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심소 김천흥 선생 무악 인생록

심소 김천흥 선생 무악 인생록

김천흥 (지은이), 김영희 (엮은이)
소명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3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심소 김천흥 선생 무악 인생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심소 김천흥 선생 무악 인생록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야기/무용가
· ISBN : 9791159052040
· 쪽수 : 719쪽
· 출판일 : 2017-08-15

책 소개

마지막 무동(舞童)이며,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일무와 처용무의 예능보유자였던 심소 김천흥(1909~2007)의 90년 무악(舞樂)인생을 기록한 자서전이다. 5부로 구분하여, 활동의 전후 과정뿐만이 아니라 에피소드, 개인적 소회를 밝히고 있다.

목차

발간하며―김영희
추모사_ 심소 미소는 가섭의 염화미소―한명희
추모사_ 명인 뜨락의 처용랑―최종고
저자 인사말―김천흥
서문―성경린

제1부
그리운 균명학당 시절
무악舞樂의 길로
아악부 연주단 첫 일본 공연
춤과 소리聲樂 사이에서
가곡歌曲과 시조時調를 배우던 시절
첫 아악雅樂 방송과 편종 만들기
이화여전梨花女專의 국악 교육
금강산 여행

제2부
아악부를 떠나다
권번과 요리점으로
광산鑛山 순회공연과 무악계巫樂界의 악사생활
일제 말기의 국악
조선음악협회 활동
광복과 국악원 설립
가설무대의 애환
대한국악원의 발족

제3부
피난지에서의 국립국악원
전쟁 중의 춤 강습
휴전 전후의 국립국악원
국악사양성소 설치
무용연구소 개설
첫 발표회와 대학출강
무용인협회 결성
국악과 설치와 한국가면극연구회
대한민속예술원 발족

제4부
첫 서울시 문화상 수상
재일교포 위문공연과 첫 미국행
하와이 공연
삼천리가무단의 미국 공연
꼭두극 재현
국립국악원의 해외공연

제5부
회갑기념공연 <만파식적萬波息笛>
유럽공연과 대악회 창립
문화사절 해외 나들이
정농악회 창립과 활동
궁중무 재현 발표
무악생활舞樂生活 70년
나의 가족
맺는 말

제6부|무악칠십년 출간 이후 이야기
하와이, 한국 전통공연예술의 또 다른 배양지
자서전 출간과 궁중무용에 대한 연재
정재연구회와 일무보존회 발족
방일영국악상 수상
정농악회 하와이 공연과 탈춤경연대회 심사
국립국악원의 2000년 전후 공연들
무악인생 팔십주년 기념공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구술채록에 남긴 말
마지막 공연 마지막 무동

참고문헌
심소 김천흥 연보
심소 김천흥 가계도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천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9년 서울 출생으로, 이왕직 아악부원양성소 제2기생으로 1922년에 입학하여 해금을 전공하고 양금과 아쟁을 겸공했으며, 순종황제 탄신오순 경축공연에 무동(舞童)으로 출연했다. 이왕직아악부의 아악수보, 아악수, 아악수장을 역임했다. 1951년 이후 국립국악원 예술사, 연주원, 자문위원을 거쳐 원로사범으로 재직했다.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김천흥고전무용연구소 소장, 서울시 문화재위원, 사단법인 대악회 이사장, 정농악회 회장, 무형문화재예술단 단장을 역임했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제39호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저서에 <한국무용의 기본무보>, <정악양금보>, <정악해금보>, <정재무도홀기 창사보 I, II> 등이 있고, 서울시 문화상, 대한민국예술원상, 한국국악대상, 국민훈장 모란장, 방일영국악상, 금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20세기 한국 전통공연예술에 깊고 따뜻한 족적을 남기시고 2007년에 소천하셨다.
펼치기
김영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예고 무용과, 국민대 국사학과, 중앙대 대학원 무용학과를 거쳐,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서 예술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개화기 이후 근대기생과 근현대 춤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고, 한국춤비평가협회 회원이다. 김영희춤연구소를 운영하며 4회의 검무전(劍舞展) 시리즈를 기획했고, 전통춤이론강좌도 진행하고 있다. 한국근현대예술사구술채록연구시리즈 <김천흥>(2004), <양소운>(2005), <이매방>(2006), <문장원>(2006)을 채록했으며, <고창농악 고깔소고춤>(2004),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2006), <전설의 무희 최승희>(2014, 공저), <한국춤통사>(2014, 공저), <전통춤평론집 춤풍경>(2016)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악부에서는 행여나 다른 부에 뒤질세라 총력을 다해 공연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특히 총무부에는 당시 흥행계에서 쟁쟁하던 명장들이 몰려 있었기 때문에 민속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연종목을 구성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 덕분이었는지 조선악부 공연날 극장 문앞의 광경이 볼만했다. 극장문 앞에서부터 광화문 파출소까지 관객이 장사진을 치고 늘어서 있었던 것이다. 극장 안 역시 대성황을 이룸은 마찬가지였다.


춘원의 삼 남매는 일찍부터 재질 있고 뛰어난 두뇌의 수재들로 소문나 있었는데 특히 정난은 학교시절에 여러 번 월반해 신문에도 게재되며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등 재질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춤 배우기가 시작되자 이상한 현상이 엿보였다. 정난이 춤을 공부할 제면 항상 방문을 꼭꼭 닫아두고 다른 사람들의 출입을 절대 꺼려하는 것이었다.


우리 공연의 명칭은 마침 그해가 한미 수교 100주년이 되는 해요, 공연시기가 8?15 전후라 타이틀을 <한미 수교 100주년 기념과 8?15 광복절 경축공연>으로 하자고 제의했더니 한인회 측에서도 찬성을 하였다. 10명에 불과한 적은 인원으로 공연을 하면서 억지로 이름만 거창하게 했던 것이 그때는 미처 몰랐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하니 내 배짱이 제법 두둑했던 것 같아 쓴웃음이 떠오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