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족의 노래

민족의 노래

(페퇴피 샨도르 시선집)

페퇴피 샨도르 (지은이), 한경민 (엮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족의 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족의 노래 (페퇴피 샨도르 시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59019524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08-30

책 소개

헝가리 사람이라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가 알고, 사랑하는 페퇴피 샨도르의 시를 엮은 책이다. 이 책은 2023년 올해, 페퇴피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출판되었으며 그의 120여 편의 시를 엮어 선보이고 있다.

목차

유랑자의 노래 13
술꾼 1
쟁기가 무슨 소용 있으리… 17
훔친 말 18
부엌으로 들어갔네… 20
버드나무 가지로 만든 내 작은 피리 21
내 사랑, 내 사랑… (1843) 22
꽃에게 하지 마라 할 수 없네… 23
지겨운 종살이 24
말하고 싶어… 26
노래 27
나는 불행했노라 28
얼 푈드의 케츠케미트는 유명한 도시… 29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직도 모르겠어… 31
갈림길에 서 있네… 32
나는 허약하구려… 33
달빛이 하늘 바다에서 물놀이하고… 34
무엇이 커다란 겔레르트 언덕보다 더 클까… 35
어린 신부여, 어리고 예쁜 신부여… 36
물거품이 된 계획 37
저기 들판 위로 무엇이 흐르지? 38
꿈을 꾸었나? 39
주지에게 40
내 술잔에게 41
내 목에 매인 물레방아 42
너는 내 마음을 사로잡은 아름다운 신비… 43
양치기가 당나귀를 타고 가니… 44
대평원에서 태어났네… 45
나무에 열린 신 체리 셀 수도 없어라 46
이 세상 넓고 넓지만… 48
얼ㅤㅍㅚㄹ드 49
내 동생 이스트반에게 52
데브레첸에서 보낸 겨울 54
삶과 죽음 56
기술자 팔 아저씨 57
내리네, 내리네, 내리네 59
주인장 야노시 60
사랑, 사랑… (1844) 61
빛나는 별… 62
행복한 밤에… 63
사랑과 포도주 64
군인이었어 나는… 66
꽃잎이 떨어지네… 67
말할게, 지금까지 무엇을… 68
너를 위해 하지 않은 것이 무엇이었나… 70
너는 단 하나의 내 사랑… 71
새도 빠르고, 폭풍도 빠르고… 72
나의 졸작 시에 대하여 74
사랑의 갈망 76
『혼데뤼』에게 77
고백할게… 79
결코 사랑해 본 적 없는 사람 80
화환 82
나 나무 되리… 83
희망 84
조국에 대하여 85
미친 사람(광인) 88
정의여! 잠자느냐? 92
꿈… 93
여름 하늘가 구름처럼… 94
운명아 내게 장(場)을 열어다오… 96
덤불이 떨리네, 왜냐하면… 97
헝가리 민족 98
한 생각이 나를 괴롭히네… 100
자유여, 사랑이여! 102
슬픈 밤 103
궁전과 오두막 105
개의 노래 107
늑대의 노래 108
19세기의 시인들 109
티서강 111
전쟁이었다… 114
무너진 탑 116
숲에는 새가 있네… 118
검과 사슬 119
병의 이웃은 죽음… 123
8월 5일에 125
시 작품 127
나의 페가수스 128
가을이 시작될 때 130
나무와 이야기하는 슬픈 가을 바람… 132
9월 말에 134
예전에 그리고 지금! 135
언제까지 계속 자는가, 내 조국아? 137
노예 139
거지의 무덤 141
보네, 바깥을 보네… 143
언덕 기슭에 핀 장미 덩굴… 145
파토 팔 씨 146
밤 148
겨울 밤 152
한 줌의 땅이 있을까… 156
당신 뭐해, 거기서 무얼 꿰매고 있어! 158
겨울에, 황무지는 159
우리 엄마의 암탉 162
민족의 노래 164
자유에게 166
바다가 솟구쳤다… 168
왕들에게 170
헝가리 민족의 신 172
그 독일인은 무엇을 말하지 않는가… 174
오스트리아 176
내 고향 땅에서 179
3월의 젊은이들 181
키시쿤사그 183
헝가리 민족 187
헝가리 사람이 다시 본모습으로 돌아가네… 189
왜 내 길을 막나? 191
혁명 193
나 여기 청춘의 여름 안에 있네… 195
신실한 시인아, 여전히 무엇을 노래하는가? 197
늙은 깃발병 199
1848 202
여기 가을이 왔네, 다시 여기 왔네 204
전투가 206
부다성에 다시 독일 깃발이! 208
전투에서 210
누가 생각하리, 누가 말하리… 212
부모님 돌아가심에 214
성스러운 전투를 위해 일어나라! 216
끔찍한 시간… 220

페퇴피 샨도르의 삶과 문학 222

저자소개

페퇴피 샨도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23년 1월 1일 헝가리 키슈쾨뢰시에서 태어났다. 좋은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다 가세가 기울면서 16세 때 학업을 중단한다. 이후 국립극장의 단역 배우가 되었다가 군대에 자원입대하지만 건강 문제로 군 생활을 마친다. 1844년 첫 시집을 발표했는데, 자유를 추구하는 소박한 정열이 담긴 그의 시는 당시 헝가리 사회에 팽배했던 민족주의와 결합하면서 페퇴피는 짧은 시일에 큰 인기를 얻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억압적인 지배에 맞선 헝가리 독립전쟁을 열성적으로 지지했던 페퇴피는 세게시바르 전투에 참가한 이후 모습을 감춰 이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페퇴피는 열정적인 투사이기도 했으나 “자유와 사랑의 시인”을 자처했듯이 소박하고 순수한 서정을 추구한 연애시 또한 많이 발표했다. 시집 《에테루케 묘의 측백나무》 《사랑의 진주》 등은 감미로운 초기의 시풍을 대표하는데, 그중에서도 아내 센드레이 율리아에게 바친 일련의 연애시가 특히 뛰어나고 아름답다. 또한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면서 쓴 〈9월 말에〉는 헝가리 시의 절창으로 평가된다. 대표작으로 〈용사 야노시〉와 소설 《교수 집행인의 밧줄》 등이 있다.
펼치기
한경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헝가리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헝가리 문학사》, 옮긴 책으로 《모든 비밀의 시》 《팔 거리의 아이들》 《사랑, 특별한 선물》 《좌절》 《내가 아빠고 아빠가 나라 면》 《잠자리 섬의 꼬마 염소》 등이 있다. 페퇴피 샨도르의 시선집 《민족의 노래》를 엮었다. 페퇴피에 대한 연구 논문으로 〈헝가리 독립전쟁과 페퇴피 샨도르〉 〈페퇴피 샨도르의 민요시 연구〉 〈헝가리 대평원의 긍정적 이미지–페퇴피 샨도르의 지역문학 작품 중심으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민족의 노래
⸺ NEMZETI DAL
일어나라 헝가리인이여, 조국이 부른다!
지금이 때이니, 지금 아니면 이런 기회 결코 없으리!
노예가 되려는가, 아니면 자유인이 되려는가?
이를 묻노니, 그대들 선택하라!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우리 지금까지 노예였었네,
선조들이 부끄러워하네,
자유인으로 살고 — 죽은 그들,
빼앗긴 땅에서 편히 쉴 수 없네.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떠돌이 파렴치한이 되리,
지금, 필요한데, 죽기를 두려워한다면.
그런 사람은 가련한 자신의 생명이
조국의 영광보다 더 귀하겠지.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쇠사슬보다 칼이 더 고귀하리,
팔을 더 강하게 보이게 하리.
그런데도 우리는 아직까지 쇠사슬을 지니고 있네!
우리의 옛 칼을, 네가 이리 가져와라!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헝가리의 이름 다시 아름다워지리,
그 옛날 위대했던 명성에 걸맞게,
그 명성을 비켜 지나간 많은 시간들이
부끄러움을 씻어버리리!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먼 훗날 우리 무덤이 둥글게 솟은 곳에서
우리 손자들이 무릎을 꿇고,
감사의 기도를 올리는 가운데,
성스러운 우리의 이름을 부르리라.
헝가리인의 하느님께
우리 맹세하네,
우리 맹세하네, 더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노라고!

페스트(Pest), 1848년 3월 13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