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8662646
· 쪽수 : 764쪽
· 출판일 : 2017-12-2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고문서로 전래된 시권
1장 생원시 시권
김부의 생원시 시권(1555)
김부륜 생원시 시권(1555)
안담수 생원시 시권(1582)
김시주 생원시 시권(1609)
송시열 생원시 시권(1633)
임영 생원시 시권(1666)
권이진 생원시 시권(1693)
이수담 생원시 시권(1699)
류원현 생원시 시권(1711)
안이룡 생원시 시권(1801)
안윤직 생원시 시권(1814)
2장 진사시 시권
조광조 진사시 시권(1510)
김성일 진사시 시권(1564)
윤선도 진사시 시권(1612)
최휘지 진사시 시권(1624)
이익상 진사시 시권(1651)
장만기 진사시 시권(1666)
김수종 진사시 시권(1710)
이기원 진사시 시권(1873)
김약제 진사시 시권(1885)
정의묵 진사시 시권(1879)
3장 문과 시권
◆ 대책(對策)
권벌 문과 시권(1507): 선시선종(善始善終)
김연 문과 시권(1519): 치국(治國)
안담수 문과 시권(1603): 안위치란(安危治亂)
이함 문과 시권(1609): 신종우시(愼終于始)
김시주 문과 시권(1613): 관제(官制)
장응일 문과 시권(1629): 체천도(體天道)
윤선도 문과 시권(1633): 육경종지(六經宗旨)
김명열 문과 시권(1651): 위정(爲政)
이해 문과 시권(1657): 구심(求心)
조덕순 문과 시권(1690): 치도(治盜)
김창석 문과 시권(1690): 치도(治盜)
권이진 문과 시권(1694): 권경편의(權經便宜)
김면주 문과 시권(1776): 중(中)
정윤우 문과 시권(1888): 환곡(還穀)
◆ 부(賦)
임영 문과 시권(1671)
이후영 문과 시권(1684)
김성탁 문과 시권(1735)
이상정 문과 시권(1735)
김유기 문과 시권(1787)
류상조 문과 시권(1794)
박승수 문과 시권(1845)
김준 문과 시권(1852)
정학묵 문과 시권(1861)
김약제 문과 시권(1886)
김상덕 문과 시권(1888)
송종오 문과 시권(1888)
◆ 시(詩)
신종구 문과 시권(1870)
◆ 명(銘)
안극효 문과 시권(1741)
권영수 문과 시권(1844)
오경리 문과 시권(1849)
정기상 문과 시권(1874)
◆ 전(箋)
김면주 문과 시권(1776)
◆ 표(表) ·
김용 문과 시권(1590)
황위 문과 시권(1638)
김방걸 문과 시권(1660)
박세당 문과 시권(1660)
유원성 문과 시권(1882)
정의묵 문과 시권(1885)
◆ 송(頌)
박종길 문과 시권(1827)
◆ 기타
장응일 문과(초시) 시권(1629)
박종길 문과(초시) 시권(1827)
유원성 문과(초시) 시권(1882)
4장 기타 시권
이황 향시 시권 1(1527)
이황 향시 시권 2(1527)
정동신 황감제 시권(1783)
정약용 친시 시권(1790): 오객기(五客記)
제2부 문집에 수록된 대책문
이곡 대책(고려 말): 재용호구(財用戶口)
이곡 대책(1320): 정유속(政由俗)
정몽주 대책(1360): 인재(人材)
하위지 대책(1438): 왕정손익(王政損益)
김담 대책(1447): 법립폐생(法立弊生)
성삼문 대책(1447): 법립폐생(法立弊生)
채수 대책(1468): 강유지도(?柔之道)
민이 대책(1486): 변무(邊務)
김일손 대책(1486): 중흥대책(中興對策)
이목 대책(1495): 인재득실(人才得失)
윤장 대책(1497): 안민정속(安民正俗)
이자 대책(1504): 보상책(輔相策)
김구 대책(1513): 주화(酒禍)
조광조 대책(1515): 치도(治道)
이이 대책(1558): 천도인사(天道人事)
임숙영 대책(1611): 시조(時措)
오달제 대책(1633): 전(錢)
이원정 대책(1651): 배양인재(培養人才)
조창기 대책(1660): 부강(富?)
정약용 대책(1790): 인재(人才)
유득공 대책(1783): 귤(橘)
김윤식 대책(1862): 삼정(三政)
손명래 대책(미상): 일본(日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