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강안학이란 무엇인가

강안학이란 무엇인가

정우락, 장윤수, 홍원식, 박인호, 최은주, 조유영, 백운용, 김학수, 이영호, 장인진 (지은이)
역락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300원 -5% 0원
1,70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강안학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강안학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742666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12-28

책 소개

‘강안학’은 강 연안에서 형성·전개된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론은 강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이다. 강이 문화를 생성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목차

강안학江岸學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 낙안학洛岸學[낙동강 연안학]을 중심으로
1. 기본 구상
2. 삼간론三間論과 지리 공간
3. 낙동강 700리설과 강안학
4. 강안학의 개념 재정비
5. 강안학 연구의 주제들
6. 21세기와 강의 상상력

강안학江岸學의 학문 정체성과 몇 가지 문제점 검토
1. 강안학의 선행연구 검토
2. 강안학의 학문 정체성 가설
3. 명체적용明體適用의 학문 경향
4. 자득적自得的 학풍 경향
5. 강안학의 정명正名 문제

낙중학의 성과와 과제
1. ‘낙중학’이 걸어온 길
2. 낙중학의 제기와 그 배경
3. 낙중 지역 시기별 학파의 등장과 계승의식
4. 낙중학의 철학적·실천적 특징
5. 과제

낙동강 강안 지역의 사부류 편찬과 역사학적 의의
1. 머리말
2. 강안 지역의 사부 편찬물
3. 강안 지역 사부 편찬물의 특징
4. 맺음말

낙동강 연안의 누정제영 창작과 그 의미 ― 구미 선산의 매학정梅鶴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구미 선산지역 낙동강 연안의 누정 분포와 제영시
3. 매학정의 건립과 역사적 자취
4. 매학정 제영시 창작자와 작품 현황
5. 문학적 소통 공간으로서의 매학정과 그 의미
6. 맺음말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의 양상
3.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의 특징
4. 나가며

낙동강 연안 선유시회船遊詩會의 한 양상 ― <금호선사선유琴湖仙査船遊>를 대상으로
1. 머리말
2. 선유시회의 분석틀: 개인 체험과 공동 체험의 시화詩化
3. 선유시를 중심으로 본 선유시회의 한 양상: 금호선사선유
4. 마무리

한강학寒岡學의 호서湖西 확장과 황종해黃宗海의 계승의식
1. 머리말
2. 한강학의 호서湖西 확장: 정구의 목천우거木川寓居와 호서권 ‘한강문파寒岡門派’의 형성
3. 정구鄭逑와의 학연과 한강학파寒岡學派 편입
4. 연원의식의 확대 및 강화: 영남학에 대한 위도의식衛道意識
5. 맺음말

남헌학南軒學의 수용을 통해 본 한강학寒岡學의 새로운 이해
1. 서론
2. 한강寒岡 논어학論語學의 분석
3. 장남헌張南軒과 정한강鄭寒岡
4. 결론

석담 이윤우李潤雨의 한강학파 기반 조성
1. 머리글
2. 한강 정구 추숭 사업
3. 한강학파 기반 조성
4. 마무리 글

저자소개

박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사와 사학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학사대요』,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등이 있다.
펼치기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충북대, 국민대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일 훔볼트 재단의 초청으로 독일 본 대학의 연구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 한국현상학회장, 한국철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학술단체 연합회 이사와 교육부 학술진흥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책과 옮긴책으로 <후설>(고대 출판부), <현상학 강의>(종로서적) 등이 있다.
펼치기
홍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주자학의 거경궁리설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주 이진상의 생애와 사상, 동도관의 변화로 본 한국 근대철학, 조선시대 가문의 탄생 등 30여 권의 저·역서(공저 포함)와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백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해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경북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 강사다. 저서로는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예문서원, 2017),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 사업의 위상과 전망》(공저, 택민국학연구원, 2021), 역서로 《창선감의록》(박이정,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구 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퇴계학과 전통문화,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최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한 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고전문학을 전공하여 주로 문학작품이 생성된 공간과 그 공간에서 향유된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의 저서와 「慕堂 孫處訥의 시에 나타난 교유와 그 의미」, 「大菴 朴惺의 사물인식방법과 의식지향」, 「근대전환기 향촌 지식인의 문학적 교유와 그 의미」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조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글로벌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 교육연구단에서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를 넓혀 근대 전환기 시가 문학의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대구 공간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장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강학연구원 부원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