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

(식민지기 연극과 사회, 그리고 문화의 교섭, L-113)

우수진 (지은이)
소명출판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 (식민지기 연극과 사회, 그리고 문화의 교섭, L-11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희곡론
· ISBN : 9791159055058
· 쪽수 : 465쪽
· 출판일 : 2020-03-29

책 소개

1910년대에서 1920년대 중반에 이르는 우리극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창작극과 번역극, 미디어연극 등을 중심으로 썼다. 근대극의 연구대상은 쓰여진 대본(희곡)에 국한될 수 없고, 창작극 뿐 아니라 번역극까지 포괄되어야 한다.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 극장화된 국가, 식민화된 조선
들어가며 13

제1장 재미한인의 연극과 내셔널리즘 18
1. 내셔널리즘의 극장-의례와 연극 18
2. 의례연극과 재미한인의 자기인식 24
3. 희곡의 실험, 미생未生의 형식 35

제2장 번안희곡 <병자삼인>과 식민지성 46
1. <병자삼인>의 쟁점들 46
2. 다층적인 연극공간과 ‘병자’ 모티프 52
3. 근대 ‘가정’과 무능력한 가부장의 몰락 54
4. ‘개화기 조선’과 경직된 신여성의 사이비 근대성 58
5. ‘식민지 조선’과 분열적인 피식민의 비정상성 63

제2부 횡단하는 연극, 번역된 근대
들어가며 71

제1장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운동-서구 번역극과 창작극, 그리고 여배우 77
1. 근대극의 증후들 77
2. 일본의 근대극 순회공연과 그 영향 82
3. 이기세와 윤백남의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의 시도 91

제2장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 104
1. 이제, 번안극에서 번역극으로 104
2. 예성좌의 번안극 <코르시카의 형제>, 그 절반의 성공 109
3. <부활>의 번역 공연과 경로-런던에서 동경, 그리고 경성으로 116
4. <카츄샤>의 멜로드라마적 근대성 132

제3장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변용 136
1. <부활>의 대중서사, ‘카츄샤 이야기’ 136
2. 무대에 선 카츄샤-남성 욕망의 대상 142
3. 노래하는 카츄샤-애처로운 이별의 정한 150
4. 이야기되는 카츄샤-낭만적인 사랑의 여주인공 159
5. 대중서사, 그 해체와 재생의 오시리스Osiris 167

제4장 <애사>에서 <희무정>으로-식민지기 <레미제라블>의 연극적 수용과 변용 170
1. 식민지 조선과 <레미제라블> 170
2. 변사연극 <애사>와 ‘동정’의 멜로드라마 176
3. 활동사진 <희무정>과 ‘사회’ 비판 183
4. 윤백남의 ‘사회’의식-「연극과 사회」와 <희무정>의 각색 공연 188

제5장 입센극의 수용과 근대적 연극 언어의 형성 195
1. 근대적 연극 언어의 계기들 195
2. 입센극의 번역과 ‘토론’의 언어 201
3. 1910년대 창작희곡의 언어적 근대성 209

제3부 고학생 드라마와 사회극의 등장
들어가며 223

제1장 윤백남의 <운명>, 식민지적 무의식과 욕망의 멜로드라마 227
1. ‘사회극’ <운명>의 문제성 227
2. 사진결혼의 역사와 멜로드라마적 현실인식 234
3. 연극공간과 식민주의-하와이․조선․미국과 야만․반개․문명의 구조 242
4. 식민지적 폭력과 욕망의 멜로드라마 247

제2장 이기세의 <빈곤자의 무리>, 사실성과 동정의 스펙터클 254
1. 갈돕회와 소인극운동 254
2. 갈돕회와 ‘동정’ 및 ‘상호부조’의 사회 260
3. 갈돕회 소인극과 자연주의적 사실성의 성취 267
4. 순회모금공연의 형식과 공동체(감)의 스펙터클 275

제3장 조명희의 <김영일의 사>, ‘이동화의 죽음’과 ‘상호부조’의 극장화 288
1. <김영일의 사>와 ‘고학생 드라마’의 시대 288
2. ‘상호부조’의 사회원리와 문화운동 293
3. <김영일의 사>와 동우회 순회극단, 그리고 ‘상호부조’의 극장화 299
4. ‘이동화의 죽음’에서 ‘김영일의 죽음’으로 306

제4부 미디어되는 연극과 대중문화
들어가며 317

제1장 미디어극장의 시대, 유성기와 라디오 321
1. 미디어되는 근대연극 321
2. 유성기의 반복적 편재성과 대중감각의 형성 327
3. 라디오의 동시적 편재성과 공동체감각의 형성 333
4. 극장적 공공성과 상업성의 변형과 확장 340

제2장 극장과 유성기, 근대의 사운드스케이프 347
1. ‘생생함’이라는 감각과 그 이념 347
2. 극장-도시의 ‘소음’에서 ‘배경음’으로 354
3. 유성기-‘신기한 소리’에서 ‘완전과 불멸의 소리’로 362
4. 예술가의 자의식과 ‘생생함’의 재전유 369

제3장 유성기 음반극, 대중문화의 미디어극장 372
1. 유성기 음반극-대중극과 대중문화의 표본 372
2. ‘고전’의 재생산과 현대적 전유 379
3. 창작 음반극-사랑/이별과 실향/망향, 현실/역사의 대중서사와 그 교섭 395
4. 대중극과 대중문화의 지형 411

제4장 재담과 만담, ‘비의미’와 ‘진실’의 형식-박춘재와 신불출을 중심으로 414
1. 재담과 만담, ‘소리’의 예술과 ‘말’의 예술 414
2. 명창 박춘재, 조선가곡의 대표자 421
3. <병신재담>과 ‘비非의미’의 언어 426
4. 신파 연극인 신불출, 만담의 천재 434
5. <관대한 남편>과 근대적 삶의 ‘진실성’ 443

참고문헌 453
색인 460
간행사 464

저자소개

우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전문사(M.F.A)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초기 신파극을 정동의 관점에서 연구한 박사논문을 근대 초기에 등장한 극장의 공공성 연구로 확장시킨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이 있으며, 우리 근대극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창작극과 번역극, 미디어 연구 등의 역동적인 교섭으로 고찰한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이 있다. 공저로는 『한국 인물연극사』 『문화공간, 서울 역사 이야기』 등이, 번역서로는 『시몬느 보부아르, 익숙한 타자』 『서양 연극사 이야기(증보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