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58862442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22-05-10
목차
서문 6
1부 | 종교개혁, 그 서막 11
1장 종교개혁사란 무엇인가?12
2장 때가 차매: 직전의 상황 30
2부 | 종교개혁 운동의 스펙트럼 61
3장 개신교의 출범: 루터62
4장 개혁교회의 요람: 츠빙글리와 스위스 종교개혁88
5장 급진적 움직임들126
6장 종교개혁 신학의 총체적 종합: 칼빈의 하나님 나라146
7장 멜란히톤, 칼빈, 그리고 팔츠(Pfalz)의 개혁파 종교개혁180
▶ 16세기 문맥에서 정리하는 종교개혁의 흐름들218
3부 | 역동적 확산 219
8장 독일의 종교개혁: 루터주의의 승인과 개혁주의의 발전220
9장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미완과 급진 사이254
10장 프랑스의 종교개혁: 고난받는 개혁교회282
4부 | 네덜란드 개혁주의 종교개혁:
십자가 밑에 피어오른 튤립 301
11장 네덜란드 종교개혁의 배경302
12장 순교자 드 브레(1522-1567)의 벨직신앙고백서(1561)와 네덜란드319
13장 고난 속에 피어난 개혁파 경건주의의 출발: 쟝 타펭(1529-1602)
341
14장 칼빈주의의 연합과 국제화: 필립 마르닉스(1540-1598)374
15장 네덜란드 피난민 교회의 엠던 총회(1571): 장로교회의 기원395
5부 | 종교개혁, 근세로 향하다 407
16장 신앙의 자유와 은총의 승리: 도르트 총회(1618-1619)로 가는 길
408
17장 황금의 17세기와 네덜란드의 개혁파 경건주의445
18장 가톨릭교회의 대응과 30년 전쟁453
19장 결론: 신앙의 개혁으로 근세를 열다463
▶ 참고 문헌 및 더 읽을 자료들 467
▶ 인명 색인 528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 서문>
필자가 처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임용된 것은 2004년 3월이었다. 그 이후 지금까지 19년 동안 역사신학 교수로 섬길 수 있도록 인도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본서는 그간의 연구와 강의 가운데서 종교개혁사(History of the Reformation)와 근대 초기 유럽 교회사(Church History in Early Modern Europe)에 해당하는 최근의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책을 마치면서 보니 역사를 친히 다스리시며 그 과정에서 연약한 자를 들어 사용하시는 하나님께 찬송을 드린다.
필자는 또한 총신대학교에 감사한다. 총신대학교 교수로 신학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것은 정말 감사하고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그랬듯이 앞으로도 강의 시간에 만나는 학생들의 빛나는 눈빛은 필자 연구에 큰 영감을 줄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종교개혁”, “칼빈”, 그리고 “근대 초기 개혁주의” 확산 과정에서 “네덜란드의 역할”은 필자의 주 관심사이자 전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회와 국가의 관계라는 주제로 종교개혁 시대의 역사를 관통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일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칼빈의 생애에 대해서는 필자의 이전의 책 『칼빈: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열정의 사람』(2015)을 읽기를 바라며, 칼빈의 교회와 국가 사상의 배경이 되는 어거스틴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2009년에 출판된 필자의 다른 책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 신학』을 참조하기를 바란다.
필자는 또한 미국의 헨리미터 센터(H. Henry Meeter Center)의 소장인 카린 막 교수(Dr. Karin Maag)와 독일 마인츠(Mainz)의 유럽역사연구소(Leibniz-Institut fur Europaische Geschichte)의 소장인 이레나 딩얼 박사(Prof. Dr. Irene Dingel)에게 감사드린다. 이 연구소들은 필자가 고귀한 종교개혁과 근세 초기 역사 자료를 마음껏 사용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여러모로 도와주었다. 특별히 마인츠의 유럽역사연구소는 필자의 안식년 기간 동안(2021) 필자를 선임연구교수(Senior Research Fellow)로 초청해서 최고의 조건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후원해 주었기에 고마운 마음이 가득하다.
필자가 협동 목사로 섬기고 있는 로뎀나무교회에서 2011년부터 지금까지 진행하고 있는 “기독교강요”와 초대부터 근현대까지의 “교회사 강의”들은 역사신학이 교회 현장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유병용 담임 목사와 성도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그리고 이 책이 출판되어 나올 수 있도록 격려와 수고를 아끼지 않고 역작으로 만들어 주신 킹덤북스(Kingdom Books) 대표 윤상문 목사에게 감사를 드린다. 무엇보다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88회 동기로서 학문의 동반자이자 사랑하는 아내인 강미랑 박사에게 진심으로 감사하고 싶다. 한국교원대학교 학생으로 하나님 나라의 교육을 꿈꾸는 예비 교사인 딸 지인이와의 대화는 자라나는 세대를 이해하고 미래를 바라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진들 가운데 별도로 인용을 밝히지 않은 것들은 대부분 필자가 직접 유럽 교회사 답사에서 찍은 사진들이며, 도표들은 강의를 위해서 만들어 사용하는 것들이다. 교회사를 쉽고 흥미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대로 사용했다.
앞으로 하나님 나라와 교회를 사랑하는 기독교인들과 후학들이 이 작은 연구들을 발판으로 삼아 딛고 서서, 칼빈, 츠빙글리 및 16세기 종교개혁뿐 아니라, 네덜란드 개혁주의 역사와 근대교회사 연구를 이어가는데 이 책이 조그마한 안내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작은 소망을 품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