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59052132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7-08-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기억과 계보
「식민지 기억과 분단」-1940년 양구군 해안면 소학교 낙서사건을 사례로 정병욱
1. 사건과 기억
2. 판결문 발굴과 역사화
3. 지역 단위 기억의 활성화
4. 검사국 기록의 발굴과 가족 측의 기억
5. 식민지 기억과 분단-남한의 자화상
「조선인 강제연행론의 계보(1955~65)」 이타가키 류타
1. 서론
2. 연구와 운동-1955~1958
3. 귀국의 폴리틱스-1958~1959
4. 한일회담 반대 운동 속에서-1960~1965
5. 맺음말
「냉전/전쟁 그리고 억류의 기억」-1975년 베트남 공관원 억류 사건을 둘러싼 기억들의 재구성 김원
1. 베트남에 남은 사람들은 누구인가
2. 베트남 공관원 철수 계획 수립과 실패 그리고 억류
3. 남겨진 사람들의 기억과 이야기-“베트남 전쟁은 실패했나?”
2부 전쟁과 일상, 페미니즘, 반전운동
「한국전쟁 전야, 한 노동자의 생활」-인천 전기공 I씨의 일기로부터 오타 오사무
1. 머리말
2. I씨와 한국전쟁 전야의 일기
3.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다
4. 지역에서의 동원, 전쟁의 징후
5. ‘비상시국하’의 노동
6. ‘우환(憂患)’의 나날들-고물가, 배급, 생활난
7. 근대와 전통
8. 맺음말
「한국/조선전쟁기 냉전 여성주의(Cold War Feminism)」 김수지
1. 국제민주여성연맹과 제3세계
2. ‘도가니’로서의 한국/조선전쟁
3. 모성(母性) 여성주의의 변천
4. 냉전 여성주의-가능성과 한계
「식민자(植民者)의 아들이 싸운 한국전쟁」-고바야시 마사루(小林勝)의 문학과 반전운동
하라 유스케
1. 들어가며-‘전후(戰後)’ 일본과 한국전쟁
2. ‘나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조선’
3. 옥중의 데뷔작
4. ‘일본인 자신의 문제’
5. 나가며-‘전후’라는 마법을 넘어서
3부 미국, 문화냉전, 경계
「평화를 위한 원자력과 아시아의 미국산 원자로 확산」 츠치야 유카
1. 들어가며
2. 베트남 전쟁 하 원자로 건설과 그 말로
3. 미국=베트남 2국 간 원자로 협정
4. 원자로 건설에 관한 베트남 측․미국 측의 의도
5. 마치며
「냉전시대 동아시아 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지적(知的) 네트워크’ 구축」-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은
1. 들어가며
2. 미국 정부의 미국학 대외 확산 정책
3. 주한 미공보원의 개입과 한국의 미국학 도입
4.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과 미국 정부의 지향
5. 나가며
「환상적인 김시스터즈」-미군기지와 1960년대 한국 여성 연예인, 그리고 트랜스퍼시픽 연예네트워크의 탄생 심재겸
1. 에드 설리번, 아시아를 전시하다
2. 식민지 연예인에서 미국 쇼비지니스 악단으로
3. 김시스터즈 공식(The Kim Sisters’ Formula)-이국주의, 섹슈얼리티, 그리고 아시아
4. “미국은 얼마나 아름다운가”-냉전의 딸과 아메리칸 드림에 삽입된 냉전 국제주의
5. 동남아순회공연-트랜스퍼시픽 연예 네트워크의 탄생과 코리언 쇼
「기지를 감지한다는 것」 도미야마 이치로
1. 기지에 대한 감지력
2. 냉전의 시간
3. ‘그림자’로서 삶
4. 네크로폴리틱스
5. 정치․죽음
4부 조선족, 재일조선인, 한국화교
「냉전기 조선족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고찰」 이해연
1. 서론
2. 냉전 전기
3. 1950년대
4. 1960년대
5. 결론
「재일 조선인의 ‘국적’과 조선전쟁(1947~1952)」-‘조선적(朝鮮籍)’은 어떻게 하여 생겨났는가? 정영환
1. 머리말-‘조선적(朝鮮籍)’이란 무엇인가?
2. 외국인등록령과 구 식민지 출신자의 ‘국적’
3. 한국적의 등장-출신지 표시에서 국적 표시로?
4. ‘국적 선택의 자유’인가, 한국 국적인가-한일회담에서 강화조약으로
5. 맺음말-‘국적’에 각인된 전쟁
「반공국가 사이에서 겪은 한국화교의 냉전 경험(1950~1970년대)」 왕 언메이
1. 머리말
2. 한국과 중화민국의 법적 반공체제의 형성
3. 한국화교의 반공 법규 위반과 냉전 경험
4. 「반공법」 위반 강제 추방 사건
5. 맺음말
초출일람
필자 소개
역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