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운암 김성숙 전집 1

운암 김성숙 전집 1

(저술 편)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엮은이)
소명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운암 김성숙 전집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운암 김성숙 전집 1 (저술 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9058493
· 쪽수 : 458쪽
· 출판일 : 2023-12-10

책 소개

운암 김성숙은 1898년 평안북도 철산에서 출생하여 평생을 민족의 독립과 만인의 평등이 구현된 민주공화세상을 확립하고자 힘을 보태다 1969년 71세를 일기로 작고하였다.<운암 김성숙 전집 1-저술편>은 김성숙이 1930년대 중반경부터 독립운동을 하다 민족통일전선에 관해 발표한 글들이었다. 그 시점에서 김성숙이 어떤 생각으로 무엇을 꿈꾸며 독립운동을 전개했는지를 알 수 있는 글들이다.

목차

운암 김성숙 전집을 간행하며

제1부
『조선민족전선』과 김성숙


1. 왜 전 민족통일전선을 건립해야 하는가(为什么要建立全民族的统一战线?)
1) 우리의 주장(我们的主张)
2) 민족해방투쟁의 역사 경험(民族解放斗争的历史的经验)
3) 민족전선의 사회적 의의(民族战线的社会的意义)
4) 민족전선의 국제적 의의(民族战线的国际的意义)
5) 민족전선의 현실적 투쟁의의(民族战线的现实的斗争意义)
6) 결론(结论)

2. 도산 선생을 애도하다(哀悼島山先生)

3. 전 민족 반일통일전선을 어떻게 건립하는가(如何建立全民族的反日统一战线)
1) 전선의 통일문제(战线的统一问题)
2) 인식의 통일(认识的统一)
3) 조직의 통일(组织的统一)
4) 결어(结语)

4. 중한민족연합전선의 혁명적 의의(中韩民族联合战线的革命的意义)
1) 서언(引言)
2) 중한민족연합전선은 중국 항일혁명정책의 주요한 일환이다.(中韩民族联合战线是中国抗日革命政策的主要一环)
3) 중한민족연합전선은 조선민족해방운동의 기본 정책이다.(中韩民族联合战线是朝鲜民族解放运动的基本政策)
4) 중한민족연합전선은 동아시아의 영원한 평화를 실현하려 한다.(中韩民族联合战线是要实现东亚的永久和平)
5) 결론(结论)

5. 조선 민족 반일혁명 총역량 문제(朝鲜民族反日革命总力量问题)

제2부
『조선민족통일전선문제』와 김성숙

- 신조선총서 발간사(新朝鲜丛书发刊词)
- 목차(目次)
1) 왜 전 민족통일전선을 건립해야 하는가?
2) 전 민족통일전선을 어떻게 건립하는가?
3) 조선 민족 반일혁명 총역량 문제
4) 중한민족연합전선의 혁명적 의의
- 한 가지 필요한 설명(一个必要的说明)
- 부록(附录)

제3부
『조선의용대통신』과 김성숙


1. 발간사(发刊词)

2. 1 · 28 기념의 의의(“一二八”纪念的意义)
3. 중국국민당 5중 전회의 성공을 경축하다(庆祝中国国民党五中全会的成功)
4. 제2기 항전에서 대적 선전의 중요성(对敌宣传在二期抗战中的重要性)
5. 3 · 1운동 소사(“三一”运动小史)
6. 3 · 1운동 이후 조선혁명운동의 새로운 발전(“三一”运动以后朝鲜革命运动的新发展)
7. ‘조선의 딸’ 공연의 혁명적 의미(公演‘朝鲜的女儿’的革命意义)
8. 적의 후방을 향해 빠르게 전진하자(快向敌人的后方前进)
9. 8 · 29

제4부
시사논평과 김성숙


1. 반식민지국가의 학생운동(半殖民地国家的学生运动)
1) 학생운동의 일반 개념(学生运动的一般概念)
2) 반식민지국가 학생운동의 형성 원인과 의의(半殖民地国家学生运动的成因和意义)
3) 반식민지국가 학생운동의 현재 상황(半殖民地国家学生运动的现状)
4) 중국학생운동의 역사적 검토(中国学生运动的史的检讨)
5) 현단계 중국학생운동의 전망(现阶段中国学生运动的展望)

2. 일본 금융자본의 조선 농촌 통제(日本金融资本在朝鲜农村的控制)
1) 조선 농촌기구의 특질(朝鲜农村机构的特质)
2) 농촌과 금융기관(农村和金融机关)
3) 금융조합과 농촌의 특수관계(金融组合和农村的特殊关系)

3. 아시아 약소 민족의 윤곽-조선(亚洲弱小民族剪影:朝鮮)

4. 항일전쟁과 동아시아 피압박민족(抗日战争与东亚被压迫民族)

해제 | 신주백

저자소개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편찬위원장 신주백辛株柏, Sin Juback 성공회대학교 열림교양대학, 연세대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 고문헌연구회 이사장, 용산역사박물관 운영위원, 역사교과서 필자. 성균관대 문학박사.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국무총리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위원, 교육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등 역임. 저서로는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 『한국 역사학의 기원』, 『한국 역사학의 전환』,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 등이 있고 공저로 『1920년의 독립전쟁과 사회』, 『사진과 지도, 도면으로 본 용산기지의 역사』 1·2·3, 『처음 읽는 동아시아사』 1,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2, 『미래를 여는 역사』 등이 있다. 편찬위원 윤소영尹素英, Yoon Soyoung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학술연구부장,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 인문과학 박사. 주요 논문으로 「가지 와타루鹿地亘의 반전반제운동과 조선」, 「일제 측 정보자료를 통해 본 1920년대 김성숙金星淑의 활동궤적과 사상」 등이 있고, 번역서로 『일제강점기 치안유지법 운용의 역사』오기노 후지오 저 등이 있다. 김재욱金宰旭, Kim Jaeug 중국광시사범대학(中國廣西師範大學) 한국어과 교수, 중국사회과학원 박사. 저서로는 『中國現代文學中的韓國人和韓國』, 『한국광복군의 일상과 기억』(공저) 등이 있고 공편 『中國現代文學與韓國文獻補編』, 『中國現代文學與韓國資料叢書』 논문으로는 「한국광복군의 항일투쟁과 중국현대문학」, 「尹奉吉을 묘사한 중국현대문학 작품과 그 특징」 등이 있다. 민성진閔成珍, Min Sungjin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회장. 임인숙林仁淑, Lim Insook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상임이사. 번역 김재욱金宰旭, Kim Jaeug 중국광시사범대학 교수. 이진명李珍明, Lee Jinmyoung 중국광시사범대학 외국인 교원. 방준호方準浩, Bang Junho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감수 신주백辛株柏, Sin Juback 성공회대학교 열림교양대학. 타이핑·교정 김재욱金宰旭, Kim Jaeug 중국광시사범대학 한국어과 교수. 리링린李玲林, Li Linglin 중국광시사범대학 한국어과 석사 졸업. 천옌칭陳燕清, Chen Yanqing 중국광시사범대학 한국어과 석사 졸업.
펼치기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