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사
· ISBN : 9791159292279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2-11-25
책 소개
목차
제1장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들어가며
▪ 지구촌 빈곤의 이해
▪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국제개발협력의 규모와 지원 동향
▪ 국제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
제2장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 들어가며
▪ 1940~1950년대: 국제개발협력의 태동
▪ 1960년대: 국제개발협력의 도약
▪ 1970년대: 국제개발협력의 정체
▪ 1980~1990년대: 국제개발협력의 위기
▪ 2000년대 이후: 국제개발협력의 재도약과 새로운 도전과제의 등장
▪ 총평과 전망
제3장 국제개발협력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들어가며
▪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의 변화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이해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이행 성과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달성을 위한 향후 과제
▪ 총평과 전망
제4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 들어가며
▪ 양자공여국
▪ 다자개발기구
▪ 수원국
▪ 개발협력 주체의 다양화
제5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 들어가며
▪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 공적개발원조(ODA) 공여국으로의 한국
▪ 국제개발협력 체제 및 정책
▪ 국제개발협력과 한국의 위상 및 역할
▪ 향후 과제
부록. 국제개발협력 진로 탐색
▪ 국제개발협력 진로 방향
▪ 국제개발협력 진로 탐색
▪ 국제개발협력 진로 개발 사례
▪ 국제개발협력 진로 설정 시 고려할 점
▪ 국제개발협력 진로 전망
약어집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두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첫걸음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해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고, 나아가 경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행동을 의미합니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다(Leaving No One Behind)’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원칙과 같이,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누리게 하는 것이 국제개발협력의 궁극적인 목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 위기, 분쟁 등으로 국제사회의 경제, 보건, 식량, 에너지 관련 위기가 전방위적으로 심화되었고, ‘소외된 사람이 더욱 소외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세계의 절대빈곤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프리카에서 증가 폭이 더 크다고 밝힌 것처럼 최근 급변하는 환경은 국제사회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아직도 국제개발협력을 단지 물질적 원조, 국가 차원의 원조, 선진국과 공여국의 일방적인 관계라고 알고 있다면 이는 반드시 정정하고 바로잡아야 할 일입니다. 국제개발협력은 물질적 원조만을 뜻하지 않으며, 국가 차원에서 만큼이나 민간 부문의 역할과 원조도 매우 중요합니다. 게다가 일방적인 주고받음이 아니라 상생을 위한 상호 협력 관계라 할 수 있습니다. 개정판 『국제개발협력』 시리즈는 이러한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고 국제개발협력의 본질과 의의를 깨치는 첫걸음이 되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