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370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7-05-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을 먼저 디자인하라 4
1 학교생활기록부,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출하는 답안지다
1. 학교생활기록부 11
2. 학생부종합전형 17
3.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 20
2 학교생활기록부,
전체는 이렇게 디자인하라
1. ‘활동 전→활동→활동 후’로 디자인하라 30
2. ‘일반→구체’로 디자인하라 32
3. 육하원칙으로 디자인하라 34
4. 객관적으로 디자인하라 37
152*224.indd 6 2017. 4. 29. 6:44
3 학교생활기록부,
영역별로는 이렇게 디자인하라
1. 인적사항, 이렇게 디자인하라 46
2. 학적사항, 이렇게 디자인하라 48
3. 출결상황, 이렇게 디자인하라 49
4. 수상경력, 이렇게 디자인하라 51
5.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이렇게 디자인하라 63
6. 진로희망사항, 이렇게 디자인하라 68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이렇게 디자인하라 80
7-1. 자율활동 83
7-1-1. 자치활동 85
7-1-2. 적응활동 98
7-1-3. 행사활동 107
7-1-4. 창의적 특색활동 114
7-2. 동아리활동 123
7-3. 봉사활동 138
7-4. 진로활동 154
8. 교과학습발달상황, 이렇게 디자인하라 173
8-1.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174
8-2. 개인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219
9. 독서활동상황, 이렇게 디자인하라 226
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이렇게 디자인하라 236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뚫으려면
학교생활기록부를 디자인하라!
길이 시원하게 뚫릴 것이다
대학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비중이 커지면서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의 중요성도 해마다 커지고 있어요. 이제 학생부는 학종에서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지요. 그렇다면 학생부를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제까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어떻게’에 머물러 왔어요. 이렇게 하면 잘 쓰고 저렇게 하면 잘 쓴다고 해 온 거예요. 하지만 쓸 만한 게 없는데 잘 쓰는 방법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마른 수건을 쥐어짜는 것과 다름없어요. 아무리 힘을 써도 물 한 방울 나오지 않으니, 다들 힘들어했지요.
이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예요. ‘쓸거리’를 풍성하게 만들고 나서, 그다음에 고민해야 하는 것이 ‘쓰는 방법’이어야 한다는 거지요. ‘학교생활’을 제대로 디자인하고 나서, 그다음에 고민해야 하는 것이 ‘학교생활기록부’ 디자인이라는 말이에요.
_여는 글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은 학교생활에 충실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이나 해당학과 교수가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을 중심으로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면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이에요. 학종에서는 자기소개서나 교사추천서, 면접 등도 영향을 미치지만, 가장 결정적인 전형요소는 학교생활기록부이지요. 그래서들 학생부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해당학과 교수에게 제출하는 시험문제 답안지’라고도 해요.
-<1. 학교생활기록부,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출하는 답안지다>에서
이렇게 복잡한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느니 깔끔하게 공부만 해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대학에 가면 되지 않느냐고요? 그래요. 학생부교과전형은 교과성적이 주된 전형요소로, 공부만 하면 되는 전형이어서 학생들의 관심이 매우 높지요. 하지만 학생부교과전형은 상위권 대학보다는 중상위권 대학이나 지방 국립대 등에서 선발비중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이에 비해 학생부종합전형은 상위권 대학에서 선발비중이 매우 높아요. 상위권 대학들은 어차피 공부 좀 한다는 학생들이 모이는 학교이니, 책상에 가만히 앉아서 하는 그런 공부만 보지 않겠다는 거지요. 그래서 서울대학교 등 몇몇 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을 아예 없애버리기도 했어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다들 눈을 떼지 못하는 이유, 이제 알겠지요?
-<1. 학교생활기록부,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출하는 답안지다>에서



















