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오타 오사무, 허은 (엮은이)
소명출판
4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900원 -10% 0원
2,050원
34,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59052132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7-08-30

책 소개

냉전이 동아시아 문화 전반에 끼친 영향의 면면을 세밀히 고찰한 책. 냉전의 문화, 식민지배의 영향, 동아시아 단위에서 전개된 냉전의 연계 등을 고찰한다. 냉전사와 동아시아 현대사 이해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 다양한 측면의 흥미진진한 단서와 깊이 있는 사유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기억과 계보
「식민지 기억과 분단」-1940년 양구군 해안면 소학교 낙서사건을 사례로 정병욱
1. 사건과 기억
2. 판결문 발굴과 역사화
3. 지역 단위 기억의 활성화
4. 검사국 기록의 발굴과 가족 측의 기억
5. 식민지 기억과 분단-남한의 자화상

「조선인 강제연행론의 계보(1955~65)」 이타가키 류타
1. 서론
2. 연구와 운동-1955~1958
3. 귀국의 폴리틱스-1958~1959
4. 한일회담 반대 운동 속에서-1960~1965
5. 맺음말

「냉전/전쟁 그리고 억류의 기억」-1975년 베트남 공관원 억류 사건을 둘러싼 기억들의 재구성 김원
1. 베트남에 남은 사람들은 누구인가
2. 베트남 공관원 철수 계획 수립과 실패 그리고 억류
3. 남겨진 사람들의 기억과 이야기-“베트남 전쟁은 실패했나?”

2부 전쟁과 일상, 페미니즘, 반전운동
「한국전쟁 전야, 한 노동자의 생활」-인천 전기공 I씨의 일기로부터 오타 오사무
1. 머리말
2. I씨와 한국전쟁 전야의 일기
3.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다
4. 지역에서의 동원, 전쟁의 징후
5. ‘비상시국하’의 노동
6. ‘우환(憂患)’의 나날들-고물가, 배급, 생활난
7. 근대와 전통
8. 맺음말

「한국/조선전쟁기 냉전 여성주의(Cold War Feminism)」 김수지
1. 국제민주여성연맹과 제3세계
2. ‘도가니’로서의 한국/조선전쟁
3. 모성(母性) 여성주의의 변천
4. 냉전 여성주의-가능성과 한계

「식민자(植民者)의 아들이 싸운 한국전쟁」-고바야시 마사루(小林勝)의 문학과 반전운동
하라 유스케
1. 들어가며-‘전후(戰後)’ 일본과 한국전쟁
2. ‘나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조선’
3. 옥중의 데뷔작
4. ‘일본인 자신의 문제’
5. 나가며-‘전후’라는 마법을 넘어서

3부 미국, 문화냉전, 경계
「평화를 위한 원자력과 아시아의 미국산 원자로 확산」 츠치야 유카
1. 들어가며
2. 베트남 전쟁 하 원자로 건설과 그 말로
3. 미국=베트남 2국 간 원자로 협정
4. 원자로 건설에 관한 베트남 측․미국 측의 의도
5. 마치며

「냉전시대 동아시아 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지적(知的) 네트워크’ 구축」-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은
1. 들어가며
2. 미국 정부의 미국학 대외 확산 정책
3. 주한 미공보원의 개입과 한국의 미국학 도입
4.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과 미국 정부의 지향
5. 나가며

「환상적인 김시스터즈」-미군기지와 1960년대 한국 여성 연예인, 그리고 트랜스퍼시픽 연예네트워크의 탄생 심재겸
1. 에드 설리번, 아시아를 전시하다
2. 식민지 연예인에서 미국 쇼비지니스 악단으로
3. 김시스터즈 공식(The Kim Sisters’ Formula)-이국주의, 섹슈얼리티, 그리고 아시아
4. “미국은 얼마나 아름다운가”-냉전의 딸과 아메리칸 드림에 삽입된 냉전 국제주의
5. 동남아순회공연-트랜스퍼시픽 연예 네트워크의 탄생과 코리언 쇼

「기지를 감지한다는 것」 도미야마 이치로
1. 기지에 대한 감지력
2. 냉전의 시간
3. ‘그림자’로서 삶
4. 네크로폴리틱스
5. 정치․죽음

4부 조선족, 재일조선인, 한국화교
「냉전기 조선족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고찰」 이해연
1. 서론
2. 냉전 전기
3. 1950년대
4. 1960년대
5. 결론

「재일 조선인의 ‘국적’과 조선전쟁(1947~1952)」-‘조선적(朝鮮籍)’은 어떻게 하여 생겨났는가? 정영환
1. 머리말-‘조선적(朝鮮籍)’이란 무엇인가?
2. 외국인등록령과 구 식민지 출신자의 ‘국적’
3. 한국적의 등장-출신지 표시에서 국적 표시로?
4. ‘국적 선택의 자유’인가, 한국 국적인가-한일회담에서 강화조약으로
5. 맺음말-‘국적’에 각인된 전쟁

「반공국가 사이에서 겪은 한국화교의 냉전 경험(1950~1970년대)」 왕 언메이
1. 머리말
2. 한국과 중화민국의 법적 반공체제의 형성
3. 한국화교의 반공 법규 위반과 냉전 경험
4. 「반공법」 위반 강제 추방 사건
5. 맺음말

초출일람
필자 소개
역자 소개

저자소개

오타 오사무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허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김포에서 태어났다. 6월항쟁을 겪은 뒤 현대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8년 박사학위논문을 개고한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을 출간한 뒤, 최근까지 박정희 시대 민주화운동과 분단국가체제, 동아시아 문화냉전에 관한 연구를 해왔다. 영상자료 아카이빙을 통해 역사연구를 확장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6월 민주항쟁: 전개와 의의』, 편저로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 『영상, 역사를 비추다: 한국현대사 영상자료해제집』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