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형용사 연구』(1998)
『왜 다시 품사론인가』(2006, 공저)
『한국어 사전편찬학 개론』(2008, 공저)
『한국어의 문법 단위』(2015, 공저)
『형태 중심 한국어 통사론』(2017)
펼치기
고석주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공군사관학교 전임강사와 듀크대 방문학자 역임. 현 연세대(미래캠퍼스)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역서와 공저역서로 <격>(한신문화사, 1998),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1999, 보고사), <의미구조론>(한신문화사, 1999), <정보구조와 문장형식>(월인, 2000),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오류 분석>(한국문화사, 2004),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한국문화사, 2004),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사전>(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보고사,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조태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이, 출신지, 학력, 경력 등으로 선입견과 편견을 주고받는 것을 불편해 하지만, 어울리지 않는 신비주의로 불필요한 호기심을 자극한다는 비난이 두려워 신상 공개를 거부하지 못하는 소심한 사람이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파리10대학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과 언어정책론을 공부하여 박사를 마쳤다. 2005년 11월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사적인 자리에서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말재주가 없지만, 공적인 자리에서는 그나마 괜찮다는 무책임한 격려(?)에 고무되어 시작한 이 일 때문에 적지 않은 후회와 원망을 하기도 했다. 앞으로는 또다시 엮이면 안 된다고 다짐하면서도 즐거운 만남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리라는 불길한 예감에 설레는 줏대 없는 사람이다.
펼치기
서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원장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원장
연구 분야: 국어사, 통사론, 말뭉치언어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1982년) 후,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198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2년). 1988년~1993년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1993년~1995년 츠쿠바(筑波)대학의 문예언어학계 교수를 지내고 1995년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1995년~1996년 한국어 능력 시험(현재 TOPIK)을 위한 기초 연구와 모형 개발에 참여했으며, 1998년~2007년 문화관광부의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기반 구축 사업의 국어 특수자료 구축 분과의 책임을 맡아서 한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같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에 참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을 개발하였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국어원의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사업의 책임을 맡아서 1~5등급의 기초 어휘 선정을 수행하였다. 『국어정보학입문』(공저 1998), 『한국어 구어 연구(1, 2)』(공편 2002, 2005),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공저 2004, 2006),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공저 2013),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2013),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2)』(2015), 『한일대역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2017, 2019개정), 『최현배의 우리말본 연구(1, 2)』(2017, 2018), 『현대 한국어 어휘 빈도 사전(1, 2)』(2023) 등의 저서와, 한국어 어휘 문법 연구, 말뭉치언어학과 국어정보학, 학습 사전 편찬, 한국어 기본어휘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한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방언 조사원, 대한민국 학술원 전문위원,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초빙교수, 동경 외국어 대학 초빙 연구원, 대만 국립정치대학 교환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국어사, 국어정보학, 사전학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다가 최근 10여 년은 근대 계몽기의 국한혼용문 및 현대 한국어 형성 과정을 살피고 있다.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박사논문, 1994), [국어 정보학 입문](공저, 1999), [한창기 선생이 수집한 고문헌 자료의 가치와 인식](공저, 2014), [우리말 연구의 첫 걸음](공저, 2015), [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2016), [韓國語敎育論講座] 3(공저, 2018) 등의 저서와 국어음운사, 방언, 사전학,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국한혼용문 등에 관한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