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한영균 (지은이)
소명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6222
· 쪽수 : 507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대한제국기에 문어의 주류였던 새로운 국한혼용문과 20세기 말의 문어의 주류였던 현대의 국한혼용문은 과연 무관한 것일까? 그리고 한때 현대 국한혼용문이 문어 생활의 중심이었던 것은 한글 전용 문화의 정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 현대 한국어 형성기 문체 분석의 틀
제1장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설정과 하위 구분 15
1.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언어문화사적 특징 15
2.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두 축 20
3. 태동기 문어 사용 양상의 특징 30
4. 환태기 초기의 문어 사용 양상 45
5. 마무리 53

제2장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구현 59
1. 언문일치와 문체 현대화의 상관성 59
2. 근대 계몽기 지식인들의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과 그 구현 64
3. 어휘 사용의 변화와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구현-신문 사설의 경우 80
4. 마무리 83

제3장 문체 현대화의 한 변인-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 85
1. 서사방식書寫方式과 문체의 상관성 85
2. 서사 방식, 글갈래, 독자와 문체 변이 92
3. 태동기 한국어 문장의 혼효성 극복과 어휘의 변화 100
4. 서사 방식에 따른 어휘적 준거 사용 양상 대조 분석 123
5. 마무리 127

제4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단음절 한자 용언의 사용 양상 변화 131
1. 논의를 시작하면서 131
2. 검토 대상 국한혼용문의 범위 한정 135
3. 문체 현대성 판별 준거의 추출 141
4. ‘단음절 한자+하()-’형 용언 사용 양상의 변화 146
5. 마무리 157

제2부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제5장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과 태동기 국한혼용문 문체 연구의 방향 16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161
2. <서유견문> 문체 연구사 검토 164
3.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 180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연구과 코퍼스 분석 202
5. 마무리 208

제6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유형, 문체 특성, 사용 양상 21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211
2. 국한혼용문의 유형별 문체 특성 분석을 위한 몇 가지 전제 213
3. 유형별 문체 특성 219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사용 양상과 관련된 문제 243

제7장 <서유견문> 용언류의 분포와 구성 247
1. 태동기 용언류 분석과 <서유견문> 247
2. 고유어 용언의 유형과 특징 250
3. 단음절 한자 용언의 용법과 특징 257
4. 2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67
5. 3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75
6. 4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81
7. ‘-이-’계 술어구의 용법과 그 특징 286
8. 용언류 분석의 결과와 그 함의 289

제8장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공존의 한 양상 295
1. 번역물에 있어서의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295
2. 태동기 다중 번역 서사물의 서지ㆍ번역 저본ㆍ문체 300
3. 논의 결과의 활용 방안 339

제9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통합 341
1. 문체 통합을 논의하기 전에 341
2.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문체 통합과 그 방향 344
3. <서유견문>과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용언 용법 비교 355
4. 문체 통합의 방향성 360

제3부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제10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에 대한 시론 365
1. 논의의 목적 365
2. 태동기 국한혼용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67
3.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372
4. 국한혼용문 현대화의 유인 380
5. 논의의 요약 386

제11장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 389
1.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389
2. 대한제국 말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의 계승 392
3. <동아일보> 1920년 사설에서의 어휘 현대화 402
4. <동아일보> 1920년 사설의 문체사적 위상 426
5. 논의의 요약 430

제12장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 433
1. 환태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433
2. 1920년∼1940년 사설 텍스트의 현대성 판별 438
3. 신문 사설에서의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의 배경 449
4. 논의의 요약과 남은 문제들 457

제13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보조 용언 구성의 변화 463
1. 왜 보조 용언 구성을 살피는가 463
2. 국한혼용문에서의 용언류의 사용 양상 분석 469
3. 보조 용언류 사용의 확대 양상 475
4. 한문구 용언에서의 보조 용언의 한자화와 그 현대화 과정 484
5. 논의의 요약 489

<부록> <서유견문>의 편과 장 구성 및 약호 491
참고문헌 492
초출일람 505
간행사_ 근대 한국학총서를 내면서 506

저자소개

한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방언 조사원, 대한민국 학술원 전문위원,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초빙교수, 동경 외국어 대학 초빙 연구원, 대만 국립정치대학 교환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국어사, 국어정보학, 사전학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다가 최근 10여 년은 근대 계몽기의 국한혼용문 및 현대 한국어 형성 과정을 살피고 있다.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박사논문, 1994), [국어 정보학 입문](공저, 1999), [한창기 선생이 수집한 고문헌 자료의 가치와 인식](공저, 2014), [우리말 연구의 첫 걸음](공저, 2015), [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2016), [韓國語敎育論講座] 3(공저, 2018) 등의 저서와 국어음운사, 방언, 사전학,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국한혼용문 등에 관한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