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트리히 본회퍼 이야기

디트리히 본회퍼 이야기

(철저하게 진실을 따라)

마이클 반 다이크 (지은이), 권오성 (옮긴이)
바이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트리히 본회퍼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트리히 본회퍼 이야기 (철저하게 진실을 따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5877379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8-15

책 소개

독방에 갇혔지만 진정한 자유를 얻고 목숨을 내놓기까지 예수를 따른 한 인간에 대한 기록. 불의에 맞서 목숨까지 내놓은 시대의 양심, 본회퍼. 그런데 몇 년 전 어느 목사가 태극기 집회에서 본회퍼 목사를 오독(誤讀)하는 발언을 듣고 충격을 받은 권오성 목사가 본회퍼의 삶과 신앙을 제대로 알리고자 하는 사명감으로 《디트리히 본회퍼 이야기》를 번역해서 세상에 내놓았다.

목차

옮긴이의 글
프롤로그

1. 독일은 언제나 전쟁 중 2. 학창 시절
3. 고슴도치 학우회 4. “신앙 공동체”
5. 바르셀로나 6. 미국 방문
7. 외로운 목소리 8. 결정적인 해
9. 런던 10. 제국교회
11. 고백교회 12. 나를 따르라
13. 국방정보국과의 만남 14. 참여냐, 도피냐
15. 다시는 안전하지 않다 16. 사랑과 암살
17. 테겔 형무소 18. 병동(病棟)
19. 윤리학 연구 20. 심문
21. 사형 집행 영장

에필로그
연표

저자소개

마이클 반 다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시간주의 코너스톤 대학의 영어와 인문학 교수고 작가이다. 본회퍼에 관한 다른 책, 《Heroes of the Faith: Dietrich Bonhoeffer》를 저술했다.
펼치기
권오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와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목사가 되었다. 수도교회 목사, 독일 헤센-나사우총회 선교동역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한신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한국교회 일치 운동의 역사와 전망> 등 여러 논문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독일통일, 교회가 열다》, 《만물의 시작에 관한 책》, 《세계교회사》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음산한 콘크리트 구조물인 감옥에 도착하자 디트리히를 죄수복으로 옷을 갈아입는 방으로 데리고 갔다.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지만 관리들은 그냥 무시했다. 시계, 커프스단추, 지갑, 펜과 같은 개인 소지품을 전부 몰수해서 작은 헝겊 가방에 넣었다. 그런 다음 그를 배식 구멍 하나만 있는 견고한 문들이 있는 복도를 따라 데리고 갔다. 그 문들 중에 하나가 열렸고, 길이가 약 3m, 폭이 약 1.8m인 감방에 디트리히를 밀어 넣었다. 어두웠지만 그는 그곳이 아주 더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방 한구석에 작은 간이침대가 하나 있었고, 눈높이보다 위쪽에 작은 창문이 있었는데, 거기에서 오후 햇빛이 약간 들어왔다. 간이침대 맞은편에 낡은 의자가 하나 있었다. 디트리히는 그것을 창문 밑으로 가져와서 올라갔다. 밖을 내다보니 눈앞에 베를린이 전부 펼쳐져 있었다. 아름다운 베를린, 그러나 불행한 운명의 베를린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고향이고, 꿈을 키우고 살았던 곳이었지만 그는 베를린이 패망하기를 기도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그 패망이 나치의 멸망을 의미했기 때문이었다.


그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디트리히는 교회가 올바른 그리스도의 형상을 꽉 잡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그에게 있어서 “교회 투쟁” 전체가 그리스도의 형상 때문에 벌어진 투쟁이었다. 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형상을 적을 뿌리 뽑고 무자비하게 멸망시켰던 게르만 정복자로 묘사했다. 디트리히에게 이것은 이교도적 형상이었다. 그 대신
에 그는 성육신으로 되돌아갔다. 거기서 하나님이 실제로 누구인지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다. 다시 말해서 교회 개혁에서 성육신이 하나님 형상의 기초가 되는 것이었다.

그것은 죄와 죽음의 한가운데로 들어오신 분의 형상이고, 인간의 모든 슬픔을 스스로 짊어지신 분의 형상이다. 그것은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겸손하게 감당하고, 고난과 죽음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에 변함없이 헌신하는 분의 형상이다. 그는 가난하게 태어난 자요,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이고, 사람으로부터 배척받고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은 비통한 사람이다. 여기에 인간이 되신 하나님이 있고, 여기에 새로운 하나님의 형상이신 인간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