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새
· ISBN : 979115925120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5-12-17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천년학 ‘두루미’가 안녕하기를
:: 환경운동연합
1 청학이 깃드는 한반도
:: 조홍섭 (<한겨레> 환경전문기자 / 논설위원)
2 마법의 새, 두루미
:: 세르게이 스미렌스키 (러시아 무라비오카 국립공원 의장)
3 한국 두루미와의 추억 _비무장지대에서 보낸 겨울
:: 조지 아치볼드 (국제두루미재단 공동 설립자)
4 두루미 서식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농업 _북한 안변 피산협동농장에서
:: 홀 힐리 (국재두루미재단 이사회 전 의장)
5 두루미의 고장 철원평야
:: 진익태 (철원두루미학교 교장)
6 야생조류 먹이나누기 대장정 _천수만
:: 김신환 (김신환동물병원 원장)
7 흑두루미 춤을 추는 남자
:: 전영국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 창의발명디자인센터장)
8 순천만 두루미 이야기
:: 김인철 (한국물새네트워크 이사)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로부터 두루미는 십장생 중 하나로 장수, 선비의 청렴함, 행복의 상징으로 인식되어왔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두루미가 천년을 살면 푸른 ‘청학(靑鶴)’으로 또 천년을 살면 검은 ‘현학(玄鶴)’으로 변하여 불사조가 된다고 믿었습니다. 그만큼 두루미에 대한 우리 민족의 애정은 특별했습니다.
두루미가 천년학의 꿈을 이루고 오래도록 우리와 함께 지구 구성원의 일부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환경운동연합이 지난해에 출간한 『수리부엉이, 사람에게 날아오다』에 이어 올해도 포스코의 지원을 받아 멸종위기종과 생물다양성을 생각하는 두 번째 책 『두루미, 하늘길을 두루두루』를 발간하게 된 까닭입니다.
여러분의 손에 들린 이 책이 멸종위기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202호인 ‘두루미’에 대해 좀 더 알고, 멸종위기종과 인류의 공존을 위한 삶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_책을 펴내며(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