놀이와 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5866039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5-12-30

책 소개

AKS 번역총서 2권. 민족음악학자인 저자가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전라북도 남서부지역 주변에 머물며 행한 현장연구를 토대로 호남좌도와 우도의 풍물에 대한 음악적 체험 등을 민족음악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저술한 책이다. 풍물에 대한 필자의 깊은 관찰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목차

시작하며_풍물을 찾아서
제1장 무형문화 자산과 그 맥락
1982년의 『전라북도 국악 실태조사』
김형순 장고 선생과의 대담
이상백 장고·쇠 선생과의 대담
제2장 풍물의 유래
풍물의 악기편성
의상과 그 밖의 특별한 소도구
진법(陣法)
풍물의 이력(履歷)
제3장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풍물
김형순 선생에 의해 선택된 풍물 관련 읽을거리
이상백 선생에 의해 선택된 풍물 관련 읽을거리
민중적 세계관
제4장 입으로 전하고 마음으로 받아 내려온 풍물
김형순 선생
이상백 선생
장고 기법
요약과 되돌아보기
제5장 풍물의 공연 종목
이리농악
부안풍물패
요약 분석
제6장 때를 맞춘 회상
음악적 능력
“좌도”와 “우도”풍물의 공연 미학
현대 한국인의 삶 속에서 풍물의 위치

저자소개

나단 헤세링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대학(SOAS)에서 민족음악학 박사학위(한국음악 전공)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박사 후 과정, 시카고대학교 및 한국학중앙연구원 방문교수,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캐나다 밴쿠버의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교수 및 같은 대학의 한국학연구소 공동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SamulNori: Contemporary Korean Drumming and the Rebirth of Itinerant Performance Culture, “Radiohead’s ‘Pyramid Song’: Ambiguity, Rhythm, and Participation,” Music Theory Online 19.1.3 등이 있다.
펼치기
신대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국악과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역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한국음악이론 및 음악사 전공)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국악과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역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한국음악이론 및 음악사 전공) [경력] 6년간의 중·고교 음악교사를 거쳐, 서울대 음대·건국대 사대·동덕여대 예대·한양대 음대 강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연구원, 우리문화연구원 연구위원 역임 현 강릉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과 교수 [논문] “삼죽금보의 가사”,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창극사 정립을 위한 소론”, “한금신보 이후 삭대엽의 연구”,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음악현황”, “북한 민족음악의 장단”, “남·북한의 음악학 연구동향”, “우리음악 분류를 위한 새로운 시안”, “가치적 측면에서 본 현행 종묘제례악”, “악학궤범의 연구성과와 그 의의에 관한 일고”, “관악산조 연구의 회고와 과제”, “강릉지역 전통 공연예술의 오늘과 그 과제”, “고려와 조선조 초의 향악과 당악”, “한국·중국·일본의 해금류 악기”, “고려의 당악과 아악의 수용”, “예술영재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일반사회 놀이문화의 군내 활용방안”, “Trends of Study in Korean Musicology”, “Some Koreanized Aspects of Chinese Music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The Musical Structures of the Farming Songs of Kangnǔng (江陵) in Korea”, “The Meaning and the Emotion in North Korean Minjok Eumak”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