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희곡론
· ISBN : 9791159055058
· 쪽수 : 465쪽
· 출판일 : 2020-03-2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 극장화된 국가, 식민화된 조선
들어가며 13
제1장 재미한인의 연극과 내셔널리즘 18
1. 내셔널리즘의 극장-의례와 연극 18
2. 의례연극과 재미한인의 자기인식 24
3. 희곡의 실험, 미생未生의 형식 35
제2장 번안희곡 <병자삼인>과 식민지성 46
1. <병자삼인>의 쟁점들 46
2. 다층적인 연극공간과 ‘병자’ 모티프 52
3. 근대 ‘가정’과 무능력한 가부장의 몰락 54
4. ‘개화기 조선’과 경직된 신여성의 사이비 근대성 58
5. ‘식민지 조선’과 분열적인 피식민의 비정상성 63
제2부 횡단하는 연극, 번역된 근대
들어가며 71
제1장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운동-서구 번역극과 창작극, 그리고 여배우 77
1. 근대극의 증후들 77
2. 일본의 근대극 순회공연과 그 영향 82
3. 이기세와 윤백남의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의 시도 91
제2장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 104
1. 이제, 번안극에서 번역극으로 104
2. 예성좌의 번안극 <코르시카의 형제>, 그 절반의 성공 109
3. <부활>의 번역 공연과 경로-런던에서 동경, 그리고 경성으로 116
4. <카츄샤>의 멜로드라마적 근대성 132
제3장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변용 136
1. <부활>의 대중서사, ‘카츄샤 이야기’ 136
2. 무대에 선 카츄샤-남성 욕망의 대상 142
3. 노래하는 카츄샤-애처로운 이별의 정한 150
4. 이야기되는 카츄샤-낭만적인 사랑의 여주인공 159
5. 대중서사, 그 해체와 재생의 오시리스Osiris 167
제4장 <애사>에서 <희무정>으로-식민지기 <레미제라블>의 연극적 수용과 변용 170
1. 식민지 조선과 <레미제라블> 170
2. 변사연극 <애사>와 ‘동정’의 멜로드라마 176
3. 활동사진 <희무정>과 ‘사회’ 비판 183
4. 윤백남의 ‘사회’의식-「연극과 사회」와 <희무정>의 각색 공연 188
제5장 입센극의 수용과 근대적 연극 언어의 형성 195
1. 근대적 연극 언어의 계기들 195
2. 입센극의 번역과 ‘토론’의 언어 201
3. 1910년대 창작희곡의 언어적 근대성 209
제3부 고학생 드라마와 사회극의 등장
들어가며 223
제1장 윤백남의 <운명>, 식민지적 무의식과 욕망의 멜로드라마 227
1. ‘사회극’ <운명>의 문제성 227
2. 사진결혼의 역사와 멜로드라마적 현실인식 234
3. 연극공간과 식민주의-하와이․조선․미국과 야만․반개․문명의 구조 242
4. 식민지적 폭력과 욕망의 멜로드라마 247
제2장 이기세의 <빈곤자의 무리>, 사실성과 동정의 스펙터클 254
1. 갈돕회와 소인극운동 254
2. 갈돕회와 ‘동정’ 및 ‘상호부조’의 사회 260
3. 갈돕회 소인극과 자연주의적 사실성의 성취 267
4. 순회모금공연의 형식과 공동체(감)의 스펙터클 275
제3장 조명희의 <김영일의 사>, ‘이동화의 죽음’과 ‘상호부조’의 극장화 288
1. <김영일의 사>와 ‘고학생 드라마’의 시대 288
2. ‘상호부조’의 사회원리와 문화운동 293
3. <김영일의 사>와 동우회 순회극단, 그리고 ‘상호부조’의 극장화 299
4. ‘이동화의 죽음’에서 ‘김영일의 죽음’으로 306
제4부 미디어되는 연극과 대중문화
들어가며 317
제1장 미디어극장의 시대, 유성기와 라디오 321
1. 미디어되는 근대연극 321
2. 유성기의 반복적 편재성과 대중감각의 형성 327
3. 라디오의 동시적 편재성과 공동체감각의 형성 333
4. 극장적 공공성과 상업성의 변형과 확장 340
제2장 극장과 유성기, 근대의 사운드스케이프 347
1. ‘생생함’이라는 감각과 그 이념 347
2. 극장-도시의 ‘소음’에서 ‘배경음’으로 354
3. 유성기-‘신기한 소리’에서 ‘완전과 불멸의 소리’로 362
4. 예술가의 자의식과 ‘생생함’의 재전유 369
제3장 유성기 음반극, 대중문화의 미디어극장 372
1. 유성기 음반극-대중극과 대중문화의 표본 372
2. ‘고전’의 재생산과 현대적 전유 379
3. 창작 음반극-사랑/이별과 실향/망향, 현실/역사의 대중서사와 그 교섭 395
4. 대중극과 대중문화의 지형 411
제4장 재담과 만담, ‘비의미’와 ‘진실’의 형식-박춘재와 신불출을 중심으로 414
1. 재담과 만담, ‘소리’의 예술과 ‘말’의 예술 414
2. 명창 박춘재, 조선가곡의 대표자 421
3. <병신재담>과 ‘비非의미’의 언어 426
4. 신파 연극인 신불출, 만담의 천재 434
5. <관대한 남편>과 근대적 삶의 ‘진실성’ 443
참고문헌 453
색인 460
간행사 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