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과학소설사

한국 과학소설사

최애순 (지은이)
소명출판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900원 -10% 0원
1,550원
26,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과학소설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과학소설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5905771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04-29

책 소개

한국에서 '과학소설'이란 표제를 달고 창작된 작품의 계보와 개념을 정립한 책이다. '과학소설'이라는 용어에 걸맞게 지금의 SF가 포괄하는 영화 등의 다른 매체보다 '과학소설'에 집중하였다.

목차

서문 100년 전 E.M. 포스터의 「기계가 멈추다The Machine Stops」1909를 재발견하며 7

제1장 Science Fiction 용어의 기원과 한국 과학소설의 굴절 13
1. 서구 SF 이론과 한국 SF 수용의 굴절 13
2. 식민지시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한국 과학소설의 기원과 유입 22

제2장 초창기 과학소설의 정치적 수용과 부국강병의 꿈 35
1. 대한제국 말기 과학소설의 정치적 수용 -「해저여행기담」과 『철세계』 35
2. 『철세계』의 이상사회 건설과 발명과학의 충돌 39
1) ‘연철촌’과 ‘장수촌’ 두 이상사회의 건설과 충돌 39
2) 연철촌의 강철 기술을 도입하여 승리한 장수촌 48
3. 이상사회 건설보다 과학발명으로 부국강병의 꿈 54

제3장 1920년대 카렐 차페크의 수용과 김동인의 창작 과학소설 57
1. 왜 다시 카렐 차페크인가 57
2. 국내 카렐 차페크 수용의 세 갈래 양상 60
1) 1925년 프로문학가 김기진, 박영희의 사회주의 경향 61
2) 1926년 김우진의 일본 연극 무대 비평과 구미 극작가로서 소개 66
3) 카렐 차페크의 불임 여성과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 운동 72
3. 국내 창작 과학소설에 끼친 영향 -김동인의 「거치른 터」와 「K박사의 연구」 75
1) 「거치른 터」의 타이프라이터 발명 시도와 여성 배제의 발명 세계 76
2) 일제의 산미증식계획과 「K박사의 연구」의 똥으로 식량개발 84
4. 발명과학소설의 계보와 기대 94

제4장 1940년대 『신시대』를 둘러싼 전쟁의 기운과 디스토피아적 전망 97
1. 발명과학과 디스토피아, 그리고 인간의 욕망 97
2. 1940년대 발명과학의 실제적 공포와 디스토피아 104
1) 가상이 실제가 되는 순간-「태평양의 독수리」 104
2) 인간이 발명과학의 실험대상이 될 때-「소신술」 113

제5장 1950년대 대재앙 디스토피아와 인조인간에 대한 양가성 123
1. 한국 SF 계보에서 공상과학만화 『헨델박사』의 위치 123
2. 원자탄의 디스토피아와 국가 이기의 충돌-『헨델박사』(1952) 125
3. 인조인간 발명에 대한 경계와 매혹-『헨델박사』(1952)와 『인조인간사건』(1946) 133
4. 현실과 공상의 거리-낙관적 전망으로 나아가기 144

제6장 해방 이후 SF의 발달과 아동청소년문학과의 대립 논쟁 147
1. SF와 아동청소년문학 147
2. 식민지시기 SF문학의 도입과 해방 후 SF 아동청소년문학과 SF문학의 분리 154
3. 해방 이후 SF 아동청소년문학의 두 갈래 양상 -『학원』과 『학생과학』 159
1) 『학원』과 SF 아동청소년문학의 정착 과정 159
2) 『학생과학』과 SF 작가 클럽의 정체성의 혼란 169

제7장 냉전시대 『학원』의」 과학소설과 한낙원의 등장 183
1. 미소의 우주경쟁에서 지구인과 우주인의 과학기술 대립-「금성탐험대」의 경우 183
2. 공포의 화학과 진보의 의학 사이-「우주 벌레 오메가호」의 경우 188
3. 한낙원의 아동청소년 과학소설과 국가에 공헌하는 기술자 지망생 200
4.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이라는 독자적인 영역 개척 213

제8장 1960~70년대 『학생과학』과 SF 작가 클럽 215
1. 과학소설 연구가 뒤늦은 이유 215
2. 『학생과학』의 과학용어와 기술로서의 과학 220
1) 『학생과학』을 통한 새로운 과학용어의 도입 220
2) 기술로서의 과학-과학소설의 직업 세분화와 중등 실업교육 224
3) 현실성을 내세운 과학소설의 소재-기상변화와 식량문제 229
3. 과학소설 장르의 발달과 우주시대와의 괴리 235
1) 전쟁소설이 되어 버린 우주과학소설 235
2) 사라진 대륙의 전설과 해양과학소설 241
3) 최첨단 무기와 방첩소설 246
4. 『학생과학』이라는 지면과 국내 과학소설 작가의 괴리 253

제9장1960년대 유토피아의 본질과 「완전사회」를 둘러싼 대립과 논쟁 257
1. 인간의 미래에 대한 고민과 「완전사회」를 둘러싼 대립과 논쟁 257
2. 유토피아 소설의 개념과 전제 조건 265
3. 1960년대 미·소 냉전하의 「완전사회」의 강요된 남성성과 국가의 건강한 신체 기획 269
4. 완전인간의 염원과 여인공화국의 유토피아 지향 278
5. 완전사회의 신체 통제와 유토피아의 균열 283
6. 유토피아의 현실비판과 인간의 사회개혁 의지 291

제10장 대체역사의 국내 수용 양상-최인훈의 『태풍』과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 295
1. 대체역사의 붐과 복거일의 소환 295
2. 『비명을 찾아서』에 영향을 끼친 작품과 대체역사의 개념과 의의 300
1) 『비명을 찾아서』의 구성과 역사적 분기점으로서의 가정 301
2) 미래소설 『미래의 종』에서 대체역사 『1984』로 전환 307
3. 대체역사 전사로서 『태풍』과 1987년 현실의 『비명을 찾아서』 311
1) 대체역사 전사로서의 『태풍』과 민족주의적 서사 전개 311
2) 사실주의적 묘사의 전개와 1987년 현실의 알레고리 318
4. 2000년대 대체역사와 퓨전사극 사이의 장르 정체성 323

나가며 2020년대 이후 한국 SF의 미래와 전망 327

참고문헌 331
찾아보기 339
간행사 343

저자소개

최애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타불라라사 칼리지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기억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식민지시기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 대중문학과 문화의 계보를 추적하는 작업을 오랫동안 해 오고 있다. 『조선의 탐정을 탐정하다』(소명출판, 2011)에서 식민지 조선의 탐정소설사를, 『공상과학의 재발견』(서해문집, 2022)에서 한국 공상과학의 연대기를 살펴보았다. 장르문학과 본격문학의 경계, 대중 장르의 초창기 유입과 정착 과정, 외국 문학보다 한국 문학의 장르와 코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 장르나 코드의 발달을 역사적으로 훑으며 그 시대의 사회문화사를 들여다보는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